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 조절운동 양식에 따른 만성요통환자의 신체·심리적 기능변화
Changes of Physicopsychological Function difference on Trunk Control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4, 2013년, pp.331 - 338  

고대식 (금호타이어 재활센터) ,  김찬규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대인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통치료 및 관리를 위하여 정적체간조절운동(요부안정화운동-바닥)과 동적체간조절운동(3차원 체간조절운동)을 실시하고 요통관련 신체 심리 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은 균형능력과 요부근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기능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균형능력은 전체 지수, 전 후 지수, 좌 우 지수로 측정하였고 요부근활성도는 배곧은근, 바깥빗근, 척추 세움근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 지수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두군 모두 신체 심리적기능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기능에서 동적체간조절운동군이 더 통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적체간조절운동이 정적체간조절 운동보다 신체적 기능 증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change of physicopsychological function on Dynamic Trunk Control Exercise(3D-DTCE) and Static Trunk Control Exercise (STCE) to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subject for lumbago therapy and management. Physical function was measured by equlib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ir-balance 3D를 이용한 동적 체간 조절운동과 정적 체간조절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체적 기능검사로서 전체, 전후, 좌우 균형지수와 배곧은근, 바깥빗근,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 심리적 기능검사로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 연구에서는 Air balance 3D를 이용한 동적체간조절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신체기능인 균형능력과 요부근활성도, 심리적 기능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적체간조절운동군과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균형능력과 요부근활성도, 신체적 자기효능감 측정에서 두군 모두 운동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군간 비교에서는 균형능력과 요부근활성도에서 동적체간 조절운동군이 더 통계학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r-balance 3D를 이용한 동적체간조절운동에 따른 만성요통환자의 신체적 기능인 균형능력과 요부 근활성도, 심리적 변화와 관련하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분석하여 Air-balance 3D를 이용한 동적 체간조절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신체․심리적 변화를 정적체간조절운동과 비교함으로써 만성요통 치료 및 관리방법으로 타당성과 효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부의 안정성이란? 요부의 안정성은 중립위치에서 요부와 골반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능력으로[10], 요부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움직임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척추간의 정렬을 바르게 유지시켜 척추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심부 근육과 외부부하에 대항하거나 염력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표층근육 간의 조화로운 협응수축(Co-contraction)이 요구된다[11].
요부안정화운동의 장점은? 요부안정화운동은 체간근육의 협응수축을 유도하여 기능적 자세와 움직임 조절능력을 회복시켜 자세안정성을 증가시킴으로서 근력을 강화시키며, 균형능력을 향상시켜 정상적인 운동양상을 촉진하는 운동으로[12], 장소, 시간, 비용적 제한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만성요통환자의 치료에 필수적인 접근방법이 되고 있다[13].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통치료 및 관리를 위하여 정적체간조절운동(요부안정화운동-바닥)과 동적체간조절운동(3차원 체간조절운동)을 실시하고 요통관련 신체 심리 기능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은 균형능력과 요부근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기능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균형능력은 전체 지수, 전 후 지수, 좌 우 지수로 측정하였고 요부근활성도는 배곧은근, 바깥빗근, 척추 세움근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 지수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두군 모두 신체 심리적기능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기능에서 동적체간조절운동군이 더 통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적체간조절운동이 정적체간조절 운동보다 신체적 기능 증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 F. Walker, "The prevalence of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66 to 1998," J Spinal Disord, Vol.13, No.3, pp.205-217, 2000. 

  2. R. G. Hazard, "Chronic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The efficacy of functional restoration," Bull Hosp Jt Dis, Vol.55, No.4, pp.213-216, 1996. 

  3. T. Bjerkeset, L. G. Johnsen, L. Kibsgaard, and P. Fuglesang, "Surgical treatment of degenerative lumbar disease," Tidsskr Nor Laegeforen, Vol.125, No.13, pp.1817-1819, 2005. 

  4. S. H. Hochschuler, R. D. Guyer, and H. B. Cotler, Rehabilitation of the spine: Science and Practice, Mosby Year Book, Chicago, 1993. 

  5. 최수희, 권오윤, 이충휘, 전혜선, 오재섭,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0, 2005. 

  6. C. Richard, G. Jul, P. Hodges, and J. Hides, Therapeutic Exercise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 Scientific basis and clinical approach, London, New York: Churchill Livingstorn, 1999. 

  7. 최순영, "만성요통 여교사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통증, 기능장 애, 우울 및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7권, 제2호, pp.169-187, 2001. 

  8. R. G. Cooper, W. St Clair Forbes, and M. I. Jayson, "Radiographic demonstration of paraspinal muscle wasting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r J Rheumatol, Vol.31, No.6, pp.389-394, 1992. 

