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빛의 굴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개념이해와 지도계획의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al Planning of Light Refrac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1 no.1, 2021년, pp.11 - 18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빛의 굴절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를 읽을 때 생성한 질문을 분석함으로써 개념이해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지도계획을 세울 때의 어려움에 어떤 것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빛과 렌즈' 단원의 지도서를 읽고 초등예비교사 283명이 생성한 의미있는 질문은 총 592개였고 이 중 물리 개념이해를 위한 질문은 총 306개, 교육학적 질문은 총 286개였다. 분석 결과, 초등예비교사는 물리 개념이해 측면에서 굴절이 일어나는 원인, 빛을 산란시켜야 하는 이유,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상의 변화 원인 등 교과서에 제시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의 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지도계획 측면에서는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질문, 즉 초등학생에게 개념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현상만을 지도하여야 하는 것에 대한 질문, 특정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방법, 실험 방법 등에 대한 질문 그 뒤를 이었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들의 개념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설명들과 보충자료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개념에 대해서는 지도서를 읽고서도 의문이 해결되지 않는 초등예비교사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의 빈도가 높은 개념에 대해서는 좀 더 알기 쉽게 지도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지도계획에 있어서는 교수법과 실험방법에 대한 질문이 많았기 때문에 교사용 지도서에서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예시와 구체적 실험방법을 좀 더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estions generat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en reading the teacher's guide for the refraction of light, and to analyze th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in making instructional plans. A total of 592 meaningful questions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1)

  1. Akerson, V. L., Morrison, J. A., & McDuffie, A. R. (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2), 194-213. 

  2. Appleton, K. & Kindt, I. (1999). How Do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Cope with Scienc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3. Ball, D. L., & Cohen, D. K. (1996). Reform by the book: What is-or might be-the role of curriculum materials in teacher learning and instructional reform?. Educational Researcher, 25(9), 6-14. 

  4. Czerniak, C.,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1), 49-58. 

  5. Graesser, A. C. & Olde, B. A. (2003). How does one know whether a person understands a device? The quality of the questions the person asks when the device breaks dow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3), 524. 

  6. Jang, M., Joung, Y. & Kim, H. (2011).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and utilization on the general remarks in the science teacher's gui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35-552. 

  7. Jeon, Y-M. (2006). Understanding American teachers' use of teachers' manuals: Two case studie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3(3), 5-24. 

  8. Kim, G. & Lee, H. (2016). The analysis on question's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of 5, 6th grade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1), 1-12. 

  9. Kim, H. & Song, J. (2020). Analysis of Reference Data in Science Guidebooks for Elementary Teachers Developed for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Physics Section for the Third-Sixth Gra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9(2), 155-167. 

  10. Kim, Y. & Yoo, J. (2019).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on teaching science by analyzing questions in an autonomous online teacher community: Focusing on physics questions in indischo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cience Education, 39(1), 73-88. 

  11. Kwak, Y. S. (2011).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4), 422-434. 

  12. Kwon, G-P. (2014). An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 of the Straw Reflection Image. Teacher Education Research, 53(4), 815-824. 

  13. Kwon, J., Jung, W. & Kim, Y. (2001). Teache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o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 75-89. 

  14. Kwon, C., Park, B. (2011).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or subject of new science teacher's guid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247-260. 

  15. Lee. J. (2018). Collaborative reading comprehension of science textbook via students' knowledge sharing in an online annot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5), 667-680. 

  16. Lee, J. E. (2015). Perspectives on traveling according to light source in students, pre- and in-service teach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thesis. 

  17. Lee, K. H. & Choi, M. Y. (2013). Critical examination of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edagogical Conten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6), 667-689. 

  18. Oh, P. S. (2011). "Unfillable Cups": Meanings of science class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271-294. 

  19. Otero, J. & Graesser, A. C. (2001). PREG: Elements of a model of question ask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19(2), 143-175. 

  20. Park, S. H. (2001). A qualitative study on investigation of science-related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inservice teachers in terms of personal self-efficacy about science teach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 Education, 18(1), 123-150. 

  21. Park, S. H. (2003).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edictor variables in science teaching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6), 671-6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