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톳 유래 수용성 다당류의 Lipase 저해활성과 지질 및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Tott on Lipid Absorption and Animal Body Weigh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556 - 562  

백구 (가천대학교 약과학과) ,  구본근 (가천대학교 약과학과) ,  안병제 (전남해양바이오산업센터) ,  박제권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을 지양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간단한 추출방법을 고안하여 톳의 다당류 성분(WSP-A)을 추출해내었고, WSP-A가 지질의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상으로 lipase inhibition assay와 in vivo로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톳 유래 다당류는 alginate와 유사한 성분이지만 성분당 분석을 통하여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로 밝혀졌고, 이는 alginate보다 뛰어나고 안정한 lipase inhibitor로써 작용하였다. 또한 동물실험에서는 WSP-A를 포함하는 음용수로 제공한 것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은 무게 변화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비만 예방군과 비만 치료군 사이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이섬유를 이용한 연구와 비교해보았을 때, 톳 유래 다당류는 식이섬유 이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뛰어난 lipase inhibitor로 체중감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인간췌장유래 리파아제(human pancreatic lipase)의 저해활성과 더불어 인체 내에서의 작용 가능성을 짐작하고 있다. 따라서 톳 유래 다당류 성분은 식이성 섬유의 공급원 뿐만 아니라 추후에 효소활성 저해 효과에 대한 보다 명확한 작용기전을 밝혀낸다면 단순한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보다 lipase inhibitor로써 항비만 약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WSP-A) extracted from the seaweed Hijikia fusiforme (Tott in Korean). The extracted alginate-like polysaccharide (verified by FT-IR and HPAEC-PAD analysis) was examined in a lipase inhibition assay and animal experiments. WSP-A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동물을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고 일반음용수 또는 WSP-A를 녹인 용액을 음용수로 공급하였다. 경구투여를 위해 강제 투여로 인한 동물의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자연적인 섭취방법을 본 연구에서 수행하였다. 따라서 물과 WSP-A 용액 음용수의 소비량 역시 중요한 인자임을 고려하여 체중 측정 때마다 소비량을 고려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톳 추출물로부터 수용성 다당(water-soluble polysaccharide, WSP)류를 분리하여 FT-IR을 이용해 1차적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당성분 분석을 통해 주요 당성분을 확인하였다. 또한 WSP가 porcine pancreatic lipase(PPL)와 human pancreatic lipase(HPL)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WSP 섭취에 의한 흰쥐의 몸무게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톳 다당류가 lipase 활성을 억제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이를 토대로 톳 다당류가 항비만 효과를 가진 건강 기능성식품 소재, 의약품 등에 이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을 지양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간단한 추출방법을 고안하여 톳의 다당류 성분(WSP-A)을 추출해내었고, WSP-A가 지질의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상으로 lipase inhibition assay와 in vivo로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톳 유래 다당류는 alginate와 유사한 성분이지만 성분당 분석을 통하여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로 밝혀졌고, 이는 alginate보다 뛰어나고 안정한 lipase inhibitor로써 작용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수순 alginate의 동일한 조건에서 가수분해 하여 분석한 결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Fig. 2에 나타낸 것처럼 분리 정제한 WSP-A의주요 구성당이 alginate와 매우 유사한 다당임을 확인한FT-IR 결과를 뒷받침해 준다 하겠다. 또한 톳 유래 fucoidan의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fucose, galactose 순으로 주요 당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18), 건조 톳의 경우 alginate 성분이 70.
  • 그리고 수용성 식이섬유는 장의 점성을 증가시켜 연동운동 중 내용물과 영양성분이 이동하는 것을 둔화시킴으로써 포도당뿐만 아니라 단백질, 지질의 흡수율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체중 증가와 식이효율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23,24).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톳 유래 수용성 다당 WSP-A가 항비만 유효물질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며, 특히 친환경, 친생체적합적 해양거대조류를 이용한 연구결과로서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비만제는 어떤 종류들로 나뉘어지는가?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운동 요법을 가장 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의학적 기술도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약물치료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항비만 기능을 가진 기능성식품 및 약물치료로 사용되는 항비만제는 크게 식욕을 억제하는 방법, 대사 활성을 높이는 방법, 그리고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3가지 기전에 따른 약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식욕을 억제하는 항비만제는 우울증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치료를 중단한 후 다시 비만 상태로 되돌아가는 등과 같은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리파아제 억제제(lipase inhibitor)로써의 항비만제인 제니칼(Xenical, orlistat)이 현재까지도 시판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방법을 이용한 항비만제는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부작용을 나타낼 뿐 안전하고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비만의 원인으로는 어떤 것이 알려져 있는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주로 지방이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인슐린 비의존성 제2형 당뇨, 뇌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담성증, 호흡기 장애, 고혈압, 심지어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여 조기사망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1,2). 중요한 이유로서현대인의 고지방 위주의 식습관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식습관은 지방 축적에 기여하기도 하지만 보다 주요한 요인은 지방의 대사이용률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으로 섭취하는 지방의 90%는 여러 종류의 triglycerides(TGS)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이 흡수되기 위해서는 가수분해 과정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lipase들은 음식으로 섭취되는 지방의 50~70%를 사람이 흡수할 수 있는 fatty acid로 분해시킨다.
비만은 어떤 현상을 이야기하는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주로 지방이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인슐린 비의존성 제2형 당뇨, 뇌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담성증, 호흡기 장애, 고혈압, 심지어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여 조기사망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1,2). 중요한 이유로서현대인의 고지방 위주의 식습관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식습관은 지방 축적에 기여하기도 하지만 보다 주요한 요인은 지방의 대사이용률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iggins M, Kannel W, Garrison R, Pinsky J, Strokes J 3rd. 1988. Hazards of obesity-the framingham experience. Acta Med Scand Suppl 723: 23-36. 

