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성인과 아동의 보이타의 가슴유발점 자극 시의 근활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Muscle Activity of Voita's Brust Zone Stimulation in Normal Adults and Kid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4, 2019년, pp.237 - 242  

이준철 (영남이공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구를 충분히 수행할 만한 근력과 관절 가동범위를 가진 건강한 정상성인 10명과 정상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보이타의 반사적 뒤집기(reflex turning) 치료를 실시하여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가슴유발점 적용 시 배곧은 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에 대한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보이타의 가슴유발점 자극 시의 오른쪽과 왼쪽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는 앞으로의 연구들에 대해 초석을 다진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추후 관련 연구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normal adults and kids to know the abdominal muscle activities by stimulating Vojta's brust zone. It was conducted for 10 adults who were average 21.5 years old and 10 kids who were 12.1 years old and did it once. We used EMG to know the abdorminal muscle activit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이타의 반사적 뒤집기(reflex turning) 치료를 실시하여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가슴유발점(brust zone) 적용시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에 대한 근수축 순서를 알아보고 그 중 가장 활성화되는 근육을 알아보기 위해 EMG를 측정하여 근활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이타의 반사적 뒤집기(reflex turning) 치료를 실시하여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가슴유발점 적용 시 배곧은,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에 대한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보이타의 가슴유발점 자극이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실험대상자를 정상성인과 아동으로 하여, 정상성인보다 정상아동에게서 반응이 더 잘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고, 보이타의 가슴유발점에 따른 정상성인과 아동의 비교는 의미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가 특정 연령대를 지니고 있고 정상성인과 정상아동을 비교하였을 때 정상아동의 근활성도가 높을 것 이라는 가설을 두고 연구하였으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은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좀 더 어린 아동을 대상자로 선정하지 못하였고, 또 대상자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상자 전체에 대한 일반화 하기가 어려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이타 치료법은 무엇인가? 보이타 치료법의 기본개념은 소통체계로서의 반사적 이동 동작이며 [5], 외적인 자극을 통해 복잡한 운동 활동을 활성 시키는 방법으로 뇌성마비 아동을 치료하기 위해 1960년대 후반 소아신경과 의사 [6]와 그의 동료 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3].
보이타 치료의 기본원리는 무엇인가? 보이타 치료의 기본원리는 일정 출발자세 및 부위에 방향성이 있는 일정 자극을 입력하여 반사적 뒤집기 (reflex turning)와 반사적 기기(reflex creeping)를 유발시켜 대뇌에 비정상적인 자세 및 운동패턴이 기억되는 것을 억제하고 [7], 반복 훈련이 아닌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상 운동을 무의식적으로 되풀이하는 형식으로서 뇌세포에 기억하고 재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8].
보이타의 반사적 뒤집기(reflex turning) 치료를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실시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를 충분히 수행할 만한 근력과 관절 가동범위를 가진 건강한 정상성인 10명과 정상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보이타의 반사적 뒤집기(reflex turning) 치료를 실시하여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가슴유발점 적용 시 배곧은 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에 대한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보이타의 가슴유발점 자극 시의 오른쪽과 왼쪽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SK.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motor func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orea Sport Research. Vol. 15, No. 6, 211-220. 2004. 

  2. Kim HJ. The effect of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on the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ity cerebral palsy. Master's Thesis, Sanyeok University. 2008. 

  3. Backstrom B, Dahlgren L. Vojta self-training. Experiences of six neurologically impaired people. Physiotherapy. Vol. 86, No. 11, 567-574. 2000. https://doi.org/10.1016/s0031-9406(05)61361-2 

  4. Wu C, Peng X, Li X., Xia, Qingling N, Guo H, Huang H. Vojta and bobath combined treatment for high risk in fants with brain damage at early period. Neural Regeneration Research. Vol. 2, No. 20, 12-15. 2007. https://doi.org/10.1016/s1673-5374(07)60027-9 

  5. Vojta V. Reflexlokomotion als Bahmung sysrem in der Behandlung der zerebrlen Bewegungsstorungen. 1977. 

  6. Muller H, Vojta V. (Early diagnosis and therapy of cerebral distubances of motility in infancy. Zeitschrifi fur Orthopadie und ihre Grenzgebiete. Vol. 112, No. 2, 361-5. 1974. 

  7. Korean Rehabilitation Nursing Society. Rehabilitation and Health Care of Cerebral Palsy Patients. Soomoon co. Ltd. 2003. 

  8. Park KH, Ahn YP. Early dagnosis and treatment of vojta for cerebral palsy.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ol. 6, No. 1, 79-90. 1992. https://doi.org/10.1159/000421478 

  9. Bobath B. The very early treatment of cerebral palsy. Dec Med Child Neurol. Vol. 65, No. 1, 377-378. 1967. https://doi.org/10.1111/j.1469-8749.1968.tb02856x 

  10. Vojta V, Peters A Das. Vojta-prinzip, Springer-verlags. 1-21. 

  11. Yoo BG. (2005). Vojta treatmen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12, No. 1, 139-148. 

  12. Jeong JW. (1994). Diagnosis and treatment of voita. Daehakseorim co. Ltd. 1984. 

  13. Soon HJ. Das Vojta-Prinzip, Muskelspiele in Reflexfortbewegung und motorischer Ontogenese. 2., u@berarb. Aufl, 2nd ed. Daehakseorim co. Ltd. 2003. 

  14. Brandt S, Lonstrup HV, Marner T, Rump KJ, Selmar P, Schack LK. Prevention of cerebral palsy in motor risk infants by treatment ad modum vojta. A controlled study. Acta Paediatr Scand. Vol. 69, No. 3, 283-286. 1980. https://doi.org/10.1111/j.1651-2227.1980.tb07079.x 

  15. Kanda T, Yuge M, Yamori YJ, Suzuki MD, Fukase H. Early phys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spastic diplegia. Dev Med Child Neurol. Vol. 26, No. 4, 438-444. 1984. https://doi.org/10.1111/j.1469-8749.1984.tb04468.x 

  16. Jo MJ, Jung HJ, Park JJ, Yang JH. Effects of vojta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on gross motor ability in preschooler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Vol. 17, No. 3, 35-47. 2015. 

  17. Kim HY, Kim SY.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for using vojta approach on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pecial Education of Ewahae University. Vol. 11, No. 2, 77-95. 2012. 

  18. Kong, NH, Lee JC, Lee HK. The effect of selective versus muscle exercise training on gait in cerebral palsy. J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icine Science. Vol. 8, No. 1, 1-6. 

  19. Jeong HJ, Park JW, Park SH. (2011). Changes of some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by stimulation of the vojta zon.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tation, Daegu university. Vol. 50, No. 3, 433-450. 2011. 

  20. Yang WJ. The effect of early application of voita therapy for children with brain exercise developmental disorder in infant and child. Maste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20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