$\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초등학생의 우리 전통 식생활에 대한 인식 조사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6 no.1, 2013년, pp.86 - 97  

이경애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 8개 도시지역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건강 행동으로서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장점 (행동 수행시의 이득) 및 어려움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이 자아효능감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대상 초등학생들은 남녀 모두 매일 세끼 식사를 하는 편이었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식사를 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식사나 간식을 규칙적으로 먹는 정도와 야참 섭취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그리 양호한 편은 아니었다. 식품선택 습관에 있어 남녀 모두 밥 위주의 식사와 매끼 김치와 채소반찬을 먹는 정도는 4.0 이상으로 높았으나 그 이외의 과일, 생선, 두부나 된장류, 고기류, 단 음식의 섭취는 보통 정도 수준으로 양호한 수준은 아니었다. 초등학생들은 남녀 간의 차이 없이 자신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보통 정도에 불과하여 질병 위협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았으며, 특히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보다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더 낮았다.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면 영양과 건강 측면에서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기호 측면에서도 영양 측면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좋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우리 전통식생활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초등학생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는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항목별로 볼 때 습관이나 기호보다는 이용성과 조리기술에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식행동의 대부분 항목과 식품 선택 습관의 모든 항목에서 자신이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자기 조절 항목 중 음식을 권할 때 거절하기와 음식 앞에서 먹지 않고 참기, 그리고 전통음식 조리에는 다소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은 질병 가능성이나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행동 수행시의 이득에서는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이 자아효능감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초등학생의 식습관은 식이 자아효능감 (${\alpha}$ = 0.675),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 (${\alpha}$ = 0.581), 행동 수행시의 이득 (${\alpha}$ = 0.339),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alpha}$ = 0.143)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들이었고 이들 요인에 의한 설명력은 53.5%이었다. 그중 식이 자아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 = 0.472).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은 식습관이 우리 전통 식생활 측면에서 볼 때 보통 정도로 우려할 정도는 아니나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었고, 자신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질병 가능성이나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편이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그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 또는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erception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he subjects wer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274 boys and 274 girls) in eight Korean c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이라는 건강 행동 (권장 행동)으로의 이행에 각 구성요소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를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전통 식생활 실천으로의 바람직한 식습관 교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각 구성요소들과의 관계와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 25)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을 권장 행동으로 하여 초등학생의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인식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Table 6) 점수가 낮을수록 어려움을 적게 느끼는 것이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하여 초등학생 자신의 식생활에 대한 인식, 건강 행동으로서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장점 (이익) 및 어려움 (장애)에 대한 인식 및 식이 자아 효능감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건강신념모델 각 구성요소들과 식습관과의 관계 및 영향 정도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초등학생의 식습관 실태조사나 전통 식생활 인식 조사와는 달리 초등학생들의 건강 식행동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론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을 건강 행동 측면에서 설명하였고, 건강 행동으로서 전통 식생활 실천으로의 행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정도를 규명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을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이라는 건강 행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건강신념모델 각 구성요소를 교육의 중재요인으로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초등학생의 식습관 실태조사나 전통 식생활 인식 조사와는 달리 초등학생들의 건강 식행동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론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을 건강 행동 측면에서 설명하였고, 건강 행동으로서 전통 식생활 실천으로의 행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정도를 규명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을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이라는 건강 행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건강신념모델 각 구성요소를 교육의 중재요인으로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초등학생의 식습관이나 전통 식생활에 대한 인식에 대한 실태 조사들과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전국 8개 도시지역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건강 행동으로서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장점 (행동 수행시의 이득) 및 어려움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이 자아효능감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건강신념에 의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자의 건강신념에 대한 구성요소들 즉, 질병 위협에 대한 인식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행동 수행시의 이득,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식이 자아효능감의 정도가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의 식습관을 파악하고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초등학생들의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과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의 식습관을 파악하고 건강을 실천하기 위한 식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하여 어린이들 자신의 식생활에 대한 인식, 건강 행동으로서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장점 (이익) 및 어려움 (장애)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이 자아 효능감을 조사하여 어린이들에게 우리 전통음식 섭취를 장려하기 방안 모색과, 우리 전통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신념모델은 무엇을 기초로 두고 있는가? 건강신념모델은 주어진 건강 행동을 취하려는 개인의 심리적 준비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한 구조로서 건강 행동을 취하기 위한 준비는 건강 위험이나 문제에 대해 민감하고, 건강에 대한 위협을 심각하게 느끼고, 건강 행동의 이익이 장애물이나 비용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건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확신하며, 행동을 위한 계기가 행동을 취하도록 제공된다는 믿음과 신념에 기초한다.14)
영양교육에서 남녀에 따라 강조할 교육내용을 달리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본 연구 결과 여학생의 식행동이 남학생보다 바람직한 편이었으며 이는 Na 등28)과 Kim29)의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였다. 특히 우려되는 식행동 즉 식사할 때 TV를 본다든지, 배불리 먹는다든지, 꼭꼭 씹지 않는 식행동과 기름진 음식이나 고기 등의 식품 선택 습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습관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교육에서 이러한 특성이 고려되어27) 남녀에 따라 강조할 교육내용을 달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전통음식의 우수성은 무엇인가? 우리 전통음식은 서구 음식보다 지방 함량이 적고 식이섬유가 많으며 단백질과 무기질의 공급을 위해 부재료를 충분히 사용할 경우에는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균형식이다.7) 또한 우리 전통음식은 식재료에 약이성 효과가 있는 것이 많아8) 음식 재료를 알맞게 배합함으로써 건강 유지와 질병 치유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계절 음식과 절기 음식으로 계절에 알맞게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해준다.9) 이와 같이 우리 전통음식은 조리방식이 과학적이고 영양 면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 그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고 외국인의 평가도 높아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h H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four characteristics of some Korean dishe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5; 16(3): 3-15 

