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골농축액 시료 중에 함유된 아미노산 정량분석에 대한 오차 요인 및 측정불확도 추정
Error factors and uncertainty measurement for determinations of amino acid in beef bone extract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6 no.2, 2013년, pp.125 - 134  

김영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김지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정민유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신영재 (단국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사골농축액 시료 중에 23종의 아미노산 정량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에 관여하는 측정불확도 인자로 시료량, 최종 무게, 표준품 무게, 표준품 순도, 검정곡선, 회수율 및 재현성 등을 확인하였다. GUM(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과 EURACHEM에 근거하여 측정불확도에 대한 수학적 계산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사골농축액 시료 중 총 아미노산 함량은 36.18 g/100 g이었으며, 95% 신뢰수준(k, 2.05~2.36)에서 확장불확도는 3.81 g/100 g이었다. 측정불확도의 주요 요인은 분석시의 회수율과 반복성(25.2%) > 시료전처리(24.5%) > 검정곡선(24.0%)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미노산 분석 시 불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의 주의와 개인적인 숙력도의 향상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monstrated to estimate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f 23 multiple-component amino acids from beef bone extrac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sources of measurement uncertainty (i.e. sample weight, final volume, standard weight, purity, standard solution, c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골농축액 중 품질지표인 아미노산을 분석함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측정불확도를 추정하여 오차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최소화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산출하였다. 총 아미노산 분석 시 측정불확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불확도 인자로서 23종의 아미노산 표준품, 측정표준, 시험편차 및 분석값, 분석 장비, 분석법, 환경, 표준용액 제조시 원자별, 분자량 등의 요인과 분석 시에는 재현성, 반복성, 검정곡선의 측정불확도 산출 등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이를 합성 측정하고 수치화하여 각각의 불확도 인자들이 전체 불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중에 아미노산에 대한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1-3 아미노산 조성 및 분석은 식품의 중요한 영양학적 품질성분이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정보가 필요하다. 식품 중에 아미노산에 대한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단백질을 가수분해시켜 전개하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법(Thin Layer Chromatography),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Gas Chromatography),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이 있다.4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육제품의 독특한 향과 풍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육제품의 독특한 향과 풍미는 여러 효소작용 뿐만 아니라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품질을 결정 하는 주요한 요소로 아미노산의 함량이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1-3 아미노산 조성 및 분석은 식품의 중요한 영양학적 품질성분이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정보가 필요하다.
GUM, EURACHEM에 근거하여 수학적 처리 및 통계 방법, 미국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USA)의 지침은 어디에 활용되는가? 분석의 불확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GUM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과 EURACHEM에 근거하여 수학적 처리 및 통계방법6-7그리고 미국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USA)의 지침 등이 널리 이용된다. 8이들은 불확도 계산절차, 즉, 측정량의 함수표현, 입력량의 표준불확도 계산, 합성표준불확도의 계산, 확장불확도의 계산 방법 등 측정불확도에 대한 수학적, 통계적 이론 및 예시를 수록하고 있어 불확도 산정 및 표현에 사용되고 있다.9 또한, ISO 17025에서도 국가간의 무역 장벽을 없애기 위해 수출 시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측정불확도를 추정할 수 있도록 기술하고 있으며,10 품질체계에서는 시험분석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측정불확도 산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F. Toldra, M. C. Aristoy, C. Part, C. Crervero, E. Rico, M. J. Motilva and J. Flores, J. Food Sci., 57, 816-818 (1992). 

  2. J. Ventanas, J. J. Cordoba, T. Antequera, C. Garcia, C. Lopez-Bote and A. Asensio, J. Food Sci., 57, 813-815 (1992). 

  3. M. A. Dura, M. Flores and F. Toldra, Food Chem., 86, 385-389 (2004). 

  4. J. A. White, R. J. Hart and J. C. Fry, J. Automatic Chem., 8, 170-177(1988). 

  5. Y. J. Kim and H. W. Kim,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53-1059 (2003). 

  6. Ellison, S. L. R., Roesslein, M. I., and Williams, 'A.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s 2nd', EURACHEM, London, UK, 32-94. 2000. 

  7. ISO,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UM), Swizerland". 1995. 

  8. B. N. Taylor and C. E. Kuyatt, 'Guidelines for Evaluating and Expressing the Uncertainty of NIST Measurement Results,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Gaithersburg, MD, USA (1994). 

  9. E. Hund, D. L. Massart and J. Smeyers-Verbeke, Anal. Chim. Acta., 480, 39-52 (2003). 

  10. L. Alder, W. Korth, A. L. Patey, H. A. Schee and S. Schoeneweiss, J. AOAC. Int., 84, 1569-1578 (2001). 

  11. M. D. Islam, M. S. Turcu and A. Cannavan, Food Addit Contam., 25, 1439-1450 (2008). 

  12. H. E. Ok, H. J. Chang, Y, W. Kang, M. H. Kim and H. S. Chu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42-149 (2011). 

  13. S. C. Heo, J. S. Min, J. S. Park, M. A. Lim and S. W. Park,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7, 443-453 (2004). 

  14. M. K. Kim, S. J. Park, C. M. Lim, B. H. Cho, H. J. Kwon, D. G. Kim and G. S. Chung, Korean J. Vet Res., 47, 139-145 (2007). 

  15. H. M. Lee, B. M. Kwak, J. H. Ahn and T. H. Je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52-159 (2008). 

  16. J. Y. Kim, Y. J. Kim, J. H. Yoo, J. H. Lee, M. J. Kim, D. W. Kang, G. J. Im, M. K. Hong, Y. J. Shin and W. I. Kim, Korean J. Environ Agric., 30, 179-188 (2011). 

  17. U. Schepers, J. Ermer, L. Preu and H. Watzig, J. Chromatogr. B., 810. 111-118 (2004). 

  18. D. B. Hibbert, J. Jiang and M. I. Mulholland, Anal. Chim. Acta., 443, 205-214 (2001). 

  19. E. Soboleva, A. Ambrus and O Jarju, J. Chromatogr. A., 1029, 161-166 (2004). 

  20. R. L. Heinrikson and S. C. Meridith, Anal. Biochem, 136, 65-74 (1984). 

  21. C. R Llames and J. Fontaine, J. AOAC Int., 77, 1362-1402 (1994). 

  22. KOLAS, "Guideline for quantifying and expressing the uncertainty in measurement results.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Daejon, Korea", 2000. 

  23. FDA. Guidance for industry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ockville, MD, USA. 2001. 

  24. J. Y. Jun, B. M. Kwak, J. H. Ahn and U. Y. Ko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01-710 (2004). 

  25. S. Leito, K. Molder, A. Kunnapas, K. Herodes and I. Leito , J. Chromatogr. A., 1121, 55-63 (2006). 

  26. H. E. Ok, H. J. Chang, J. H. Ahn, J. Y. Cho and H. S. Chu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58-26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