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꼭지 추출물과 분획물의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Diospyros kaki calyx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3 = no.155, 2013년, pp.383 - 388  

황주영 (한국한방산업진흥원) ,  박태순 (한국한방산업진흥원) ,  손준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꼭지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감꼭지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B16F10 멜라노마 세포 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 효능과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우수하였고,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 양상을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한 결과, 감꼭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무첨가군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TRP-1, TRP-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감꼭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미백 소재로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whitening effect of several solvent fractions of Diospyros kaki extracts. Fractions from ethanol extracts of D. kaki were prepared by a systematic fractionation procedure using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H_2O$. The ethyl acetate fra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0% dimethyl sulfoxide (DMSO)가 첨가된 1 N NaOH 용액을 150 μl 첨가하고 60℃에서 1시간 용해하였으며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실험군의 멜라닌 양은 무첨가군의 멜라닌 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 L-DOPA를 2 mg/ml 농도로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녹여 기질을 준비하고 기질 160 μl에 효소용액 40 μl를 가하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생성된 DOPA chrome의 양을 490 nm에서 측정한 후 (1-시료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 에 의하여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 Transfer가 끝난 membrane은 5% skim milk 로 1시간 동안 blocking을 한 뒤 1차 항체 tyrosinase, TRP-1, TRP-2는 3% skim milk에 1:1,0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고 overnight하였다. Tris-buffered salin and tween 20 (TBST)로 3번 세척한 뒤 2차 항체 anti-goat, anti-mouse, anti-rabbit은 3% skim milk에 1:1,000으로 희석하여 1시간 동안 붙이고, TBST로 3번 세척한 뒤 enhanced chemiluminescense (ECL) kit (Milipore, Germany)를 이용하여 발현 양상을 측정하였다. 밴드 정량은 gel doc (Amersham Pharmacia, England)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실험을 바탕으로 B16F10 세포에 1, 5 μg/ml의 농도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 및 단백질 발현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 현재까지 감꼭지에 관한 연구로는 김 등[14]이 보고한 감꼭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관한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사 등[24]이 보고한 사람의 plasma에서 thrombin time (TT)를 사용한 혈액응고 저해 물질 연구와 백 등[1]이 보고한 in vitro와 in vivo 항혈전 효능 연구가 알려져 있으나 감꼭지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꼭지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 측정과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측정하고, 효과가 뛰어난 분획물을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 멜라닌 양은 Hosoi 등[9]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6 well에 5×104 cells/well이 되도록 접종하여 배양하고, 각 well에 시료를 처리한 뒤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 배양 후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20 μl를 첨가 하여 3시간 처리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당 DMSO 20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뒤 ELISA reader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1-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에 의하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 B16F10 멜라노마 세포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Michikaw 등[15]의 방법에 따라 배양하였다. 세포에 0.25% trypsin 용액을 희석 처리한 후 세포를 분리한 다음 DMEM배지에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 적응시켜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감꼭지는 경북 영천시에서 재배된 것으로 ㈜휴먼허브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추출은 감꼭지 100 g을 시료 중량의 10배 양에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씩 3회 추출한 다음 filter paper (Whatman No. 2)로 여과한뒤 감압농축기(EYELA N-300,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에탄올 추출물(14.1 g)을 얻었다. 이후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극성도가 낮은 hexane으로 추출한 후, 다시 ethyl acetate와 butanol용매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 감꼭지 추출물과 분획물을 처리 후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저해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우수한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 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TRP-1, TRP-2의 발현 양상을 측정하였다(Fig. 4). 이 중 TRP-1, TRP-2는 DHICA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를 흑갈색으로 나타내는 IQCA (indole-5,6-quinone-2-carboxylic acid)로 전환시켜 최종적으로 멜라닌을 합성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들은 피부 미백제의 효능에 있어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로와 생성된 멜라닌의 분해를 촉진하는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조절이 중요시 되고 있어 미백 효과의 검증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16, 19].
  • 1 g)을 얻었다. 이후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극성도가 낮은 hexane으로 추출한 후, 다시 ethyl acetate와 butanol용매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각 용매 분획물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하여 농축한 뒤 동결 건조하여 헥산(4.
  •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은 Choi 등[3]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6 well에 5×104 cells/well이 되도록 접종하여 배양하고, 24시간 뒤 각 well에 시료를 처리한 뒤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대상 데이터

