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요인 및 건강행태 요인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Korean Elderly People's Self-rated Health Status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4 no.1, 2013년, pp.37 - 49  

이미애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대철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health and health behavior factors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SEP) and Korean elderly people's self-rated health status. The data sources are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2008). The analysis sample consists of 4,0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기술통계치를 확인하고 이들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 빈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서 건강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상호작용항 투입과 R2 변화량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PSS 16.0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위(SEP), 건강요인(일상생활수행기능, 인지기능, 우울, 통증), 건강행태 요인(규칙적 운동 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 음주, 흡연) 등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먼저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기술통계치를 확인하고 이들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 빈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MMSE와 음주가 언제, 어떤 조건하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효과모델로써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으면 건강도 더 좋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직ㆍ간접효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있었던 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후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단순히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보고하고 따라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직접 효과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단편적인 인과관계 분석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건강요인과 건강행태요 인이 언제, 어떤 조건하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즉, 조절효과모델을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구조화하고 상호 영향관계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제2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요인, 그리고 건강행태요인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건강 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요인, 그리고 건강행태요인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목적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가 건강요인 및 건강행태요인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 분석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제2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요인, 그리고 건강행태요인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건강 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향후 노인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건강을 평가할 때 광의적 관점으로 보면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로 분류 할 수 있는데 그 중 객관적 평가는 무엇인가요? 개인의 건강을 평가할 때 광의적 관점으로 보면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객관적 평가는 의료기관에서 의료제 공자가 객관적 관찰을 통해 내리는 평가라면 주관적 평가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당사자가 인지하고 느끼는 주관적 평가라고 할 수 있다. 협의적으로는 개인의 건강을 평가할 때 신체적 건강상태, 인지적 건강상태, 기능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등이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건강이란 무엇인가요? 건강은 개인이 신체적으로 독립상태를 유지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기능을 수행해가며 사회생활에서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하여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이다(Lee & Park 2006). 개인의 건강을 평가할 때 광의적 관점으로 보면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주효과모델은 무엇을 전제로 하고 있나요? (2003)의 연구는 가족 중에 누군가가 뇌졸중, 암, 치매 등으로 일상생활기능이 저하되어 장기간의 돌봄이 필요한 스트레스 상황이 되었을 때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상태 또는 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부양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주효과모델(main effect model), 매개효과모델(mediating effect model), 그리고 조절효과 모델(moderating effect model)로 설명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주효과모델은 스트레스 상황이 어떠하든지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 간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데 실제로 국내 대부분 선행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노인의 건강상태 간 또는 사회적 지지와 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부양자 건강상태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고하고 있고 이 상관관계는 직접적 상관관계를 의미한다(Lee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ron RM, Kenny DA(1986) The moderator-medic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 Pers Soc Psychol 51, 1173-1182 

  2. Berkman LF, Breslow L(1993) Health and ways of living: The Alameda county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 Chi SH, Oh HC, Kim YS(1994) Kangwha cohort 8 year follow-up: Self-rated health & mortality in elderly. Epidemiol Health 16(2), 178-180 

  4. Fehir JS(1989) Self-rat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5. Heo JH, Cho YT(2008) Activity limitations and health behaviors by socioeconomic status among the elderly Seoul population. J Korean Geron Soc 28(1), 87-104 

  6. Himes CL(2000) Obesity, disease, and functional limitations in later life. Demogr 37, 73-82 

  7. Hoeymans N, Feskens EJ, Kromhout D, Bos van denGAM(1997) Ag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function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man. Soc Sci Med 45, 1527-1536 

  8. Kahng SK, Kwon TY(2008) An expla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epressive symptoms across lifespan. Mental Health Soc Work 30, 332-355 

  9. Kang YJ(2010)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and school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1(3), 323-339 

  10. Kim CY(2004) Socio-economic status, health, & health behavior. Health Welfare Policy Forum 92, 18-25 

  11. Kim HS(2000) The elderly and deviant behavior (suicide). J Welfare Aged 10, 24-44 

  12. Kim HR, Kang YH, Yoon KJ, Kim CS(2004)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Institute of Korean Public Health, Seoul, Korea 

  13. Kim SY, Ko SG, Kwon JH(2007)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widowed elderly. Korean J Clin Psychol 26(3), 573-596 

  14. Ko MS, Seo IK(2011) Influences of the elderly's health status upon their stress and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Korean Public Health Res 37(1), 1-14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1) Living Stat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of the Korean Elderly. 

  16. Korea Labor Institute(200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17. Koukouli S, Vlachonikolis IG, Philalithis A(2001)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elf-reported functional status: The significance of social support. BMC Health Serv Res 2, 20-33 

  18. Lee HJ, Kahng SK, Lee JY(2008)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 o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 J Korean Geron Soc 28(4), 1129-1145 

  19. Lee HJ, Seo JM, Ahn SH(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Nurs 33(6), 713-721 

  20. Lee JS(2005) Social equity of non-smoking policy. Cancer Prev Res 10(3), 192-198 

  21. Lee KJ, Park HS(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2(3), 221-230 

  22. Lee PS, Lee YM, Yim JY, Whang RI, Park EY(2004) The elderly's stress, social support & depression. J Korean Acad Nurs 32(3), 477-484 

  23. Lee SH, Ko JE(2009) Factors affecting the ability of older adults to identify symptoms of depression. J Korean Geron Soc 29(2), 529-546 

  24. Lee SY, Seo I(1995) Relationship of health and health practices. Epidem Health 27, 48-63 

  25. Lee YJ, Kim TH(1999) A study on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tres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J Korean Geron Soc 19(3), 79-93 

  26. Luoh M, Herzog AR(2002) Individual consequences of volunteer and paid work in old age: Heath and mortality. J Health Soc Behavior 43, 490-509 

  27. Lynch SM(2003) Cohort and life-course patter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A hierarchical approach. Demogr 40(2), 309-331 

  28. Murali V, Oyebode F(2004) Poverty, social inequality and mental health. Adv Psychiatr Treat 10, 216-224 

  29.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0)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30. Oh IG, Oh YS, Kim MI(2009)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femakes in Korea: Analysis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Korean J Fam Welfare 14(1), 113-136 

  31. Oh YH, Bae HO, Kim YS(2006)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 Korean Geron Soc 26(3), 461-476 

  32. Otiniano ME, Du XL, Ottenbacher K, Markides KS(2003) The effect of diabetes combined with stroke on disability,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older Mexican Americans. Academy Phys Med Rehab 84, 725-730 

  33. Park JH, Cheong JH(2010)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 medi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J Welfare Aged 47, 309-330 

  34. Randolff LS(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 385- 401 

  35. Scott WK, Macera CA, Cornman CB, Sharpe PA(1997) Functional health status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n and women over 65. J Clin Epidem 50(3), 291-296 

  36. Stroller EP(1984) Selk-assessment of hralth by the elderly: The impact of informal assistance. J Health Soc Behav 25, 260-270 

  37. Townsend A, Miller B, Guo S(2001)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couples: A dyadic analysis. J Geron 56, 352-364 

  38. Ware JE(1987)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 Chronic Dis 40, 473-480 

  39. Yoon TH(2000) Health behavior among economic classe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