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와 달 표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일반 중학생들과 과학영재학생들의 개념
Middle School and Science-gifted Students' Conceptions about Motion of Object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Mo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3년, pp.193 - 207  

송영욱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지구와 달 표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일반 중학생들과 과학영재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 중학교 중학생 1학년 61명, 2학년 51명, 3학년 51명 총 163명과 대학부속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과학영재학생 32명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지구와 달 표면에서 연직, 경사면, 수평면에 따른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으로 하였다. 각각 지구와 달 표면에서 크기는 같고 질량이 다른 두 물체를 동시에 놓거나, 같은 속력으로 위쪽으로 던지거나, 수평면에서 굴렸을 때 '어느 것이 먼저 도착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지구와 달 동시 상황에서는 같은 물체를 지구와 달 표면에서 동시에 놓거나, 던지거나, 굴렸을 때 '어느 장소에 먼저 도착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학생들이 일반 중학생들 보다 지구 표면에서 연직, 경사면, 수평면의 모든 조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달 표면에서 연직 위 방향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구와 달 표면 동시 상황에서는 연직 아래 방향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연직 위 방향, 경사면, 수평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첫째, 지구와 달 표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을 할 때 진공에 대한 의미와 중력의 크기에 대한 학습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중학생들에게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서 물체의 운동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지도해야한다. 셋째, 중학생들은 상황을'동일시'하려는 사고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힘과 물체의 운동은 물리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단원이며, 교사가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때 위 결과들을 유념해서 가르쳐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and science-gifted students' conceptions about motion of object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moon. The subjects were 61 first-, 51 second-, 51 third-year students, for a total of 163 in a middle school and 32 science-gifted student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hulman은 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으로 무엇을 말했는가? 학습자가 갖고 있는 학습사태는 수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Shulman(1987)은 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으로 교과지식, 교수전략,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육학 지식 그리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라고 하였다. 곽영순 (2008)은 전문성을 갖춘 교사는 학생의 출발점과 학생의 선개념을 고려하여 과학수업을 진행한다고 하였다.
학생들의 선개념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85). 학생들의 선개념은 직관적이고 현상중심적인 사고과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특징이 있다(노금자, 김 효남, 1996; 김세욱, 홍승호, 2006; Driver et al., 1985). 그래서 다양한 상황이나 조건 속에서 일관되게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일관되게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는 경향에 있어서, 학생들이 일상적인 경험과 직관적 사고를 통해 갖게 되는 대표적인 오개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1985). 학생들이 일상적인 경험과 직관적 사고를 통해 갖게 되는 대표적인 오개념으로는 무거우면 빨리 떨어진다.’, ‘진공에서는 무게가 같다.’, ‘진공이면 중력이 없다.’, ‘달은 진공이라 물체가 떠 있다.’, 등이 있다(박진주, 오원근, 2010; 이명자, 1999; 이재석등, 2008; Alonzo & Steedle, 2009; Baldy, 2007; diSessa, 1993; Ozdemir & Clark, 2009). 이영직 (2000)의 연구에 의하면 중력과 진공에 대한 오개념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개념이며, 경험 의존적인 개념이 이론 의존적인 개념보다 개념변화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곽영순 (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2. 김세욱, 홍승호 (2006).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작은 생물'에 대한 오개념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85-494. 

  3. 김익균, 박종원 (2008). 다양한 상황의 중력 문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통합적 이해과정. 새물리, 56(6), 475-482. 

  4. 김익균, 박종원 (2009). 중력에 대한 대학생의 상황 의존적 오개념의 변화과정. 새물리, 58(6), 638- 648. 

  5.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7). 수평 및 낙하 운동에 대한 과학사적 대립개념의 대비적 토론이 무중력 상황 도입을 통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개념 변화에 미친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31-44. 

  6. 김재우, 오원근 (2005). 중력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생각과 과학 교과서의 제시 내용 비교. 새물리, 51(1), 30-36. 

  7. 노금자, 김효남 (1996).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용해 개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233-250. 

  8. 박종원 (2002). 학생 개념체계의 연속적 세련화와 정교화를 통한 개념 변화 분석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57-377. 

  9. 박진주, 오원근 (2010). 중학생의 중력과 진공 관련 오개념. 새물리, 60(6), 612-621. 

  10. 유병길 (2000). 개념변화: 급진적 구성주의에 의한 해석(I).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85-99. 

  11. 유병길 (2005). 개념변화: 사이버네틱스 관점에 의한 해석(II). 초등과학교육, 24(4), 417-125. 

  12. 윤혜경 (2011). 초등 예비교사의 아동의 과학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64-180. 

  13. 이명자 (1999). 물체의 자유낙하에 대한 아동의 정신모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89-399. 

  14. 이영직 (2000). 뉴턴 운동 법칙에서 학년에 따라 나타나는 학생들의 오개념 견고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2), 93-105. 

  15. 이재석, 신동희, 이봉우 (2008).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중력과 중력의 방향에 대한 개념 분석. 새물리, 56(4), 343-349. 

  16.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17. Alonzo, A. C. & Steedle, J. T (2009). Developing and Assessing a Force and Motion Learning Progression. Science Education, 93(3), 389-421. 

  18. Baldy, E. (2007). A New Educational Perspective for Teaching Gra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4), 1767- 1788. 

  19. Driver, R., Guesne, E. & Tiberghien, A. (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Milton Keynes,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193-201. 

  20. diSessa, A. A. (1993). Toward an Epistemology of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0(2), 105-225. 

  21. diSessa, A. A., Gellespie, N. M. & Esterly, J. B. (2004). Coherence versus fragment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force. Cognitive Science, 28(4), 843-900. 

  22. Hammer, D., Elby, A., Scherr, R. & Redish, E. (2004).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J. Mestre (Eds.), Transfer of learning: Research and Perspectives.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89-120. 

  23. Ioannides, C. & Vosniadou, C. (2002). The changing meaning of force. Cognitive Science Quarterly, 2, 5-61. 

  24. Ozdemir, G. & Clark, D. (2009). Knowledge Structure Coherence in Turkish Students' Understanding of For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5), 570-596. 

  25. Pringle, R. M. (2006). Preservice teachers' exploration of children's alternative conceptions: Cornerstone for planning to teach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3), 291-307. 

  26.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1. 

  27. Song, J. W., Jang, K. A. & Pak, S. J. (1996). Students'Conceptions and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Concept: Free-fall Mo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2), 164-174. 

  28. Taber, K. S. (2001). The mismatch between assumed prior knowledge and the leaner's conceptions: A typology of learning impediments. Educational Studies, 27(2), 159- 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