  2. Pi-Sunyer FX. 1993. Medical hazards of obesity. Ann Intern Med 119: 655-660. 

  3. Hadvary P, Lengsfeld H, Wolfer H. 1988.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n vitro by the covalent inhibitor tetrahydrolipstatin. Biochem J 256: 357-361. 

  4. Finer N, James WPT, Kopelman PG, Lean ME, Williams G. 2000. One-year treatment of obesity: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re study of orlistat, a gastrointestinal lipase inhibitor.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306-313. 

  5. Mayer MA, Hocht C, Puyo A, Taira CA, 2009. Recent advances in obesity pharmacotherapy. Curr Clin Pharmacol 4: 53-61. 

  6. Munro MHG, Luibrand RT, Blunt JW. 1987. The search for antiviral andanticancer compounds from marine organisms. In Bioorganic Marine Chemistry. Scheuer PJ, ed. Verlag Chemie, Berlin, Germany. Vol 1, p 93-176. 

  7. Siriwardhana N, Jeon YJ, Kim SH, Ha JH, Heo SJ, Lee KW. 2004. Enzymatic hydrolysis for effective extrac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Hizikia fusiformis. Algae 19:59-68. 

  8. Kim KI, Seo HD, Lee HS, Cho HY, Yang HC. 1998. Studies on the bloodanticoa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04-1210. 

  9. Draget KI, Skjak-Braek G, Smidsrod O. 1997. Alginate based new materials. Int J Biol Macromol 21: 47-55. 

  10. Ertesvag H, Valla S. 1998. Bio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alginates. Polym Degrad Stab 59: 85-91. 

  11. Uludag H, De Vos P, Tresco PA. 2000. Technology of mammalian cell encapsulation. Adv Drug Deliv Rev 42:29-64. 

  12. Ingram M, Wright TA, Ingoldby CJ. 1998.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calcium alginate (Sorbsan) versus standard gauze packing following haemorrhoidectomy. J R Coll Surg Edinb 43: 308-309. 

  13. Bryan JL, Little SL, Sykes J, Baxter T, Dettmar PW. 2001. Efficacy and safety of a unique anti-reflux agent, gaviscon advance, for the treatment of heartburn in pregnancy. Gastroenterol 120: 434. 

  14. Morya VK, Kim J, Kim EK. 2012. Algal fucoidan: structural and size-dependent bioactivities and their prospectives. Appl Microbiol Biotechnol 93: 71-82. 

  15.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16. Dubois N,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6. 

  17. Silvestri LJ, Hurst RE, Simpson L, Settine JM. 1982. Analysis of sulfate in complex carbohydrates. Anal Biochem 123: 303-309. 

  18. Li B, Wei XJ, Sun JL, Xu SY. 2006. Structural investigation of a fucoidan containing a fucose-free core from the brown seaweed, Hizikia fusiforme. Carbohydr Res 341: 1135-1146. 

  19. Dodgson KS, Price RG. 1962. A note on the determination of the ester sulphate content of sulphated polysaccharides. Biochem J 84: 106-110. 

  20. Hadvary P, Sidler W, Meister W, Vetter W, Wolfer H. 1991. The lipase inhibitor tetrahydrolipstatin binds covalently to the putative active site serine of pancreatic lipase. J Biol Chem 266: 2021-2027. 

  21. Vahouny GV, Roy T, Gallo LL, Story JA, Kritchevsky D, Cassidy M. 1980. Dietary fibers. III. Effects of chronic intake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the rat. Am J Clin Nutr 32: 2182-2191. 

  22. Watanabe T, Hirayama T, Takahashi T, Kokubo T, Ikeda M. 1979. Toxicological evaluation of arsenic in edible seaweed, Hizikia species. Toxicology 14: 1-22. 

  23. Rolls BJ, Ello-Martin JA, Tohill BC. 2004. What can intervention studies tell u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weight management? Nutr Rev 62: 1-17. 

  24. Gordon DT. 1989. Functional properties vs physiological action of total dietary fiber. Cereal Foods World 34: 517-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