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멜라닌 생합성은 tyrosinase의 효소적 산화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톳(Hizikia fusiformis)의 미백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물을 용매로 이용한 분획과정을 통해 톳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생쥐의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은 미백효과를 나타냈지만,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에탄올 추출물은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은 미백활성을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100{\mu}g/ml$의 농도에서 arbutin $10{\mu}g/ml$의 활성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나, kojic acid $10{\mu}g/ml$의 활성보다는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은 $100{\mu}g/ml$의 농도에서 arbutin $10{\mu}g/ml$의 활성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L-ascorbic acid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냈다.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다른 시료들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및 수층 분획물은 $500{\mu}g/ml$의 농도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발현을 각각 82와 80%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 톳의 에탄올 추출물과 수층 분획물은 미백효과 및 피부 보호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in synthesis is catalyzed by tyrosinase.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fractions from ethanol extract of H. fusiformis were prepared by a systematic fractionation procedure with solvents such as methanol, hexane, butanol, and $H_2O$. The ethanol extrac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용 해조류인 톳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획물을 제조하고 멜라닌생성 억제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을 검증하여 피부 미백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이란? 따라서, 피부의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지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멜라닌은 동․식물과 미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천연색소로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melanocyte 내의 melanosome에서 합성된다[30]. 멜라닌은 L-tyrosine의 연속 적인 산화반응으로 합성되는데, L-tyrosine은 tyrosinase에 의해 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으로 전환되고, L-DOPA는 phenylanine-3,4-quinone으로 산회되며, 중간 대사산물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된다[32].
피부의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하며, 심할 경우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9]. 따라서, 피부의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지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멜라닌은 동․식물과 미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천연색소로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melanocyte 내의 melanosome에서 합성된다[30].
천연물을 활용한 화장품소재를 개발하게 된 기존의 미백 소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따라서, 피부미백과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그 물질이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다[7]. 현재까지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물질에 관한 연구는 주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저해제로는 hydroquinone, ascorbic acid, 4-hydroxyanisole, kojic acid, azelaic acid, arbutin, corticosteroids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점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1,14,22,24,33]. 따라서, 화장품 업계에서는 기존의 미백소재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최근에는 상백피, 짝자래나무, 포도씨 및 피트모스 추출물 등의 천연물을 활용한 화장품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면서 미백효과가 뛰어난 소재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7,10,17,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abanes, J., Chazara, S. and Garcia, C. F.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985. 

  2. Chabrier, P. E. and Auguest, M. 1999. Nitric oxide synthases: targets for therapeutic strategies in neurological diseases. Cell Mol. Life Sci. 55, 1029-1035. 

  3. Cho, J. S. 1988. Food materials, Gijeon, Seoul, Korea pp. 336-336. 

  4. Chung, M. J., Walker, P. A., Brown, R. W. and Hogstrand, C. 2005. Zinc-mediated gene expression offers protection against $H_2O_2$ -induced cyto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205, 225-236. 

  5. Ha, B. J. 2001. Cosmeceuticals. Shingwang Co., Seoul, Korea pp. 12-15. 

  6. Ha, S. E., Kim, H. D., Park, J. K., Chung, Y. O., Kim, H. J. and Park, N. B. 2009.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in B16 melanoma cells. Kor. J. Plant Res. 22, 317-322. 

  7. Han, J. Y., Sung, J. H., Kim, D. J., Jeong, H. S. and Lee, J. S. 2008.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grape seeds on mushroom tyrosinase. J. Kor. Soc. Food Nutr. 37, 1679-1683. 

  8. Hurch, F. C., Meade, J. B., Treanor, R. E. and Whinna, H. C. 1989. Antithrombotic activity of fucoidin with heparin cofactor II, antithrombin III and thrombin J Biol. Chem. 6, 361-375. 

  9.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 A. and Fuller, B. 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s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10. Jee, S. O.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Kor. J. Plant Res. 22, 145-151. 

  11. Jang, M. J., Cheon, S. J., Kim, H. Y., Kwoen, D. J., Kim, H. Y., Kim, S. H. and Lee, J. T. 2011. Th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J. Life Sci. 21, 734-738. 

  12. Jeong, M. H., Kim, S. S., Kim, J. S., Lee, H. J., Choi, G. P. and Lee, H. Y. 2010. Skin whitening and skin immun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Acer mono and Acer okamotoanum. J. Kor. For. Soc. 99, 470-478. 

  13. Jung, B. M., Ahn, C. B., Kang, S. J., Park, J. H. and Chung, D. H. 2001.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extracti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riton-inducced hyperlipidem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1184-1189. 

