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군산 유부도 조간대의 지형변화 및 표면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9 no.1, 2013년, pp.57 - 68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덕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승희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세기 후반부터 유부도 주위에서 하구언 축조 등 비교적 큰 규모의 간척사업들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간척사업의 시작으로 인공구조물들이 연안에 축조됨에 따라 주변 해역의 해류, 조위 및 조류의 변화를 야기하여 퇴적 및 침식으로 인한 연안지형의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부도 조간대를 포함하는 Landsat TM/ETM+자료를 1998년부터 2012년까지 획득한 후 waterline 기법을 적용하여 인공구조물 축조에 의한 지형변화를 탐지하였다. 그 결과 유부도의 동쪽, 북동쪽, 서쪽 조간대에서 주로 퇴적이 일어났으며 그 면적이 약 4.5 $km^2$ 이상 되었다. 한편, RADARSAT-2의 완전편파 SAR자료에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을 적용하여 퇴적이 뚜렷이 일어난 지역에 대한 산란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쪽 퇴적지역은 서쪽 및 북동쪽의 퇴적지역과는 다른 산란특징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퇴적환경의 차이로 인해 다른 종류의 퇴적물이 퇴적되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rge-scale coastal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land reclamation and dykes, were constructed from the late twentieth century in Yoobu-Do region. Land reclamation combined with the dynamics of tidal currents may have accelerated local sedimentation and erosion resulting in rapid reformation of co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의 유부도 조간대에 대해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waterline 기법으로 인공구조물의 축조에 의한 지형변화를 탐지하고, SAR 영상을 이용하여 퇴적이 일어난 곳의 산란특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 , 2011). 이 연구에서도 다중편파 SAR자료를 이용하여 퇴적이 뚜렷하게 발생한 지역에 대한 레이더 산란특성을분석 하고자 한다.
  • 2) SAR 영상을 이용한 퇴적지역 산란특성 분석 결과

    과거 20년동안 퇴적이 뚜렷하게 발생한 Deposition_1, Deposition_2, Deposition_3 지역에 대하여 전자기파 산란특성을 분석하여 퇴적환경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6월 2일에 획득된 다중편파 RADARSAT-2 SAR영상을 이용하여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을 수행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aterline 기법이란 무엇인가? Waterline 기법은 비교적 단기간에 다양한 조석 상태 의위성자료를다수획득하여조간대와물의경계면을 추출한 후, 이들에 절대고도 값을 대입하고 내삽 (interpolation)함으로써 DEM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처리과정은다음과같이몇단계로나눌수있다.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은 어떤 기법인가? 유부도 지역을 촬영한 RADARSAT-2 다중편파 SAR 자료를획득하여지표면산란특성분석에자주이용되는 model-based target decomposition 중의 하나인 Freeman-Durden decompositon을 수행 하였다.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은 전자기파의 산란을 유발하는 산란체의 물리적 구조를 모델화하여 전자기파의 산란 특성을 표면산란(surface scattering), 이중산란(doublebounce scattering), 체적산란(volume scattering)으로 분해 하는 기법이다. 산란모델은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에서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자세한 이론설명은 Freeman and Durden (1998)을 참조할 수 있다.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의 산란모델은 무엇에서 추출하는가?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은 전자기파의 산란을 유발하는 산란체의 물리적 구조를 모델화하여 전자기파의 산란 특성을 표면산란(surface scattering), 이중산란(doublebounce scattering), 체적산란(volume scattering)으로 분해 하는 기법이다. 산란모델은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에서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자세한 이론설명은 Freeman and Durden (1998)을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 로 지표면이 평평하거나 건물 및 식생 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표면산란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인공적인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는 이중산란, 식생이 많은 지역은 체적산란 등이 주로 발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C.H., K. Kajiwara, R. Tateishi, and H.R. Yoo, 1992. The generation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in tidal flat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8(2): 131-1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에서도 물과 육지의 경계인 waterline을 정확 하게 추출할 수 방법에 대한 연구와, waterline기법과 현 장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지형변화를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Ahn et al., 1992; Ryu et al., 2000; Park et al., 2003; Ryu et al., 2008; Choi et al., 2011; Lee et al., 2011).