  9. S. Louto, H. Aalto, S. Taimela, H. Hurri, I. Pyykko, and H. Alaranta, "One-footed and externally disturbed two-footed posture control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A controlled study with follow-up," Spine 1998; Vol.23, No.19, pp.2081-2089, 1998. 

  10. G. Jull, C. Richardson, R. Toppenburg, M. Comerford, and B. Bui, "Towards a measurement of active muscle control for lumbar stabilisation," Aust Physiother, Vol.39, No.3, pp.187-193, 1993. 

  11. K. P. Barr, M. Griggs, and T. Cadby, "Lumbar stabilization: a review of core concepts and current literature, part 2," Am Phys Med Rehabil, Vol.86, No.1, pp.72-80, 2007. 

  12. P. W. Hodges and C. A. Richardson, "Contrac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associated with movement of the lower limb," Phys Ther, Vol.77, No.2, pp.132-142, 1997. 

  13. N. Handa, H. Yamamoto, T. Tani, T. Kawakami, and R. Takemasa, "The effect of trunk muscle exercise in patients over 40 years ago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orthop sic, Vol.5, No.3, pp.210-216, 2000. 

  14. G. B. Anders,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trunk muscle during whole body tilt with unsupported trunk. Institute for Pathophysiology and Pathobiochemistry, Motor Research Group, Friendrich-Schiller-University Jena, 2005. 

  15. D. M. Urquhar and P. W. Hodges, "Differential activity of regions of transversus abdominis during trunk rotation," Eur Spine J, Vol.14, No.4, pp.393-400, 2005. 

  16. 김연주, 이승주, 박래준, 이윤미, "치매노인들의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따른 뇌파 변화", 대한물리의학회지, 제5권, 제3호, pp.313-322, 2010. 

  17. 박창식, 강권영,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이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1호, pp.194-203, 2011. 

  18. F. Kermode, "Benefits of utilis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lumbar spine stabilising muscles following low back injury in the elite athlete-a single case study," Phys Ther Sport, Vol.5, No.1, pp.13-16, 2004. 

  19. J. Finsterer, "Review EMG-interference Pattern Analysis," J Electromyogr Kinesiol. Vol.11, No.4, pp.231-246, 2001. 

  20. R. M. Ryckman, M. A. Robbins, B. Thomton, and P. Cantrel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 Pers Soc Psychol, Vol.42, No.5, pp.891-900, 1982. 

  21. 홍선옥, 운동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발달과 성역할 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996. 

  22. R. Jemmett, Spinal Stabilization: The New Science of Back Pain(2nd ed), Canada: novont health publishing, 2003. 

  23. C. A. Richardson, G. A. Jull, P. Hodges, Therapeutic Exercise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 Scientific Basis and Clinical Approach,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99. 

  24. M. M. Panjabi, "The stabilizing system of spine: Part I.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 Spinal Disord, Vol.5, No.4, pp.383-389, 1992. 

  25. P. W. Marshall and B. A. Murphy,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Vol.86, No.2, pp.242-249, 2005. 

  26. C. M. Norris, "Abdominal muscle training in sport," Br J Sports Med, Vol.27, No.1, pp.19-27, 1993. 

  27. P. W. Hodges and C. A. Richardson, "Altered trunk muscle recruitment inpeople with low back pain with upper limb movement at different speeds," Arch Phys Med Rehabil, Vol.80, No.9, pp.1005-1012, 1999. 

  28. A. Shumway-Cook, and M. Woollacott,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Baltimore, MD : Williams & Wilkins, pp.119-206, 1995. 

  29. C. Ahrens, M. Schiltenwolf and H. Wa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in chronic low back pain and comorbid depression," Schmerz, Vol.24, No.3, pp.251-256, 2010. 

  30. 조혜영, 송병호, 김용선, "치료용 볼과 고정된 지면에서의 중심안정성운동에 따른 요통환자 요부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6호, pp.631-642, 2006. 

  31. 최병찬, 김훈, "요부안정화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147-1156, 2009. 

  32. G. J. Coppack, J. Kristensen, and C. I. Karageorghis, "Use of a goal setting intervention to increase adherence to low back pain rehabil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ol.26, No.11, pp.1032-1042, 2012. 

  33. 이영란, 이승희, 김준홍, "수중재활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요통, 유연성, 근지구력 및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67-177, 2004. 

  34. T. Bodin and E. W. Martinsen, "Mood and self-efficacy during acute exercise in clinical depression," J Sport Exerc Psychol, Vol.26, No.4, pp.623-63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