  •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차 항체인 티로시나아제, TRP-1, TRP-2와 2차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에 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기기는 ELISA reader, 원심분리기, 현미경, CO2 배양기, 세포수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 B16F10 멜라노마 세포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Michikaw 등[15]의 방법에 따라 배양하였다. 세포에 0.
  • 본 실험에 사용한 감꼭지는 경북 영천시에서 재배된 것으로 ㈜휴먼허브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추출은 감꼭지 100 g을 시료 중량의 10배 양에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씩 3회 추출한 다음 filter paper (Whatman No.
  • 세포배양을 위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fetal bovine serum (FBS), streptomycin penicillin, trypsin 250은 Gibco BRL Co. (Grand Island, NY,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tyrosians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kojic acid는 SigmaAldrich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1차 항체인 티로시나아제, TRP-1, TRP-2와 2차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에 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기기는 ELISA reader, 원심분리기, 현미경, CO2 배양기, 세포수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결과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차 검증은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으로 Tukey’s HSD test에 의해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세포 생존률 측정은 Carmichael 등[2]의 방법에 따라 측정 하였다.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이 되게 180 μl씩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20 μl 처리한 48시간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어디서 만들어집니까? 특히 색소 침착과 같은 피부 흑화는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닌 합성이 원인이 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7]. 멜라닌은 멜라닌형성세포 내에 위 치하는 멜라노좀에 의해 만들어지며 형성된 멜라닌은 각질형 성세포로 이동하여 피부 상피층에 축적되어 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난다[18, 20]. 멜라닌 합성은 아미노산의 하나인 티로신을 기질로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를 거쳐 DOPA quinone 전환되고 자동산화반응과 효 소반응으로 DOPA chrome을 거쳐 흑갈색의 공동합체인 멜라 닌이 생성하게 된다[26].
천연 미 백제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는 것은 합성 미백원료의 어떤 문제 때문인가? 특히 효소인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노 사이트에서 멜라닌 색소의 합성에서 주요 핵심 효소로, 절대 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8, 22, 28], 최근에는 이와 같은 효소를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 저해를 위한 연구가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다[25, 29]. 현재 알려진 합성미백원료들은 사용 중 분해나 착색, 이취 등으로 인해 불안정하여 안정성 문제 등이 대두 되고 있다[4, 19, 30, 31]. 따라서 최근에는 세포 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키는 천연 미 백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피부에서 멜라닌의 역할은? 피부가 자외선 자극을 받으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에서 endothelin-1 (ET-1), 부실피질 자극 호르몬, 일산화 질소 (NO) 등이 분비되어 피부색소가 증가하게 된다. 피부색소는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가 만들어내는 멜라닌의 함량 에 의해 결정되며[11], 이러한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 는 생체 고분자 물질로 자외선이나 자유 라디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7]. 오늘날 사 람들은 사회활동의 증가, 환경오염에 따른 오존층 파괴로 인 하여 유해 자외선에 장기 노출로 인한 멜라닌 침착 과다 현상 으로 피부 흑화, 색소침착, 피부암등 피부 건강뿐만 아니라 미적 측면에서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k, K. M. and Roh, S. S. 2011.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Diospyros Kaki Calyx on anti-thrombotic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Korean J Herbology 26, 139-147. 

  2.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 Choi, B. W., Lee, B. H., Kang, K. J., Lee, E. S. and Lee, N. 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Pharmacogn 29, 237-242. 

  4. Choi, Y. J. and Kim, J. 2006. A study on the propensity to consume oriental herbal cosmetics. J Soc Cosmet Sci Korean 32, 283-229. 

  5. Chun, H. J., Choi, E. Y., Yoon, S. C., Nam, H. W., Baek, S. H. and Woo, W. H. 2001.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on melanin bionsynthesis. Yakhak Hoeji 45, 269-275. 

  6. Ferguson, C. A. and Kidson, S. H. 1997. The regulation of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Pigment Cell Res 10, 127-138. 

  7. Ha, S. E., Kim, H. D., Park, J. K., Chung, Y. O., Kim, H. J. and Park, N. B. 2009.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in B16 melanoma cells. Korean J Plant Res 24, 317-322. 

  8. Hearing, V. J. and Tsukamoto, K. 1991.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 2902-2909. 

  9. Hosoi, J., Abe, E., Suda, T. and Kuroki, T.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10. Hwang, E. Y., Kim, D. H., Hwang, J. Y., Kim, H. J., Park, T. S., Lee, I. S. and Son, J. H. 2012. A study on the Depigmenting effect of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olia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6-81. 