  2. Baek, H.Y., 2008. Characteristics of Sea Level, Tidal and Sub-tidal Current Variations in the Saemangeum Costal Area,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MA,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1990년과 1992년에는 군산내항 및 외항의 심도 유지와 항만보호를 위해 군산외항 주변으로 북측 도류제(Fig. 1의 North jetty) 및 남측 도류제가 착공되었고 약 3 km에 이르는 군·장 신항만 북방 파제가 1998년 2월 착공하여 2004년 11월에 북측 도류제 서쪽에 북동-남서방향으로 건설되었다(Lee and Um, 2007; Baek 2008).

  3. Cloude, S.R. and E. Pottier, 1996. A review of target decomposition theorems in radar polarimetry,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4(2): 498-51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반면 다중편파 SAR자료는 전자기파의 수직·수평성분의 조합을 통해 지표면의 산란특성을 보다 자세히 파악 가능하게 하였다 (Cloude and Pottier 1996; Cloude and Pottier 1997; Yamaguchi et al. 2005).

  4. Cloude, S.R. and E. Pottier, 1997. An entropy based classification scheme for land applications of polarimetric SAR,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5(1): 68-7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반면 다중편파 SAR자료는 전자기파의 수직·수평성분의 조합을 통해 지표면의 산란특성을 보다 자세히 파악 가능하게 하였다 (Cloude and Pottier 1996; Cloude and Pottier 1997; Yamaguchi et al. 2005).

  5. Ferro-Famil, L., E. Pottier, and J.-S. Lee, 2001.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multifrequency and fully polarimetric SAR images based on the H/A/Alpha-Wishart classifier,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9(1): 2332-2342.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하지만 다중편파 SAR자료의 활용분야는 대부분 육상의 토지피복 분류나 나대지에서의 표면 거칠기나 수분함유량 추출에만 한정이 되었고 (van Zyl 1989; Ferro-Famil et al. 2001; Hajnsek et al. 2003).

  6. Freeman, A. and S.L. Durden, 1998. A three component scattering model for polarimetric SAR dat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6(3): 963-973. 

  7. Hajnsek, I., E. Pottier, and S.R. Cloude, 2003. Inversion of surface parameters from polarimetric SAR,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1(4): 727-744.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하지만 다중편파 SAR자료의 활용분야는 대부분 육상의 토지피복 분류나 나대지에서의 표면 거칠기나 수분함유량 추출에만 한정이 되었고 (van Zyl 1989; Ferro-Famil et al. 2001; Hajnsek et al. 2003).

  8. Jang, S., H. Han, and H. Lee, 2010. Observation of ridge-runnel and ripples in Mongsanpo intertidal flat by satellite SAR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2): 115-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Jang et al. (2010)은 SAR 2009).영상으로부터 ridge-runnel 구조 및 연흔이 발달된 조간 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활용하였고, Kim et al. (2010) 은 SAR영상을 이용하여 레이더 후방산란계수(backscattering coefficient)와 퇴적환경 요소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긴밀도(coherence)를 추출하여 퇴적상과 비교한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9. Kim, C.-S., S.-H. Lee, Y.-T. Son, H.-K. Kwon, K.-H. Lee, Y.-B. Kim, and O.-J. Jeong, 2006. Changes of surface M2 currents as observed by HF rada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fourth tidal dyke clo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2): 37-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Kim et al. (2006)은유 부도 외해쪽으로 4개의 관측점에 HF radar를 설치하여 새만금 4호 방조제 끝막이 공사 전후인 2002년과 2004년에 해류의 분산도를 비교했는데, 4호 방조제 끝막이 공사가 끝나기 전 낙조류는 주로 서쪽과 남쪽 창조류는 북동쪽으로 향하였지만 방조제 끝막이 공사 후에는 동서방향의 흐름이 미약해지고 남북방향으로의 왕복성이 강해졌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10. Kim, D.J., W.M. Moon, G. Kim, S.-E. Park, and H. Lee, 2011.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idal flats revealed by space-borne synthetic aperture rad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 793-800.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갯벌지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가 최근에 와서야 일부 진행이 되고 있다(Park et al. 2009; Kim et al. 2011).

  11. Kim, K.L., J.-H. Ryu, S.W. Kim, and J.K. Choi, 2010. Application of SAR data to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a tidal fla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5): 497-5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는 지표면의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 및 지표면의 기하적 구조(geometry)와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파악하는데 적합하다(Kim et al., 2010).

