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 2013년, pp.255 - 265  

이상호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the policy proposals focusing on the addiction for the rapidly growing social media service (SNS) and its diagnosis. Researcher intends to define the SNS addiction and develops a diagnostic measure, which is a valuable subject. The reason is why the SNS becomes more conveni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자는 한국정보화진흥원[15][16]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진단 척도, 고아라, 이상호[2]의 연구에서 다룬 SNS 중독 측정 항목과 Andreassen et. al[19][20]의 6개 지수, 매경 이코노미에 제시된 10개의 진단척도 등을 종합하여 한국형 SNS중독지수(Korean SNS Addiciton Index: KSAI) 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그림 1] 매경이코노미, 2012. 1673호, 27p의 자가진단표 참조).
  • 또한 기존의 중독 연구는 SNS에 관해서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점이 한계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SNS의 중독 그 자체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증상을 확인하고, 중독의 진단과 예방에 이르는 디지털 미디어의 정책적인 측면을 다루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 것이다.
  • 연구자는 아직 연구사례가 없는 SNS중독의 진단과 정책마련을 위한 탐색적 시도를 하고자 하였으며, 본고의 시도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SNS중독 대응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SNS 중독지수 및 해결방안 제시가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기존의 인터넷중독과 스마트폰중독 연구에서 확인한 변인들을 재검증하고, 가장 최근 보고된 SNS중독 연구라고 할 수 있는 BFAS(Bergen Facebook Addiction Scale)[20]의 변인들을 추가 검토하여 본고의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고의 연구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고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이어 급증하고 있는 소셜미디어, SNS중독의 척도개발 및 진단을 다룬 연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과 스마트폰중독의 근본적 동기가 기술발달에 따른 과다한 소통(communication)에 있다는 점에서 연구자는 SNS를 중심으로 한 중독연구가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 또한 연구자는 중독과 관련한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상기 중독을 구성 하는 네가지 요소가 변인들간의 영향을 구분하여 중독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시간적 내성에서 중단시도의 실패, 생활장애를 거쳐, 가장 중독이 심한 금단 불안에 이르게 된다는 경로를 모형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점은 본고의 중요한 공헌점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미디어 중독과 관련된 연구를 종합하여 정리한 강진숙[1]의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휴대폰, TV 등의 미디어에 대한 중독연구 23건을 분석하면서, 주로 중독 그 자체보다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미디어 등의 중독 예방을 위한 연구로서는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연구자는 KSAI 중독성 지수 결과와 통계적으로 구분한 4집단 구분(연구샘플의 K-평균 군집 결과)에 의한 중독성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과 같이 정리하였다.

가설 설정

  • 993이어서, 중단시도의 실패가 금단 불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5가 채택되었다. H4, H5에서 확인한 바와같이 중독의 중증단계인 금단 불안은 생활장애와 중단시도의 실패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술한 H1, H2 H3의 결과와 함께 중독의 과정을 세분화 한 것으로 학술적 공헌점이 있는 부분이다. 모형의 검증 결과는 [그림 2]와 같이 도식화 하였다.
  • 시간적 내성이 금단으로 인한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우형진[6]은 미디어이용자의 자아안정성과 플로우, 중독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시간적해리 등의 몰입(flow)이 불안, 초조 등의 금단증상에 영향을 주어 중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시간적 내성이 생활장애와 금단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 이숙정, 전소현[11]은 인터넷중독의 요인으로 외부적중재시도, 중단시도 등의 조절 실패시에 금단 불안 등의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중단시도의 실패가 생활장애에 영향을 주고, 생활장애와 중단시도의 실패가 금단 불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상기의 내용을 종합하여 가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H 4. 생활장애는 금단 불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1. 시간적 내성은 생활장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2. 시간적 내성은 중단시도의 실패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자가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본 이유는?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사용자가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그러나, 2010년에 뒤늦게 보급된 스마트폰이 급격히 확산되면서 신기술의 시험장으로서 위상을 재차 회복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사용자가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단연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영문 wikipedia는 social networking service로 구분, 이하 SNS 또는 소셜미디어)인데[26], 2012년 12월말 기준으로 국내 3천6백만이 가입한 카카오톡을 필두로, 카카오스토리는 3천만, 페이스북은 1천만이 사용하고 있다[25].
중독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중독은 독약에 의한 신체 증상인 중독(intoxication)과 약물 남용에 의한 정신적인 중독(addiction)으로 구분이 되며,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를 인용한 네이버백과는 “독으로 지칭되는 유해 물질에 의한 신체 증상인 중독 (intoxication, 약물 중독)과 알코올, 마약과 같은 약물 남용에 의한 정신적인 중독이 주로 문제되는 중독 (addiction, 의존증)”라고 구분하고 있다.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17])는 정신장애진단(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기준으로 중독이라는 용어를 약물이나 정신질환의 유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의존성 중독은 질환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