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lative factors of old-old elderly of more than 75-year-old -Based on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279 - 4289  

김은석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성국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윤희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남행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경희 (영남이공대 보건과학부) ,  권기홍 (영남이공대 보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75세 이상 후기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75세 이상 후기노인 468명에 대해 연구하였다.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성별(OR=0.456, 95%CI=0.257-0.805), 직업(OR=1.437, 95%CI=0.963-2.149), 배우자(OR=0.673, 95%CI=0.443 -1.022), 스트레스정도(OR=0.476, 95% CI=0.309-0.730), 우울증상(OR=0.410, 95% CI=0.238-0.704), 주관적 구강 상태(OR=1.874, 95% CI=1.332-2.643), 흡연(OR=0.738, 95% CI= 0.523-1.039), 음주(OR=1.251, 95% CI=1.017-1.540), 걷기실천(OR=1.698, 95% CI=1.188 -2.431)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노인에 비해 남자노인이, 직업이 있을 경우, 배우자가 없을 경우, 스트레스정도가 낮을 경우, 우울증상이 없을 경우, 음주를 하고 있을 경우, 걷기를 실천할 경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특성들을 충분히 고려한 건강관리지원이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status and relative factors of 468 people of the latter stage of more than 75-year-old in 2011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sex(OR=0.456, 95%CI=0.257-0.805), occupation(OR=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5세 이상 후기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의 수혜를 받지 못한 저소득층의 가구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이들 노인 중심의 건강관리지원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건강관리사업에는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확대가 바람직하리라 여겨진다.
  • 본 연구는 75세 이상 후기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2차년도인 2011년 원시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8,518명 중에서 75세 이상 후기노인 468명에 대해 교차분석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75세 이상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건강관련 행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였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차년도(2011년)의 원시자료[23]를 이용하여 75세 이상 후기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과 노인보건사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로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2].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와 의료비 부담의 증가를 비롯한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건강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으며, 노인 건강상태와 관련된 문제의 해결은 현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인구수의 급속한 증가라는 측면 이외에도 향후 베이비부머 및 연금수급권자의 노년기 진입이 예상됨에 따라 우리사회는 더욱 복합적인 노인문제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게 되었다[3].
노년기 최대 관심사인 건강을 축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는? 한편, 노년기 최대 관심사인 건강을 축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는 주관적 건강상태이다[7]. 주관적 건강상태란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포함하여한 개인이 자신의 전반적인 건강에 대해 내린 평가 혹은 인식[8]을 의미한다.
주관적 건강상태란? 한편, 노년기 최대 관심사인 건강을 축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는 주관적 건강상태이다[7]. 주관적 건강상태란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포함하여한 개인이 자신의 전반적인 건강에 대해 내린 평가 혹은 인식[8]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년기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만성질환 및 신체기능제한으로 인한 결과이기도 하며[9,10], 주관적 건강상태로 부터 사망[11-14], 삶의 질[15], 삶의 만족도[16-19]와 같은 주요 변인들을 예측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in elderly 2013", [cited 2013 September 30], Available from URL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aSeq308688&bmoderead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10-2060 based on the 2010 census", 2011. 

  3. H. S. Gweon,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ported Health-",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pp. 995-1008, 2009. DOI: http://dx.doi.org/10.5934/KJHE.2009.18.5.995 

  4. M. S. Lee, H. J. Lim,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Rural Area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35(4), pp. 370-382, 2010.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10.35.4.370 

  5. Kim, J. Y. Lee, S. G. Lee, S. K.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pp. 471-484, 2010. 

  6. Nakajima K, Takeuchi K, Tajima H, Tamiya S. Gerontological Nursing. p. 29-45, IGAKU-SHOIN Ltd, 1995. 

  7. J. H. Yeom. "A Comparison Study of Self-Rated Health(SRH) Trajectory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23(1), pp. 193-239, 2013. 

  8. J. Liang,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1, pp. 248-260, 1986. DOI: http://dx.doi.org/10.1093/geronj/41.2.248 

  9. T. Y. Kwon,. 2011. "The trajectories of the change and effect factors of subjective-health status: focus on life stages",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 Winter, pp. 203-231, 2011. 

  10. J. H. Yeom, J. S. Park, D. H. Kim, "A Study of Determinants on Self-rated Health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2(4), pp. 1101-1118, 2012. 

