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중심평가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Impro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1, 2019년, pp.16 - 30  

전성수 (회원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verify the assessment's effectiveness for impro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learning.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unit "Action of Electricity" in elementary science text book for 5-6th ...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과학과 교육과정이 실제 발현되는 과학교과 수업에서 사용될 평가로써,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고려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적용이 가능한 과정중심평가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발된 과정중심평가가 일반적인 평가에 대비하여 과학개념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어떤 효과성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는 과학과 교육과정이 실제 발현되는 과학교과 수업에서 사용될 평가로써,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고려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적용이 가능한 과정중심평가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발된 과정중심평가가 일반적인 평가에 대비하여 과학개념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어떤 효과성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 이러한 상황에서 한 명의 교사가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탐구과정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서로 교환하기에는 시공간적 제약이 큰 걸림돌이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aTST(at The Same Time) 과정중심평가를 개발하여 동시다발적으로 학생참여를 통한 과정중심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10) 전기의 작용’ 영역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를 개발하고 실제 과학 수업에 적용하여 개발된 평가도구의 개념 이해 및 역량 함양에 대한 효용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10) 전기의 작용’ 영역의 학습내용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개발된 과정중심평가이다.
  • 이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10) 전기의 작용’ 단원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중심평가를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정중심평가의 구조는? 과정중심평가는 기존의 평가보다 교수․학습활 동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정보 수집을 위한 도구 및 과정으로서의 평가로서 학습전략 및 교수법 교정과 더불어 교수․학습활동과 평가가 연계될 수 있는 순환적 구조를 가진다. 기존의 평가가 학습에 대한 평가로서 결과를 중시하였다면, 과정중심평가는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로 그 과정을 중요시 여긴다.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서술'능력이 의미하는 것은? 일반적인 평가를 실시한 집단의 경우에는 모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의 ‘서술’ 능력은 자료에서 얻은 패턴이나 경향을 어떤 비관찰과 이론적 요소와 연결 없이 기술하고 묘사하여 재진술한 것을 의미한다(Braaten & Windschitl, 2011). 본 연구에서 개발된 Fig.
‘만장일치’와 ‘내재가치’ 과정중심평가가 학생에게 주는 효과는? 4의 ‘만장일치’와 ‘내재가치’ 과정중심평가는 자신이 관찰한 사실이나 자신의 의견을 다른 친구들에게 표현하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거나 평가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내용에 대한 재진술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서술’ 능력의 향상했다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정민, 심규철, 동효관, 김운화, 손정우, 곽대오, 오경환, 김용진(2014).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의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73-283. 

  2. 김성숙, 김희경, 서민희, 성태제(2015). 교수 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서울: 학지사. 

  3.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4. 교육부(2016). 과학교육종합계획. 교육부. 

  5. 교육부, 부산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학생의 성장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 수행평가 문항 자료집. 연구자료 ORM 2017-105-5. 

  6. 양일호, 나종철,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2008).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석: 5학년 1학기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7(3), 221-232. 

  7. 오영욱, 박종호, 박강은(2009). 초등학생들의 막대자석과 전자석에 대한 자기장 오개념 유형. 새물리, 58(4), 409-418. 

  8. 오현석, 이기영(2006). 현행 중등학교 과학 교과 지필평가 문항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1), 405-424. 

  9.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0. 전경희(2016).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이슈페이퍼 CP 2016-02-4, 한국교육개발원. 

  11. 전성수(2013).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눈문. 

  12. 조희영,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3. 최경희, 장현숙(2003). 중학생들의 자기 관련 오개념 조사. 새물리, 47(4), 207-217. 

  14. 최은주(2011). 중학교 과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문항의 특성과 교사와 학생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Black, P. J. (1986). Assessment for learning. In D. L. Nuttall(Ed.),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 London: Falmer Press, 7-18. 

  16. Black, P. J. & Wiliam, D. (198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5, 7-74. 

  17. Braaten, M. & Windschitl, M. (2011). Working toward a stronger 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Studies and Science Education, Wiley Periodical, Inc. 

  18. Daugherty, R., Black, P., Ecclestone, K., James, M. & Newton, P. (2012). Alternative perspectives on learning outcomes: Challenges for assessment. In J. Gardner(ed.), Assessment and learning, 72-86. 

  19. Diaz, M. R., Trujillo, L. A. G. & Rodriguez, M. (2013). Misconceptions of Mexican teachers in the solution of simple pendulum. European Journal of Physics Education, 4(3), 17-27. 

  20. Duit, R. (1993). Research on students' conceptionsdevelopments and trend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21. Hammer, D. (1996). More than misconceptions: Multiple perspectives on student knowledge and reasoning, and its influence on physics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2), 215-225. 

  22. LeMahieu, P. G. & Reilly, E. C. (2004). Systems of coherence and resonance: Assessment for education and assessment of education. In M. Wilson (Eds.), Toward coherence between classroom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104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23. McMillan, H. J. (2011).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Boston: Pearson. 

  24. Moskal, B. M. & Magone, M. E. (2000). Making sense of what students know: Examining the referents, relationships and modes students displayed in response to a decimal tas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4), 313-335. 

  2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the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0), 994-1020. 

  26. Padilla, M. J., Coronin, L. L. & Twiest, M. (198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 of basic process skil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French Lick, Indiana. 

  27. Peressini, D. & Webb, N. (1999). Analyz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student' response across multiple performance tasks. In Lee V. Steff *ed.),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 K-12, NCTM yearbook, 156-174. 

  28. Scriven, M. (1967).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R. W. Tyler, R. M. Gagne & M. Scriven (Eds.),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39-83. Chicago, IL: Rand McNally. 

  29. Smith, K. A. & Welliver, P. W. (1990). The development process assessment for fourth-grad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8), 727-738. 

  30.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31. Van den Heuvel-Panhuizen, M. (1994). Improvement of (didactical) assessment by improvement of problem: An attempt with respect to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4), 341-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