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amily Activity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FAISC) Progra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3년, pp.114 - 131  

지경준 (광주지산초등학교) ,  박종원 (전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질적인 목적에서 프로그램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가족구성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과 적용 중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가정에서 수행하기에 과제가 흥미로웠고, 난이도는 약간 어려웠으나, 과제에 제시된 안내가 과제 해결에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과제 해결 후 과학적 창의성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비디오 촬영 및 면담 분석 결과, 가족 구성원들이 과제를 수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측면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인지적 측면 이외에 가족구성원 사이의 대화와 합의의 과정 그리고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일부 관찰된 부정적인 반응을 통해서는 추후 보다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할 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가족구성원들의 채점 점수가 전문가 채점 점수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족들이 스스로 FAISC를 평가하는 데에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AISC (Family Activity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12 families. FAISC consists of 12 tasks and 12 evaluation papers. Family participants conducted the task individually and evaluated their performance results through discussion and agree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전문적인 창의성 기능을 가지지 못한 가족들에게도 기본적인 자료와 안내만 주어지면, 가족 활동을 통해서도 창의성이 길러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가족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즉 창의성이 향상되었는지, 그리고 창의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 연구에서 발표하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향상에 앞서, 가족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프로그램 특징을 소개하고,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가족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에 1차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실제적인 측면에서의 연구이다. 즉 FAISC 활용을 위해 구체적으로 활동내용과 적용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고, 적용과정에 나타난 대상자들의 반응과 특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족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반응과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의 활동자료들은 과학 창의성 활동을 가족활동으로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과학적 창의성 모델(박종원, 2004)에 기초하여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 구성원들의 반응과 특성, 나아가 창의성 향상 정도에 관심을 갖고 시작하였다.
  • 즉 FAISC 활용을 위해 구체적으로 활동내용과 적용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고, 적용과정에 나타난 대상자들의 반응과 특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50년 전에는 창의성을 어떻게 여겼는가? 1950년 전에는 창의성을 신이 준 선물로 여기고, ‘창의성은 배울 수 없는 것이다’, ‘창의성은 소수의 영재들에게만 나타난다’, ‘창의성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다’와 같은 신화가 난무했었다(Weisberg, 1986). 만일 창의성이 배울 수 없는 것이라면 창의성 교육은 존재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Guilford(1950)가 창의성에 대해서 연설을 한 이후, 창의성은 어떤 사고로 보았는가? Guilford(1950)가 창의성에 대해서 연설을 한 이후, 창의적인 사람의 특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 지기 시작하였다. 이때에는 창의성을 발산적 사고로 보고, 발산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발산적 사고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지가 쏟아져 나왔다. 예를 들면, Renzulli(2000)가제안한 창의성 활동지나 Torrance(1974)의 평가방법의 경우가 그렇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6-382. 

  2. 박종원, 박종석, 이강길 (2008). 과학적 창의성 활동 자료 개발. KRF-2007-721-B00034. 학술진흥재단 연구 보고서. 

  3. 박종원, 지경준 (2010). 과학 영재아의 창의적 과제 수행과정에서의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70-784. 

  4. 박종원, 김본경, 최재혁, 지경준 (2010).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워크숍 방식의 심화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17-1030. 

  5. 손애향 (2004). 과학교사 창의성 국외연수 효과분석 및 연수프로그램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6. 지경준, 이경학, 박종원 (2010). 과학 창의성 평가 문항 유형 개발 및 현장 교사들의 반응 분석. 제59차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하계 국제학술대회 발표. 진주: 진주교육대학교. 

  7. Amabile, T.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997-1013. 

  8. Amabile, T.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Boulder, Co.: Westview Press. 

  9. Baer, J. (1991). Generality creativity across performance domai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 23-59. 

  10. Baer, J. (1996). The effects of task-specific divergent-thinking train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0, 183-187. 

  11. Conti, R., Coon, H., & Amabile, T. M. (1996). Evidence to support the componential model of creativity: Secondary analysis of three studi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 358-389. 

  12. Cropley, A.J. (1967). Creativity. London: Longmans, Green. 

  13. Gendrop, S.C. (1996). Effect of an intervention in synectics on the creative thinking of nurs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 11-19. 

  14. Getzels, J.W., & Jackson, P.W. (1962). Creativity and Intelligence: Exploration with Gifted Students. New York: Wiley. 

  15. Fleenor, J. W., & Taylor, S. (1994). Construct validity of three self-report measures of creativit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 464-470. 

  16. Gardner, H. (1999).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17. Goldsmith, R.E., & Matherly, T.A. (1988). Creativity and self-esteem: A multiple operationalization validity study. Journal of Psychology, 122, 47-56. 

  18. Guilford, J.P. (1950, September 5). Creativity. Address of the Presiden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ennsylvania State College, PA. 

  19. Kaufman, J.C., & Baer, J. (2004). The amusement park theoretical (APT) model of creativity. Journal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14, 15-25. 

  20. Kaufman, J.C., Gentile, C. A., & Baer, J. (2005). Do gifted student writers and creative writing experts rate creativity the same way? Gifted Child Quarterly, 49, 260-265.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009 Revised Curriculum. Seoul: MEST. 

  22. Renzulli, J.S. (2000). New Directions in Creativity. Creative Learning Press, Inc. 

  23. Richards, R. (2007). Everyday creativity: Our hidden potential. In R. Richards (Ed.), Everyday Creativity and New Views of Human Natur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 Runco, M.A., & Albert, R.S. (1985).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deational originality in the divergent thinking of academically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5, 483-501. 

  25. Simonton, D.K. (2004). Creativity in Science: Change, Logic, Genius, and Zeitgeis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Torrance, E.P. (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2), 114-143. 

  27. Torrance, E.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Directions Manual and Scoring Guide (Verbal test booklet A,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28. Torrance, E.P. (1987). Teaching for creativity, In S.G. Isaks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pp. 190-215). Buffalo, NY:Bearly Press. 

  29. Weisberg, R. (1986). Creativity: Genius and other myths. N.Y.: W.H. Freeman and Co. 

  30. Wallach, M. A., & Kogan, N. (1965). Mode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m. 

  31. Ma, H.H. (2006). A synthetic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ingle components and packages in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8(4), 435-446. 

  32. Adullah Aljughaiman & Elizabeth M.R. (2005). Teachers'con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e student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9(1), 17-34. 

  33. Park, S., Lee, S., J. Oliver, S., & Cramond, B. (2006). Change i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science teaching after participating in an oversea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 37-64. 

  34.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