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톳(Hizikia fusiformis)에서부터 분리된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on Activities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aweed, Hizikia fusiform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3 = no.155, 2013년, pp.361 - 367  

김민정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혜현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서민정 (Medi-Farm 산업화 연구사업단) ,  강병원 (Medi-Farm 산업화 연구사업단) ,  박정욱 (Medi-Farm 산업화 연구사업단) ,  정영기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zikia fusiformis을 80% EtOH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n-hexane, ethyl acetate, n-BuOH, Aqueous n-BuOH fraction으로 순차적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4개의 분획물 중에 항산화 활성이 높은 n-BuOH 분획물을 reserve-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분리된 3개의 BA, BB, BC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가장 항산화능이 높은 BB 분획물은 모든 실험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데, 시료의 농도가 1.0 mg/ml일때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Reducing power activity는 $45{\pm}0.14%$, $1.34{\pm}0.23$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beta}$-carotene-linoleic acid activity와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도 $76{\pm}0.12%$$82{\pm}0.06%$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도 $65{\pm}0.17%$의 활성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최종 분리된 BB분획물은 높은 항산화능을 가진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앞으로 새로운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zikia fusiformis has been widely used in Oriental herbal medicine and health food. To identify antioxidation properties that contain natural bioactive substance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active compounds existing in batches of organic solvent fractionation. A dried form of H. fusifor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톳에서부터 분리된 항산화 물질들은 phlorotannin, 황산기를 갖는 다당류 등 한정된 연구에 그쳐 새로운 천연물질의 탐색이 필요한 상태이다[34, 3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대표적인 톳의 EtOH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분리한 물질을 in vitro상태에서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는 어떤 항산화 효소를 가지고 있는가? 이러한 질병은 세포내 에너지대사 과정에서 생기는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 및 peroxy radical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해서 세포내 단백질, 지질 및 DNA 가 기능적 손상을 받게 되어 생성된다[9]. 생체는 이러한 활성산소부터 생체를 방어할 수 있는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catalase (CAT),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S-transferase 등의 항산화 효소를 가지고 있으나[1],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에게는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이에 대한 예방 및 개선책으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루 갖춘 천연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들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6].
톳에는 다른 해조류에 비하여 어떤 성분이 풍부한가? 본 연구에 사용된 톳(Hizikia fusiformis)은 갈조류 모자반과의 다년생 해조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문진 이남에서 서해안과 남해안 및 제주도에 걸쳐 서식한다. 다른 해조류에 비해 칼슘, 철, 요오드 같은 무기질,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항암[3], 면역증강[29], 항산화[31], 항균효과[23]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폴리페놀 화합물이 많은 분획 추출물에서 항산화 효과가 컸다는 보고[8, 25]가 있었으나, 지속적인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해조류는 육상생물과 다른 환경으로 인해 어떤 것의 화학구조가 매우 독특한가? 이러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육상생물에 한정되었으나, 그 희소성이 점차 고갈되어[14] 최근에는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해양생물로 연구의 방향이 넓혀지고 있다. 그 중 해조류는 육상생물과는 다른 환경으로 생체 내 2차 대사산물의 화학구조가 매우 독특하며, 매우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0, 18, 19]. 해조류는 우리나라와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분포되어 이용해 왔으며, 영양학적으로 소화 흡수율이 낮아 큰 관심을 끌지 못했으나, 최근에 열량은 매우 낮고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며, 비소화성의 점질성 다당류를 다량 함유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derson, D. 1999. Antioxidant defences against reactive oxygen spicies causing genetic and other damage. Mutation Res 350, 103-108. 

  2. Brand-Williams, W., Cuvelier, M. E. and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 Technol 28, 25-30. 

  3. Cho, K. J., Lee, Y. S. and Ryu, B. H.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J Korean Fish Soc 23, 345-352. 

  4. Choi, S. I., Lee, Y. M. and Hoo, T. R. 2003.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Koean J Biotech Bioeng 18, 282-288. 

  5. Cutler, R. G. Antioxidants aging, and longevity. 1984. Free Radicals in Biology. pp. 371-423, 6th eds., In Pryor, W. A. (ed), Academic press. 

  6. Gomes, A., Vedasiromoni, J. R., Das, M., Sharma, R. M. and Ganguly, D. K. 1995. Anti-hyperglycemic effect of black tea (Camellia sinensis) in rat. J Ethnopharmacol 45, 223-226. 

  7. Gordon, M. 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 pp. 1-18, In Hudson, B. J. 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New York. 

