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LC-PDA를 이용한 lepimectin 잔류량 분석법 개발 및 확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lepimectin residues by HPLC-PDA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6 no.2, 2013년, pp.142 - 153  

도정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학물질과) ,  권지은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학물질과) ,  이은미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미라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국주희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권기성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오재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학물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lbemycin계 속효성 살충제인 lepimectin의 국내 잔류허용기준이 신설 고시됨에 따라 농산물 중 lepimectin 잔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신속, 정확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Lepimectin 잔류물은 메탄올로 추출하여 포화식염수와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한 액액분배를 수행하였고, 플로리실로 충진한 유리칼럼 및 아미노프로필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두 번의 정제 과정을 거친 후 HPLC-PA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photodiode array detector)를 통해 기기분석을 수행하였으며, LC-MS (Liquid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로 재확인하였다. Lepimectin 표준품의 직선성은 lepimectin $A_3$, $A_4$ 모두에서 상관계수($R^2$)가 0.9999로 우수하였다. 개발한 분석법으로 오이, 고추, 현미, 감귤, 감자, 대두에 대한 lepimectin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76.0~114.8% 범위로 10% 미만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으며,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0.005 mg/kg, 정량한계는 0.01 mg/kg이었다. 또한 광주지방식약청, 대전지방식약청의 분석법 검증 결과, 각각 70.3~108.8%, 80.5~95.6%의 회수율과 10% 미만의 표준 오차를 나타내었다. 분석법에 대한 각 실험실의 회수율과 표준오차 및 실험실간 표준 오차($RSD_R$;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n Reproducibility)는 코덱스 기준(CAC/GL 40)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lepimecin 잔류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최적의 분석법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rapid, and simple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PAD) for the determination of lepimectin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The lepimectin residues in sampl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part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day의 동일한 ADI (Acceptable daily intake, 일일섭취허용량) 가 설정되어 있다.5 Lepimectin 잔류에 대한 Codex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기준은 아직 없으나, 고추와 오이에 대한 lepimectin의 국내 잔류허용기준이 각각 0.5 mg/kg, 0.2 mg/kg으로 신설되어 고시되었고(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1-23호) 또한, 201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lepimectin을 유효 성분으로 한 원예용 살충제가 시판됨에 따라 국내 유통 농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lepimectin 잔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법이 필요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pimectin의 화학식은? Lepimectin이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형태는 lepimectin A3(E-241)와 lepimectin A4(E-909)의 두 형태이며(Fig. 1), 화학식은 C40H51NO10(6'-methyl)과 C41H53NO10(6'- ethyl)이다. 분자량은 각각 705.
Lepimectin은 어떤 살충제인가? Lepimectin은 2010년 일본 Mitsui Chemical Agro, Inc에서 개발한 macrocyclic lactone, 밀베마이신(Milbemycin)계 속효성 살충제로서 접촉독, 섭식독으로 나방, 총채벌레, 잎굴파리 등의 응애류를 방제한다. Lepimectin이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형태는 lepimectin A3(E-241)와 lepimectin A4(E-909)의 두 형태이며(Fig.
Lepimectin은 어떤 벌레들을 방제해주는가? Lepimectin은 2010년 일본 Mitsui Chemical Agro, Inc에서 개발한 macrocyclic lactone, 밀베마이신(Milbemycin)계 속효성 살충제로서 접촉독, 섭식독으로 나방, 총채벌레, 잎굴파리 등의 응애류를 방제한다. Lepimectin이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형태는 lepimectin A3(E-241)와 lepimectin A4(E-909)의 두 형태이며(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anwood, http://alanwood.net/pesticides/index 

  2. KFDA. Kore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Administration, Seoul, Korea (2011). 

  3. 2012 작물보호제(농약) 지침서. 한국작물보호협회 (2012). 

  4. M. H. Jeong, S. S. Hong, K. H. Park, J. E. Park, S. J. Kwack, Y. B. Kim, B. S. Han and W. C. Son,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2), 218-229 (2011). 

  5. KFDA, http://fse.foodnara.go.kr/residue/pesticides/pesticides_info_view.jsp#ADI 

  6. AOAC, Pesticide and industrial chemical residues, In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1-88,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VA, USA (2000). 

  7. US FDA, Pesticide Analytical Manual, Vol 1: Multi residue Methods(3rd e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 (1999). 

  8. 식품공전 잔류농약 분석법 실무해설서, 이영득, KFDA (2012). 

  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uidelines on good laboratory practice in residue analysis, CAC/GL 40-1993, Rome. Italy (2003). 

  10. S. J. Lee, Y. H. Kim, L. W. Song, Y. S. Hwang, J. D. Lim, E. H. Sohn, M. H. Im, J. A. Do, J. H. Oh, K. S. Kwon, J. K. Lee, Y. D. Lee and M. G. Choung,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3), 254-268 (2011). 

  11. C. H. Kwon, M. H. Chang, M. H. Im, D. I. Choi, S. C. Jung, J. Y. Lee, Y. D. Yu, J. O. Lee and M. K. Hong, Anal. Sci. Technol., 21(6), 518-52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