  11. Im, S. B., Lee, E. S., Kim, W. K., On, W. Y., Kim, J. H., Lee, M. O. and Kang, W. H. 2002. donor specific response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on cultured human melanocyte. J Korean Med Sci 17, 58-64. 

  12. Jeon, M. J., Kim, M. H., Jang, H. J., Lee, S. W., Kim, J. H., Kim, H. S. and Lee, S. H. 2012.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J Life Sci 22, 889-896. 

  13. Jung, S. H., Ku, M. J., Moon, H. J., Yu, B. C., Jeon, M. J. and Lee, Y. H. 2009. Inhibitory effects of fucoidan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J Life Sci 19, 75-80. 

  14. Kim, H. J., Park, T. S., Jung, M. S. and Son, J. H. 2011.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arcocarp and salyx of Persimmon (Cheongdo Bansi). J Appl Biol Chem 54, 71-78. 

  15. Kim, T. H., You, J. K., Kim, J. M., Baek, J. M., Kim, H. S., Park, J. H. and Choe, M. 2010.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18-1424. 

  16. Kim, H. H., Park, G. H., Park, K. S., Lee, J. Y., Kim, T. H. and An, B. J. 2010. The effects of Aster glehni Fr. Schm. Extracts on whitening and anti-wringkle. J Life Sci 20, 1034-1040. 

  17. Lee, H. H., Bae, S. and Chin, J. E. 2005. Inhibitory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25-1329. 

  18. Majmudar, G., Jacob, G., Laboy, Y. and Fisher, L. 1998. An in vitro method for screening skin-whitening products. J Cosmet Sci 49, 361-367. 

  19. Mallick, S., Singh, S. K., Sarkar, C., Saha, B. and Bhadra, R. 2005. Human placental lipid induces melanogenesi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its related proteins in vitro. Pigment Cell Res 18, 25-33. 

  20. Michikawa, M., Lim, K. T., McLarnon, J. G. and Kim, S. U. 1994. Oxygen radical-induced neurotoxicity in spinal cord neuron cultures. J Neuro Sci Res 37, 62-70. 

  21. Oh, S. M., Mun, Y. J. and Woo, W. H. 2007.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uel on the expressions of tyrosinase, TRP-1 and TRP-2 in B16 melanoma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1, 1456-1461. 

  22. Park, S. H., Lee, B. Y., Lee, S. H., Han, C. S., Kim, J. G., Kim, K. T., Kim, K. H. and Kim, Y. H. 2009. Whitening effect of dayflower extract by inhibition of N-linked glucosylation process and melanogenesi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 73-78. 

  23. Parvze, S., Kang, M. K., Chung, W. S., Cho, C. W., Hong, M. C., Shin, M. K. and Bae, H. S. 2006.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 921-934. 

  24. Sa, Y. S., Kim, K. A. and Choi, H. S.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oagulant activity fraction from persimmon 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23-1327. 

  25.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amnus yoshino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0-754. 

  26. Shin, J. Y. 2001.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Korean J Food Nutr 14, 568-572. 

  27. Tobin, D., Quinn, A., Ito, S. and Thody, A. 1994. The presence of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 in human epidermis and theri relationship in melanin type. Pigment Cell Res 7, 204-209. 

  28. Wang, K. H., Lin, R. D., Feng, L. H., Yen, H. H., Chang, H. C., Huang, C. Y. and Lee, M. H. 2006.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106, 353-359. 

  29. Yamakoshi, J., Otsuka, F., Sano, A., Tokutake, S., Saito, M., Kikuchi, M. and Kubota, Y. 2003.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 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ment Cell Res 16, 629-638. 

  30. Yoo, Y. G., Joung, M. S., Choi, J. W. and Kim, J. H. 2005. The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phedra sinica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153-159. 

  31. Yoon, H. S., Kim, J. K. and Kim, S. J. 2007.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by Sasa quelpaertensis leaf extract. J Life Sci 17, 873-875. 

  32. Zhong, S., Yan, W., Ahn, S. M., Junya, Z., Wang, K., Yang, S., Yeon, J. H. and Zhu, X. 2006. Depigmentation of melanocytes by the treatmen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Chinese herbs: a cell culture assay. Biol Pharm Bull 29, 1947-19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