    Jang et al. (2010)은 SAR 2009).영상으로부터 ridge-runnel 구조 및 연흔이 발달된 조간 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활용하였고, Kim et al. (2010) 은 SAR영상을 이용하여 레이더 후방산란계수(backscattering coefficient)와 퇴적환경 요소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긴밀도(coherence)를 추출하여 퇴적상과 비교한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12. Kim, T. and S. Park, 2009. Camera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s of Daehang-ri intertidal flat outside Semangeum Sea Dike No.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21(6): 453-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비교한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연안에서의 구조물 축조에 따른 퇴적물 이동과 지형 변화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므로 단기간에 제한적인 지 역에 대한 관측만으로는 전체적인 지형 변화 패턴과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Kim 고 and Park, 2009).

  13. Kwon, H. and S. Lee, 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 Mean sea level and ti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2): 93-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금강 하 구언은1988년 금강 하구 상류지역에 건설되었고, 이후 수문을 연 상태로 해수유통을 하다가 1994년 8월부터 수문작동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인위적으로 담수를 외해로 방류하고 있으며 그 양은 연간 60억 톤에 달한다 (Kwon and Lee 1999).

    Kwon and Lee (1999)의 연구에 의하면 금강 하구 둑 수문작동 후 M2와 S2분조의 진폭이 급격히 증가하고 위상은 다소 감소하였다고 한다.

  14. Lee, H.-H. and J.-S. Um, 2007. Water depth change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Geum River estuary: spatio-temporal evaluation based on GI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1):121-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1990년과 1992년에는 군산내항 및 외항의 심도 유지와 항만보호를 위해 군산외항 주변으로 북측 도류제(Fig. 1의 North jetty) 및 남측 도류제가 착공되었고 약 3 km에 이르는 군·장 신항만 북방 파제가 1998년 2월 착공하여 2004년 11월에 북측 도류제 서쪽에 북동-남서방향으로 건설되었다(Lee and Um, 2007; Baek 2008).

    실제로 Seo and Park (2007)에 의해 수행된 현장조사자료에 의하면 유부도 남측수로 하구내만에서 외해로 가면서 입도가 커진다는 조사결과가 있었다.

  15. Lee, J.-S. and I. Jurkevich, 1990. Coastline detection and tracing in SAR imag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28(4): 662-66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까지 여러가지 경계 추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어 왔지만 위성영상이 촬영될 때 다양한 기상조건에서 촬영되므로 자동화된 waterline 추출기법은 일정한 오차가 동반될 수 있고 특히 조간대에서는 물과 육지의 경계가 모호하여 더 큰 오차가 유발되기도 한다(Lee and Jurkevich 1990; Ryu et al. 2002).

  16. Lee, Y.K., J.H. Ryu, J.K. Choi, J.G. Soh, J.A. Eom, and J.S. Won, 2011. A Study of decadal sedimentation trend changes by waterline comparisons within the Ganghwa tidal flats initiated by human activiti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7(5): 857-869.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에서도 물과 육지의 경계인 waterline을 정확 하게 추출할 수 방법에 대한 연구와, waterline기법과 현 장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지형변화를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Ahn et al., 1992; Ryu et al., 2000; Park et al., 2003; Ryu et al., 2008; Choi et al., 2011; Lee et al., 2011).

  17. Mason, D.C., I. Davenport, and R.A. Flather, 1997. Interpolation of an inter-tidal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heighted shorelines: a case study in the western Wash,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5(5): 599-612.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원격탐사자료를 이용2. 연구지역 및 자료하여 조간대의 waterline을 추출하고, 추출된 waterline에고도(elevation)를 내삽(interpolation)하여 Digital ElevationModel (DEM)을 생성 할 수 있는 기법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DEM을 비교하는 연구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Mason et al., 1997; Mason et al., 1998; Ryu et al., 2002).

  18. Mason, D.C., I. Davenport, R.A. Flather, and C. Gurney, 1998.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inter-tidal areas of the Wash produced by the waterline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8): 1455-1460.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원격탐사자료를 이용2. 연구지역 및 자료하여 조간대의 waterline을 추출하고, 추출된 waterline에고도(elevation)를 내삽(interpolation)하여 Digital ElevationModel (DEM)을 생성 할 수 있는 기법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DEM을 비교하는 연구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Mason et al., 1997; Mason et al., 1998; Ryu et al., 2002).