  8. Haung, H. L. and Wang, B. G. 2004. Antioxidant capacity and lipophilic content of seaweeds collected from the Qungdao coastline. J Agric Food Chem 52, 4993-4997. 

  9. Hur, S. K., Kim, S. S., Heo, Y. H., Ahn, S. M., Lee, B. G. and Lee, S. K. 2001. Effect of the grapevine shoot extracton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 macrophages. J Appl Pharmacol 9, 188-193. 

  10. Jeon, M. H. and Kim, M. 2011. Effect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J Life Sci 21, 300-308. 

  11. Jeong, D. S., Sohn, Y. K., Lee, Y. I., Yun, I. H. and Kim, J. K. 1986.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and processings of Ganoderma lucidum. Ann Res Report 28, 140-148. 

  12. Jeong, J. W., Lee, Y. C., Jung, S. W. and Lee, K. M. 1994.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09-712. 

  13. Jimenez-Escrig, A. and Cambrodon, I. G.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noam Nutr 49, 114-120. 

  14. Joung, E. Y. and Lee, S. K.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regeneration effect in HaCat cell by Jeju Island aboriginal Ecklonia cava. J Korean Soc Cosm 13, 1071-1077. 

  15. Juma, B. F., Yenesew, A., Midiwo, J. O. and Waterman, P. G. 2001. Flavones and phenylpropenoids in the surface exudate of psiadia punctulata. Phytochemistry 57, 571-574. 

  16. Karawita, R., Siriwardhana, N., Lee, K. W., Heo, M. S., Yeo, I. K., Lee, Y. D. and Jeon, Y. J. 2005.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metal chelatin,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properties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Hizikia fusiformis. Eur Food Res Technol 220, 363-371. 

  17. Kim, H. K., Kim, Y. E., Do, J. R., Lee, Y. C. and Lee, B. 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18. Kang, K., Park, Y., Hwang, H. J., Kim, S. H., Lee, J. G. and Shin, H. C.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rown algae polyphenolics and their perspectives as chemopreventive agents against vascular risk factors. Arch Pharm Res 26, 286-293. 

  19. Koing, G. M., Kehraus, S., Seibert, S. F., Abdel-Lateff, A. and Muller, D. 2005. Natural products from marine organism and their associated microbes. Chem Biochem 7, 229-238. 

  20. Larson, R. 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21. Lee, K. D., Chang, H. K. and Kim, H. 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22. Lee, S. K. 1997. Evaluation of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mediated by antioxidants and modulators of tumor promotion. Ph. D. Thesis, Illinois university, Chicago, USA. 

  23. Lim, S. B., Kim, S. H., Ko Y. H. and Oh, C. K. 1995. Extraction yields of Hizikia fusiforme and Aloe vera Linn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i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8-73. 

  24. Lim, S. N., Cheung, P., Ooi, V. and Ang, P. 2002.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astrum. J Agric Food Chem 50, 3862-3866. 

  25. Matthaus, B.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residues of different oilseeds. J Agric Food Chem 50, 3444-3452. 

  26. Miller, H. E. 1971. Simplifie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s. J Am Oil Chem Soc 48, 91. 

  27. Moon, B. H., Lee, Y. S., Shin, C. S. and Lim, Y, H. Y. 2005. Complete Assignments of the 1H and 13C NMR Data of Flavone Derivatives. Bull Korean Chem Soc 26, 603-608. 

  28. Obata, T. and Yamanaka, Y. 1996. Effect of iron (II) on the generation of hydroxyl free radicals in rat mycocardium. Biochem Pharmacol 51, 1411-1413. 

  29. Owen, T. A., Aronow, M. and Shahoub, V. 1990. Progressive development of the rat osteoblast phenotype in vitro: relationships in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during formation of the bone extracellular matrix. J Cell Physiol 143, 420-430. 

  30. Oyaizu, M. 1985.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amine. Jpn J Nutr 44, 307-314. 

  31. Park, J. C. and Choi, J. W. 1996. Screenig of marine natural products on inhibitory effect of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27, 117-122. 

  32. Park, K. E., Jang, M. S., Lim, C. W., Kim, Y. K., Seo, Y. G. and Park, H. 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33.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34. Yan, X., Nagata, T. and Fan, X. 1998. Antioxidative activities in some common seaweeds. Plant Foods Hum Nutr 52, 253-262. 

  35. Zhang, Q., Li, N., Zhou, G., Lu, X., Xu, Z. and Li, Z. 2003.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orphyra haitanesis (Rhodephta) in aging mice. Pharmacol Res 48, 151-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