  2. Yoon HS, Lee MJ, Lee KH.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on rice foods in Changwon and Gimhae city. J Korean Diet Assoc 2005; 11(3): 341-352 

  3. Gang MS, Lee EH, Chyun JH. A study on the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Food Cult 2006; 21(4): 357-365 

  4. Ji HJ, Nam ES, Park SI.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008; 21(4): 572-582 

  5. Kang JH, Lee KA.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 2008; 23(5): 543-555 

  6. Lee YJ, Kim JH, Han JS.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for Korean traditional table manners. Korean J Food Cult 2005; 20(4): 459-467 

  7. Sung CJ. Contemporary man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Seoul: Jipmoondang; 1997 

  8. Hwang HS, Han BR, Han BJ. Traditional Korean foods. Seoul: Kyomunsa; 1998 

  9. Gang IH. Korean dietary history. Seoul: Samyoungsa; 1986 

  10. Kim J.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 2005; 20(5): 499-507 

  11. Yang IS, Chung HK, Chang MJ, Cha JA, Lee SJ, Chung L, Park SH, Cha S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06; 12(2): 127-145 

  12. Cha JA, Yang IS, Lee SY, Chung L.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Food Cult 2007; 22(4): 383-392 

  13. Ji GO, Yoon JH. The observation and effects of project approach method applied on 'Kimchi project' instruction in elementary level. J Korean Pract Arts Educ 2008; 21(3): 75-98 

  14.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7 

  15. Glanz K, Rimer BK, Lewis FM,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3rd edi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2 

  16.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 Monogr 1974; 2(4): 328-335 

  17. Lee BS, Kim MY, Kim MH, Kim SK.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00; 30(1): 213-224 

  18. Jung SM. A study of the nutrition knowledge, the eating attitude, and th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M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02 

  19. Kim JY. Changes of the dietary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nutrition education [MS thesis]. Iksan: Wonkwang University; 2007 

  20. Park KH.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healthy eating and dietary intak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MS thesis]. Seoul: Kookmin University; 2007 

  21. Lee JS, Lee HJ, Song BC, Kim EK, Lee CB, Kim SH. A study on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self-efficacy of juvenile delinqu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63-673 

  22. Choi SJ. Dietary self-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23. Parcel GS, Edmundson E, Perry CL, Feldman HA, O'Hara-Tompkins N, Nader PR, Johnson CC, Stone EJ.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Sch Health 1995; 65(1): 23-27 

  24. Clark MM, Abrams DB, Niaura RS, Eaton CA, Rossi JS.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 Consult Clin Psychol 1991; 59(5): 739-744 

  25. Koo JO, Kim KW, Kim CI, Park DY, Park HR, Yun EY. Nutrition education & practice. Seoul: Powerbook; 2007 

  26.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1977; 84(2): 191-215 

  27. Janz NK, Becker MH.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 Q 1984; 11(1): 1-47 

  28. Na SY, Ko SY, Eom SH, Kim KW.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3): 329-341 

  29. Kim KH.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180-190 

  30. Jeon MS, Kim HO.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J Korean Acad Nurs 2010; 40(2): 264-276 

  31. Yoon SJ, Kim HS.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0; 25(5): 558-5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