  14. Jung, S. W., Lee, N. K., Kim, S. J. and Han, D.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5. Kim, H. S., Choi, E. O., Park C., Choi, Y. H., Hyun, S. K. and Hwang, H. J. 2011.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extracts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vitamin E concentration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40, 1556-1561. 

  16. Kim, K. I., Seo, H. D., Lee, H. S., Jo, H. Y. and Yang, H. C. 1998. Studies on the blood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f Hijikia fusiforme. J. Kor. Soc. Food Sci. Nutr. 27, 1204-1210. 

  17. Kim, M. H., Jeon, M. J., Park, M. R., Lee, S. W., Hwang, H. J., Jang, H. J., Kang, M. S., Kim, B. K., Choi, S. T., Park, M. Y. and Lee, S. H. 2011. Purification of peat moss extract using a supercritical $CO_2$ and verification of its biological activities. Kor. J. Biotechnol. Bioeng. 26, 459-464. 

  18. Kim, N.-Y., Jang, H., Lee, D.-G., Jang, M.-K., Lee, S. W., Jeon, M. J., Kim, M., Kim, S. G. and Lee, S.-H. 2011. Establishment of in vitro detection system for iNOS expression and verification of suppressive effect by pine needle extract. KSBB J. 26, 172-176. 

  19. Kim, S. A., Kim, J., Woo, M. K., Kwak, C. S. and Lee, M. 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 Soc. Food Sci. Nutr. 34, 451-459. 

  20. Kim, T. K., You, J. K., Kim, J. M., Baek, J. M., Kim, H. S., Park, J. H. and Choe, M. 2010. Antioxidant and whith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9, 1418-1424. 

  21. Kligman, D. 2000. Cosmeveuticals. Dermatol. Clin. 18, 609-615. 

  22. Kwak, J. H., Kim, Y. H., Chang, H. R., Park, C. W. and Han, Y. H. 2004.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Kor. J. Biotechnol. Bioeng. 19, 437-440. 

  23. Lim, S. B., Kim, S. H., Ko, Y. H. and Oh, C. K. 1995. Extraction yields of Hizikia fusiforme and Aloe vera Linn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ir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68-73. 

  24. Lee, H. B., Bai, S. and Chin, J. E. 2005. Inhibitory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J Kor. Soc. Food Sci. Nutr. 34, 1325-1329. 

  25. Lee, H. S., Cho, H. J., Lee, K. W., Park, S. S., Seo, H. C. and Suh, H. J. 2010. Antioxidant activities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in B16/F10 melanoma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15, 213-220. 

  26. Lee, S. M. 2011. Effects of Angelica gigantis herbal acupuncture extra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DPPH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27. Lee, S. W., Jang, M. K., Kim, N. Y., Jang, H. J., Lee, D. G., Kim, M. H. and Lee, S. H. 2010. The evaluation of the phytoestrogen activities from sea algae. J. Life Sci. 20, 1807-1811. 

  28. Lowenstein, C. J., Alley, E. W., Raval, P., Snowman, A. M., Synder, S. H., Russell, S. W. and Murphy, W. J. 1993.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gene: two upstream regions mediate induction by interferon gamma and lipopolysaccharide. Proc. Natl. Acad. Sci. USA 90, 9730-9734. 

  29.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hamnus yoshinoi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2, 750-754. 

  30. Seo, S. Y. 2001.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oriental herbs. Kor. J. Plant Res. 14, 32-37. 

  31. Shin, J. Y. 2001.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Kor. J. Food Nutr. 14, 568-572. 

  32. Solano, F., Briganti, S., Picardo, M. and Ghanem, G. 2006. Hypopigmenting agents: an updated review on biological, 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Pigment Cell Res. 19, 550-571. 

  33. Tomita, K., Oda, N., Kamel, M., Miyaki, T. and Oki, T. 1990. A new screening method for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using Streptomyces bikiniensis. J. Antibiotics 12, 1601-1605. 

  34. Tsao, L. T., Lee, C. Y., Huang, L. J., Kuo, S. C. and Wang, J. P. 2002.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by a synthetic carbazole, LCY-2-CHO. Biochem. Pharmacol. 63, 1961-1968. 

  35. Vodovotz, Y., Russell, D., Xie, Q. W., Bogdan, C. and Nathan, C. 1995. Vesicle membrane associ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primary mouse macrophage. J. Immunol. 154, 2914-2925. 

  36. Wendel, A. and Feuerstein, S. 1981. Drug-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mice-1. Modulation by monooxygenase activity, glutathione and selenium status. Biochem. Pharmacol. 30, 2513-2530. 

  37. Yoon, N. Y., Eom, T.-K., Kim, M.-M. and Kim, S.-K. 2009. Inhibitory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mouse B16F10 melanoma cells. J. Agric. Food Chem. 57, 4124-4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