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체험형 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뇌졸중환자의 낙상관련 신체·심리적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all-Related Physicopsychological according to Virtual Exercise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the Patient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8, 2012년, pp.274 - 282  

정대인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서태화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고대식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을 위하여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 운동(Nintendo-Wii Sport-NWS)과 요부안정화 운동을 실시하고 낙상관련 신체 심리 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은 정적, 동적균형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기능은 낙상효능감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정적균형BBS, FRT, 동적균형은 TUG, 10m 보행검사, 낙상효능감은 낙상 효능감 지수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두군 모두 신체 심리적기능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BS, FRT, 10m보행에서 요부안정화 운동군이 더 통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상효능감은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 운동 군에서 더욱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운동은 뇌졸중환자의 신체 심리적 기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change of physicopsychological function on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LSE) and virtual reality game training(Nintendo Wii Sport-NWS) to stroke patients subject for fall prevention. Psychological function was measured by falls efficacy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Nintendo Wii Sports 프로그램과 단순요부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관련 신체상태인 균형능력과 낙상에 대한 심리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적균형능력 검사로서 BBS와 FRT, 동적균형능력 검사로서 TUG와 10m 보행속도, 낙상에 대한 심리상태검사로서 낙상효능감검사 측정을 통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관련 신체적 기능인 균형능력과 심리적 기능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요부안정화운동군과 비교하여 자조훈련프로그램으로 타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체적 기능 측정에서는 두군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지만 단순요부안정화운동군이 BBS, FRT, 10m보행 속도에서 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기능인 낙상효능감에서 또한 두군 모두 개선되었지만 닌텐도 Wii Sports군이 낙상효능감이 단순요부안정화운동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로부터 치료사에 의해 정확하고 정량적으로 실시된 단순요부안정화운동군은 신체적으로 기능향상을 시켜 낙상효능감을 개선시키는것으로 사료되며 닌텐도 Wii Sports군은 시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통하여 환자가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운동에 참여함으로서 신체 균형유지의 자신감이 상승하여 낙상효능감 뿐만 아니라 신체적 균형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을 활용한 운동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낙상과 관련하여 신체적으로 가장 비중 있게 영향을 미치는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및 심리적 변화와 관련하는 낙상효능감을 분석하여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이 뇌졸중환자의 낙상관련 신체ㆍ심리적 변화를 단순요부안정화운동과 비교함으로써 뇌졸중환자의 지속적인 자조훈련 프로그램으로 타당성과 효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뇌졸중으로 사망한 인구수는? 뇌졸중은 2009년 사망통계에 의하면 인구 10만 명당 남자는 51.5명, 여자는 54.8명이 사망하는 질환으로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1].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뇌졸중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되었지만 뇌졸중 발병 후 재활은 장기간의 치료기간을 요구하며, 또한 느린 운동기능의 회복을 보여 일상생활동작 수행이 제한된 상태로 생활하는 뇌졸중 환자의 수가 해마다 약 5% 이상 증가하고 있다[2].
뇌졸중 발병 후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일상생활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은 불안, 좌절, 우울과 같은 정서적 고통에 따른 심리적인 장벽을 형성시켜 신체기능의 저하, 균형과 이동능력의 악화 등의 악순환이 반복되어 일상생활의 질적 저화와 낙상빈도수를 증가시킨다[7].
뇌졸중 환자들의 낙상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들은 자세의 동요에 대한 반응시간의 지연, 비대칭적인 체중분포, 체중이동 능력의 손상 등의 균형능력의 감소로 인해 보행 시 방향을 전환하거나 장애물을 피하거나 건너는 것에 어려움을 보여 낙상의 위험성은 증가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2010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April). Statistics of disabled people in 2008. Retrieved April 29, 2009, from http://www.mw.go.kr. 

  3. P. A. Goldie, T. A. Matyas, O. M. Evans, M. Galea, and T. M. Bach, "Maximum voluntary weight-bearing by the affected and unaffected legs in standing following stroke," Clin Biomech (Bristol, Avon), Vol.11, No.6, pp.333-342, 1996. 

  4. L. Jorgensen, T. Engstad, and B. K. Jacobsen, "Higher incidence of falls in long-term stroke survivors than in population controls: depressive symptoms predict falls after stroke," Stroke, Vol.33, No.2, pp.542-547, 2002. 

  5. W. C. Graafmans, M. E. Ooms, H. M. Hofstee, P. D. Bezemer, L. M. Bouter, and P. Lips, "Falls in the elderly: a prospective study of risk factors and risk profiles," Am J Epidemiol, Vol.143, No.11, pp.1129-1136, 1996. 

  6. D. Gucuyener, C. Ugur, N. Uzuner, and G. Ozdemir, "The importance of falls in stroke patients," Ann Saudi Med, Vol.20, No.3-4, pp.322-323, 2000. 

  7. 김창환, 김세주, "뇌졸중 후 운동기능 회복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제19권, 제1호, pp.55-61, 1995. 

  8. 강태도, 황정해, 김재우, 홍석준, 장기언, "뇌졸중 환자에서 낙상의 관련요인",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69-275, 1997. 

  9. N. M. Salbach, N. E. Mayo, S. Wood-Dauphinee, J. A. Hanley, C. L. Richards, and R. Cote,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Vol.18, No.5, pp.509-519, 2004. 

