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An Application Effect of Family Activity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FAISC)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3, 2014년, pp.213 - 220  

지경준 (광주지산초등학교) ,  박종원 (전남대학교)

초록

이전 연구(Jee & Park, 2013)에서, 일반 가정에서 가족활동을 통해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12 가족을 두 구룹으로 나누어 각각 6개의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으로 제공하여 주당 한 개 프로그램씩 6주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들로부터 다양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 이어서, 가정에서의 가족활동을 통해서 과학창의성이 향상되는지를 정량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고, 가정에서의 창의성 지도 가능성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및 사후조사에서 사용할 각각 3개 문항으로 구성된 과학 창의성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는 Park(2011)이 정의한 다양한 과학 창의성 요소들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학부모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실시 결과, 학부모들은 기본적인 방법만 습득하면 누구나 과학 창의성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프로그램만 있다면 가정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의성 평가를 통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효과의 크기도 매우 크게 창의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과학 창의성 활동을 가정 내에서 뿐 아니라, 캠프나 여가활동 중 또는 과학관 등에서 가족형 프로그램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vious study (Jee & Park, 2013), family activities, which can be utilized to improve scientific creativity at hom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at study, 12 families fell into two groups, received 6 programs for scientific creativity respectively, and conducted the program for six 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FAISC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이 향상되었는지 정량적으로 조사한다.
  • 과학 창의성 지도에 대한 인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들이 적절한 프로그램과 안내가 주어지면 가정에서도 과학 창의성을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설문지 참여자는 12가족으로 총 20명의 학부모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창의성 지도가 전문적인 기능을 가진 교육자에 의해 전문교육기관에서만 가능한지, 가정에서도 가족형 활동을 통해서도 가능한지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창의성을 영재교육 분야에서만 강조하기 보다는 일반 과학교육 속에서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앞선 연구에 이어, 과학 창의성 활동을 가정에서 수행할 때 학부모에게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실제로 과학 창의성도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반 학교에서의 과학 창의성 지도에서 나아가 가정에서도 과학 창의성 지도가 가능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부모가 과학 창의성을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조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해 개발된 FAISC 프로그램을 가족구성원들에게 적용하면서 나타난 과학 창의성 활동 수행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실제로 과학적 창의성이 향상되었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는 FAISC 수행이 과학적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이다. 따라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 이를 위해 먼저 학부모가 과학 창의성을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조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즉 학부모들도 적절한 프로그램이 주어지고, 지도방법에 대한 안내만 주어지면 가정에서도 과학 창의성을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ee & Park(2013)이 실행한 FAISC에 따른 결과는 어떠한가? 그리고 12가족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6개의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일주일에 하나의 활동씩 총 6주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가족들은 과학 창의성 활동을 가정에서 수행할 때, 과제가 흥미로웠고 난이도는 약간 어려웠지만 프로그램에 제시된 활동 안내가 과제 해결에 도움을 주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과제 수행 중 녹화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도 다양한 행동 특성들을 알 수 있었고, 창의성 활동 결과에 대한 채점결과도 전문가의 결과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자신의 창의성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가 과학적 창의성 검사지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적 창의성 검사지는 Park(2011)이 개발한 과학적 창의성 활동지를 수정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본 검사지를 선택한 이유는 일반 창의성 검사를 위한 검사 도구가 아닌, 과학적 창의성 검사지로 적절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과학적 창의성 검사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과학적 창의성 검사지는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에는 6개의 과학 창의요소가 포함되어 있다(Table 2). 검사는 FAISC 적용 전과 적용 후에 실시되었는데, 사후 검사에서는 사전 검사에서 응답한 경험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동일한 창의요소가 포함되고 동일한 창의활동 유형이지만, 구체적인 소재는 변형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Project 206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 Aktamis, H., & Ergin, O. (2008). The effec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education on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science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s.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9(1), article 4, 1-21. 

  3. Aljughaiman, A., & Mowerer-Reynolds, E. (2005).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e student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9(1), 17-34. 

  4. Crowley, K., Callanan, M. A., Lipson, J. L., Galco, J., Topping, K., & Shrager, J. (2001). Shared scientific thinking in everyday parent - child activity. Science Education, 85(6), 712-732. 

  5. Diakidoy, I-A. N., & Constantinou, C. P. (2000-2001). Creativity in physics: Response fluency and task specific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4), 401-410. 

  6. Ellenbogen, K. M., Luke, J. J., & Dierking, L. D. (2004). Family learning research in museums: An emerging disciplinary matrix? Science Education, 88(Supplemental issue 1), S48-S58. 

  7. Fivush, R., Haden, C. A., & Reese, E. (2006). Elaborating on elaborations: Role of maternal reminiscing style in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7, 1568-1588. 

  8. Frederiksen, N., Evans, F. R., & Ward, W. C. (1973). Development of provisional criteria for the study of scientific creativ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U.S. (Feb. 26). 

  9. Fryer, M., & Collings, J. (1991). British teachers' views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5(1), 75-81. 

  10.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11. Hu, W., Adey, P., Shen, J., & Lin, C. (2004). The comparisons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etween English and Chinese adolescents. Acta Psychologica Sinica, 36(6), 718-731. 

  12. Hu, W., Shi, Q.Z., Han, Q., Wnag, X., & Adey, P. (2010). Creativ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nd its developmental trend.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2(1), 1-7. 

  13. Hu, W., Wu, B., Jia, X., Yi, X., Duan, C., Meyer, W., & Kaufman, J. C. (2013). Increasing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The "Learn to Think" intervention program.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7(1), 3-21. 

  14.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15. Jee, K., Lee, K., & Park, J. (2010). Develop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est items and analysis of teachers' responses on it. paper presented at the 59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inju: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Jee, K., & Park, J.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amily activity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FAISC) program.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14-131. 

  17. Kampylis, P. G., & Valtanen, J. (2010). Redefining creativity - Analyzing definitions, collocation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4(3), 191-214. 

  18. Kang, D., & Park, J. (2013). The change of fluency according to activity time when conducting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y. paper presented at the 64th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viersity. 

  19. Lee, K., & Park, J. (2012). Explo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ATSC to schools through the in-service progra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1-15. 

  20. Lin, C. (2009). Researches Into Creative Talents and Creative Education. Beijing: Economic Science Press. 

  21. Lin, C., Hu, W., Adey, P., & Shen, J. (2003). The influence of CASE on scientific creativit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 143-162. 

  22. Ma, H. H. (2006). A synthetic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ingle components and packages in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8(4), 435-446. 

  23.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24. Park, J. (2011). Understanding and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in schools. New Physics: Sae Mulli, 61(10), 947-961. 

  25. Park, J. (2012). Developing the format and samples of teaching materials for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ordinary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teachers' practice and reflect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Science Education, 32(3), 446-466. 

  26. Plucker, J. A., Beghetto, R. A., & Dow, G. T.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s,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2), 83-96. 

  27. Runco, M. A., & Dow, G. T. (2004). Assessing the accuracy of judgments of originality on three divergent thinking tes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4(2), 5-14. 

  28. Torrance, E. P. (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2), 114-143. 

  29. Ward, W. C., Frederiksen, N., & Carlson, S. B. (1980). Construct validity of free-response and machine scorable versions of a test of scientific thinking.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17(1), 1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