  11. Y. Benyamini, T. Bluemstein, A. Lusky and B. Modan, "Gender differences in the self-rated health-mortality association: Is it poor self-rated health that predicts mortality or excellent self-rated health that predicts survival?", The Gerontologist, 43, pp. 396-405, 2003. DOI: http://dx.doi.org/10.1093/geront/43.3.396 

  12. K. F. Ferraro, J. A. Kelley-Moore, "Self-rated health and morality among black and white adults: examining the dynamic evaluation thesi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6B, pp. S195-S205, 2001.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6.4.S195 

  13. E. L. Idler, Y. Benyamini,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 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8(1), pp. 21-37, 1997. DOI: http://dx.doi.org/10.2307/2955359 

  14. J. M. Mossey, E. Shapiro, "Self-rated health: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2, pp. 800-808, 1982. DOI: http://dx.doi.org/10.2105/AJPH.72.8.800 

  15. B. L. Nunley, L. A. Hall, G. D. Rowles, "Effects of the quality of dyadic relationship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care recipie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6, pp. 23-31, 2000. DOI: http://dx.doi.org/10.3928/0098-9134-20001201-07 

  16. K. S. Kim, C. N. Yu, "A Longitudinal Study on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Trajectory in Old Ag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8, pp. 163-187, 2012. 

  17. S. M. Park, J. A. Son, S. W. Bae,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prospectiv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cience Research, 25(3), pp. 1-24, 2009. 

  18. Y. J. Park,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of Stress,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rural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20(2), pp. 244-263, 2010. 

  19. J. H. Lee, G. H. Han, "The effects of work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3(1), pp. 209-238, 2003. 

  20. K. R. Shin, Y. S. Byeon, Y. H. Kang, J. W. Oak,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pp. 437-444,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3.437 

  21. Y. H. Oh, H. O. Bae, Y. S. Kim,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6(3), pp. 461-476, 2006. 

  22. Y. S. Kwon, S. J. Rhee, "A Program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Care for the Aged Families",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7(2), pp. 205-212, 2005.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201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2. 

  24. M. M. Farmer, K. F. Ferraro, "Distress & perceived health. Mechanism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8(3), pp. 298-311, 1997. DOI: http://dx.doi.org/10.2307/2955372 

  25. T. A. Balkely, K. Lochner, I. Kawachi, "Metropolitan area income inequality and self-rated health-a multi-level study", Social Science & Medicine, 54, pp. 65-77,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01)00007-7 

  26. N. Craig, "Exploring the generalisability of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self-assesse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60, pp. 2477-2488, 2005.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4.11.018 

  27. A. S. Deaton, C. H. Paxon, "Aging and inequality in income health", American Economic Review, 88(1), pp. 248-253, 1998. 

  28. N. E. Adler, W. T. Boyce, M. A. Chesney, S. Folkman, S. L. Sym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No easy solu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9, pp. 3140-3145, 1993. DOI: http://dx.doi.org/10.1001/jama.269.24.3140 

  29. C. E. Ross, C. Wu, "Education, age, and cumulative advantage in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7, pp. 104-120, 1996. DOI: http://dx.doi.org/10.2307/2137234 

  30. H. B. Woo, I. J. Yoon, "Differences in the Health Status of the Korea Elderly by Socio-demographic Factor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9, pp. 67-106, 2001. 

  31. M. S. Lee, "Structures of Health Inequalities of Korean Elderly : Analysi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Health and Social Science, 25, pp. 5-32, 2009. 

  32. Y. J. Choi,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Age", The Graduate School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2009. 

  33. S. H. Le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active Coping on the Effect of Elderly's Life Stres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Perception",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2010. 

  34. Y. H. Choi, "A Study on depression, sleep and fatigue in younger and older elders", J Korean Acad of Commu Health Nurs., 18(2), pp. 223-231, 2007. 

  35. C. McGrath, R. Bedi, M. S. Gilthorp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view of the public in the United Kingdom. Community Dent Health, 17, pp. 3-7, 2000. 

  36. J. S. Lee, I. S. Lee, "A study of Impacts of Heath Promotion Activities and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of the Aged",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7, pp. 231-253, 2005. 

  37. Y. H. Nam, J. R. Nam,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4), pp. 145-162, 2011. 

  38. K. R. Shin, J. S. Kim, M. S. Sung,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income elderly women in urban". J Korean Acad of Adult Nurs., 19(5), pp. 819-828, 2007. 

  39. M. S. Lee, "Nutritional Risk,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Low-Income Elderly Women",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37(1), pp. 12-22, 2012.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12.37.1.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