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대 이전의 오심 증상 표현
Literal expression of nausea in medical classics written until Tang dynast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6 no.1, 2013년, pp.79 - 83  

고복영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장재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김기왕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Osim((惡心) stands for nausea which usually precede vomiting(嘔吐). Although it is very common symptom, we can't find the word Osim in some ancient classics. So we tried to find when it had appeared, and what had been its substitute in former medical classics. Material and Methods : The di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심이란 말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도 고인들은 오심을 경험하였을 것이고 이를 어떠한 말로든 표현 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오심에 해당하는 언어 표현이 문헌에도 남아 있을 텐데 아래에서 그러한 표현으로 어떠한 것이 있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 하지만 『황제내경』'이나 『상한론』과 같은 고대의 문헌을 살펴보면 ‘오심’이란 표현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오심이란 말이 없었을 때 고인들은 오심 증상을 어떠한 말로 표현했을까? 또한 언제부터 오심이란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을까?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심을 나타내는 말로 '번'이 쓰인 경우는 무엇인가? 이처럼 번(煩)이 ‘열감’을 뜻하는 말 이외에 ‘오심’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이게 된 데에는 번이란 글자에 ‘속이 편치 않음’, 특히 여러 가지 ‘자각적 불 안정감’11)에 해당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던 것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한다. 흉복부에서 느껴지는 답답한 느낌을 표현하는 ‘민(悶)’ 자와 번자가 어우려져 나타나는 사례를 보면 그 점이 좀 더 분명해진다. 일례로 『황제내경』에서는 졸심통(卒心痛)의 증상을 설명하며 ‘선구(善嘔)’ 앞에 ‘번민(煩悶)’이란 표현을 제시하였는데12) 이는 번에 ‘민’과 밀접한 의미, 즉 명치가 편치 않고 울렁거림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 생각된다. 『천금익방(千金翼方, 682)』에서도 이러한 사례는 다수 확인된다13).
오심이란 무엇인가? 오심(惡心)은, 구토를 하지는 않지만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구토가 발생하려는 느낌이 감지되는 상태로서 고문헌에도 흔히 보이는 증상명이다. 하지만『황제내경』이나 『상한론』과 같은 고대의 문헌을 살펴보면 ‘오심’이란 표현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고대 문헌에 나타난 오심의 대체 표현은 무엇인가? 오심이란 말이 나타나기 전에도 구(嘔)나 토 (吐)란 표현은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이를 ‘~하고자 하다’는 뜻의 욕(欲) 자와 결합하여 오심 증상을 표현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고대의 문헌에서 욕토(欲吐), 욕구(欲嘔)란 표현은 오심의 대체 표현으로서 자주 나타난다. 『황제내경』의 경우 욕구(欲嘔)란 표현이 여러 차례 나타나며2) 욕토(欲吐)란 표현도 보인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任應秋 編. 黃帝內經章句索引.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6. 

  2. 譚代龍. 試論"變"有"嘔吐"義及其原因. 語言?究, 2006. 26(1). pp.116-118. 

  3. 李心機. 說"煩". 首屆國學國醫岳麓論壇?第九屆全國易學與科學學會?討會, 第十屆全國中醫 藥文化學會?討會論文集. 2007. pp.258-259. 

  4. 李玉淸. "?"義演變考. 南京中醫藥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3. 4(2). pp.108-110. 

  5. 趙家棟. "變"有"嘔吐"義探因. 貴州師範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10. (6). pp.12-15. 

  6. 中華醫典(簡體版)[CD-ROM]. 上海. 湖南電子音像出版社.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