  19. Park, E.J., and C.Y. KU, 2003. Efficiency assessment of analysing coastal geomorphic landscape change by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8(5): 822-8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S. and J. Jeong, 2003. Extraction of DEM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using satellite imag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1(1):13-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에서도 물과 육지의 경계인 waterline을 정확 하게 추출할 수 방법에 대한 연구와, waterline기법과 현 장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지형변화를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Ahn et al., 1992; Ryu et al., 2000; Park et al., 2003; Ryu et al., 2008; Choi et al., 2011; Lee et al., 2011).

  21. Park, S,-E., W.M. Moon, and D.-J. Kim, 2009. Estimation of surface roughness parameter in intertidal mudflat using airborne polarimetric SAR dat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7(4): 1022-103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SAR자료는 갯벌지형에서 표면 거칠기에 따라 달라지는 산란 특성을 관측하는데 있어 유용하다(Park et al 2009).

    갯벌지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가 최근에 와서야 일부 진행이 되고 있다(Park et al. 2009; Kim et al. 2011).

  22. Ryu, J.H., J.-S. Won, and K.D. Min,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3): 442-45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에서도 물과 육지의 경계인 waterline을 정확 하게 추출할 수 방법에 대한 연구와, waterline기법과 현 장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지형변화를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Ahn et al., 1992; Ryu et al., 2000; Park et al., 2003; Ryu et al., 2008; Choi et al., 2011; Lee et al., 2011).

    현재까지 여러가지 경계 추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어 왔지만 위성영상이 촬영될 때 다양한 기상조건에서 촬영되므로 자동화된 waterline 추출기법은 일정한 오차가 동반될 수 있고 특히 조간대에서는 물과 육지의 경계가 모호하여 더 큰 오차가 유발되기도 한다(Lee and Jurkevich 1990; Ryu et al. 2002).

  23. Ryu, J.H., C.H. Kim, Y.K. Lee, J.-S. Won, S.S. Chun, and S. Lee, 2008. Detecting the intertidal morphologic change using satellite dat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8(4): 623-632.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원격탐사자료를 이용2. 연구지역 및 자료하여 조간대의 waterline을 추출하고, 추출된 waterline에고도(elevation)를 내삽(interpolation)하여 Digital ElevationModel (DEM)을 생성 할 수 있는 기법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DEM을 비교하는 연구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Mason et al., 1997; Mason et al., 1998; Ryu et al., 2002).

    국내에서도 물과 육지의 경계인 waterline을 정확 하게 추출할 수 방법에 대한 연구와, waterline기법과 현 장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지형변화를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Ahn et al., 1992; Ryu et al., 2000; Park et al., 2003; Ryu et al., 2008; Choi et al., 2011; Lee et al., 2011).

  24. van der Wal, D., P.M.J. Herman, and A. Wielemaker-van den Dool, 2005. Characterisation of surface roughness and sediment texture of intertidal flats using ERS SAR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8: 96-109.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최근 다중편파(multi-polarization) SAR시스템이 개발 되기 전까지 단일편파(single-polarization) SAR자료를 이용한 조간 대퇴적상의 연구는 일부 제한적으로만 가능 하였다(van der Wal et al. 2005).

    조간대 지역의 표면 거칠기 차이는 그 지역을 구성하는 퇴적물의 입자크기(입도)와 관계가 있으므로(van der Wal et al. 2005).

  25. van Zyl, J., 1989.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scattering behavior using radar polarimetry dat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27(1): 36-4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하지만 다중편파 SAR자료의 활용분야는 대부분 육상의 토지피복 분류나 나대지에서의 표면 거칠기나 수분함유량 추출에만 한정이 되었고 (van Zyl 1989; Ferro-Famil et al. 2001; Hajnsek et al. 2003).

  26. Yamaguchi, Y.T. Moriyama, M. Ishido, and H. Yamada, 2005. Four-component scattering model for polarimetric SAR image decomposi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3(8): 1699-170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반면 다중편파 SAR자료는 전자기파의 수직·수평성분의 조합을 통해 지표면의 산란특성을 보다 자세히 파악 가능하게 하였다 (Cloude and Pottier 1996; Cloude and Pottier 1997; Yamaguchi et al.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