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ing Effects of Juniperus rigida Sied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4, 2013년, pp.449 - 455  

전혜지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이수연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김정환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오염된 공기, 화학제품 등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주름, 잔주름, 피부거침, 피부건조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노화를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향나무과의 일종인 다년생 수목인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노간주나무 열수 추출물 $1,000{\mu}g/ml$에서 10% 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1,000{\mu}g/ml$에서 68.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에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44.9%, 97.2%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ascorbic acid (99.6%)와 유사한 효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아 세포를 이용한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 $50{\mu}g/ml$에서 151.52%의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에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1,00{\mu}g/ml$에서 67.1%의 MMP-1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MMP-1의 단백질 및 mRNA의 발현은 $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35%, 39%의 저해율을 나타냄에 따라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하고 광노화에 의한 주름생성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 skin is constantly exposed to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UV rays, polluted air, and chemical products. UV rays, in particular, affect skin in many ways causing wrinkles, fine wrinkles, rough skin, and xeroderma through a skin ag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피부에 안전한 소재인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한국 전역에 자생하고 있는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관련 실험을 통하여 그 효능을 검증하고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간주 나무속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향나무과의 일종인 다년생 수목인 노간주 나무속은 노가지나무, needle juniper로도 불리며,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한국, 중국, 시베리아 전역에 분포되어 있다.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노간주나무의 개화시기는? ) 등이 있다[11]. 노간주나무는 껍질이 붉은 갈색이고 4월에 꽃이 피며 열매는 흑갈색의 공 모양으로 맛은 좀달며, 건조한 곳에서 잘 자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자가 새들에 의하여 잘 전파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며, 어릴 때에서는 맹아력이 강하고 또 잎이 뾰족하여 동물의 침해가 어려워 능히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한다[14]. 이러한 노간주나무의 종자에서 채취한 기름은 이뇨제 등의 약리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부종, 통풍, 요로 생식기 질환에 사용하며, insect repellent로 이용하기도 하며, 서양에서는 노간주나무의 열매인 두송실(juniper berry)을 열매량의 3-4배가 되게 독한 술을 넣고 밀봉하여 6개월 정도 보관 후 건더기는 건져 버리고 술만 따로 보관해서 마시거나 향으로 이용하였다[11].
노간주나무의 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것은? 이러한 노간주나무의 종자에서 채취한 기름은 이뇨제 등의 약리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부종, 통풍, 요로 생식기 질환에 사용하며, insect repellent로 이용하기도 하며, 서양에서는 노간주나무의 열매인 두송실(juniper berry)을 열매량의 3-4배가 되게 독한 술을 넣고 밀봉하여 6개월 정도 보관 후 건더기는 건져 버리고 술만 따로 보관해서 마시거나 향으로 이용하였다[11]. 중국 본초도감에 따르면 과실에는 α-pinine, mycene, limonene 등이 들어 있으며 거풍, 제습, 이뇨에 효능이 있고, 수종, 통풍, 요로질환 등을 치유시킨다고 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nnell RJ, Kellam SJ, Owsianka AM, Walker J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2.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 Chung JH, Kang S, Varani J, Lin J, Fisher GJ, Voorhees JJ. 2000. Decreased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and increased stress-activated MAP kinase activities in aged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5: 117-182. 

  4. Davis RJ. 1994. MAPKs: new JNK expands the group. Trends Biochem. Sci. 19: 470-473. 

  5. Fisher GJ, Datta SC, Talwar HS, Wang ZQ, Varani J, Kang S, et al. 1996. Molecular basis of sun-induced premature ageing and retinoid antagonism. Nature 379: 335-339. 

  6. Fisher GJ, Talwar HS, Lin J, Voorhees JJ. 1999. Molecular mechanisms of photoaging in human skin in vivo and their prevention by all-trans retinoic acid. Photochem. Photobiol. 69: 154-157. 

  7. Gross J, Lapiere CM. 1962. Collagenolytic activity in amphibian tissues: a tissue culture assay. Proc. Natl. Acad. Sci. 54: 1197-1204. 

  8. Jo JO, Kim SM, Kim KS. 1999. Analysis of asarone, coumarin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10-217. 

  9. Jung JH, Kim KJ. 2009. Experimental studies about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by various herb medicines.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2: 82-91. 

  10. Kim YH. 2009.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of vaccinium uliginosm L. and its action mechanism.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TW. 1996. Woody plant of Korea, pp. 49. Kyohak Publishing, Seoul. 

  12. Kwak YJ, Lee DH, Kim NM,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13-216. 

  13. Lim AK, Jung YJ, Kim KS, Kim YH, Kwak JH, Hong JH, et al. 2010.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 ellipt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69-375. 

  14. Lee CB. 1990. Dendrology, pp. 110-112. Hyangmoon Publishing, Seoul. 

  15. Lee GW, Lee JY. 2008. The effect on skin deposition and moisturizing of ursolic acid in hydrogel system containing Wood vinegar. J. Korean Pharm. Sci. 38: 87-92. 

  16. Lee JY. 2007. Anti-wrinkle, whitening constituents of Prunus persica Flos and an application for functional cosmetics. Ph. 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17. Lee JY, Choi YH, Lee SM, Lee SY, Jun HJ. 2012. Physiological activity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 and its effect on perfume on an electroencephalogram (EEG). J. Life Sci. 22: 1214-1223. 

  18. Parfitt AM, Simon LS, Villanueva AR, Krane SM. 1987. Procollagen type I carboxy-terminal extension peptide in serum as a marker of collagen biosynthesis in bone. Correlation with iliac bone formation rates and comparison with total alkaline phosphatase. J. Bone Miner Res. 2: 427-436. 

  19. Park SM, Lee GW, Cho YG. 2008.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J. Life Sci. 18: 1700-1704. 

  20. Seo IA. 2010. Studies on cosmeceutical of Phaseolus radiatus. M. S.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21. Talwar HS, Griffiths CE, Fisher GJ, Hamilton TA, Voorhees JJ. 1999. Reduced type I and type III procollagens in photodamaged adult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05: 285-290. 

  22. Wang Y, Johnson AR, Ye QZ, Dyer RD. 1999. Catalytic activities and substrate specificity of the human membrane type 4 matrix metalloproteinase catalytic domain. J. Biol. Chem. 274: 33043-33049. 

  23. Wunsch E, Heidrich HC.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Z. Physiol. Chem. 333: 149-1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