  10. R. A. Geiger, J. B. Allen, J. O`Keefe, and R. R. Hicks,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Vol.81, No.4, pp.995-1005, 2001. 

  11. E. W. Miller, M. E. Quinn, and P. G. Seddon,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and overground ambulation training for two patients with chronic disability secondary to stroke," Phys Ther, Vol.82, No.1, pp.53-61, 2002. 

  12. 황병용, "고유수용성 조절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9-74, 2004 

  13. M. de Haart, A. C. Geurts, S. C. Huidekoper, L. Fasotti, and J. van Limbeek,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 e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85, No.6, pp.886-895, 2004. 

  14. H. Barbeau and M. Visintin, "Optimal outcome obtained with body-weight support combined with treadmill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Vol.84, No.10, pp.1458-1465, 2003. 

  15. A. A. Rizzo, J. G. Buckwalter, T. Bowerly, C. Van Der Zaag, L. Humphrey, U. Neumann, C. Chua, C. Kyriakakis, A. Van Rooyen, and D. Sisemore, "The virtual classroom: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attention deficits," Cyber Psych Behav, Vol.3, No.3, pp.483-499, 2000. 

  16. F. D. Rose, E. A. Attree, B. M. Brooks, D. M. Parslow, P. R. Penn, and N. Ambihaipahan, "Training in virtual environments: transfer to real world tasks and equivalence to real task training," Ergonomics, Vol.43, No.5, pp.494-511, 2000. 

  17. M. C. Dault, M. de Haart, A. C. Geurts, I. M. Arts, and B. Nienhuis, "Effects of visual center of pressure feed back on postural control in young and elderly healthy adults and stroke patients," Hum Mov Sci, Vol.22, No.3, pp.221-236, 2003. 

  18. F. Anderson, M. Annett, and W. F. Bischof, "Lean on Wii: physical rehabilitation with virtual reality Wii peripherals," Stud Health Technol Inform, Vol.154, pp.229-234, 2010. 

  19. N. Maclean, P. Pound, C. Wolfe, and A. Rudd,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atient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BMJ, Vol.28, pp.1051-1054, 2000. 

  20. 윤준웅, 오봉석, 김태수, "Nintendo Wii/Sports를 활용한 8주간의 운동이 지적장애 남자고등학생의 신체 조성과 물체 조작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6권, 제2호, pp.1099-1108, 2011. 

  21. 김은경, 강종호, 이현민, "가상현실 기반 게임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9권, 제3호, pp.131-149, 2010. 

  22. 김주홍, 오명화, 이재신, 안현수,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01-114, 2011. 

  23. 송창호, 서사미, 이경진, 이용우, "비디오 게임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근력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0권, 제1호, pp.155-180, 2011. 

  24. K. O. Berg, B. E. Maki, J. I. Williams, P. J. Holliday, and S. L. Wood-Dauphinee,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Vol.73, No.11, pp.1073-1080, 1992. 

  25. P. W. Duncan, D. K. Weiner, J. Chandler, and S. Studenski,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Vol.45, No.6, pp.192-197, 1990. 

  26. D. Podsiadlo and S. Richardson, "The timed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Vol.39, No.2, pp.142-148, 1991. 

  27. C. M. Dean, C. L. Richards, and F. Malouin, "Walking speed over 10meter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Vol.15, No.4, pp.415-421, 2001. 

  28. M. E. Tinetti, D. Richman, and L. Powell, "Falls efficacy as a measure of fearbof falling," J Gerontol, Vol.45, No.6, pp.239-243, 1990. 

  29. 이상헌, 고대식, 정대인,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2011. 

  30. C. M. Norris, "Back stability," Human Kinetics, Champaign, Illinois, 2000. 

  31. A. Shumway-Cook, and M. Woollacott,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Baltimore, MD : Williams & Wilkins, pp.119-206, 1995. 

  32. M. Piirtola and P. Era, "Force platform measurements as predictors of falls among older people - a review," Gerontology, Vol.52, No.1, pp.1-16, 2006. 

  33. J. J. Eng and K. S. Chu,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Vol.83, No.8, pp.1138-1144, 2002. 

  34. P. Davies, "Shoulder problems associated with hemiplegia (3ed.)". Berlin: Springer-Verlag, 1985. 

  35. F. M. Campbell, A. M. Ashburn, R. M. Pickering, and M. Burnett, "Head and pelvic movements during a dynamic reaching task in sitt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Arch Phys Med Rehabil, Vol.82, No.12, pp.1655-1660, 2001. 

  36. J. Carr and R. Shepherd,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London: Butterworth -Heinemann, 2003. 

  37. T. Tossavainen, M. Juhola, I. Pyykko, H. Aalto, and E. Toppila,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timuli for force platform posturography," Int J Med Inform, Vol.70, pp.277-283, 2003. 

  38. R. W. Bohannon, "Gait performance of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elected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Vol.68, No.11, pp.777-781, 1987. 

  39. 고대식, 김찬규, 정대인, "스위스볼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뇌졸중 환자 하지의 경직도와 균형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3호, 2011. 

  40. 김중휘와 김중선,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선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51-367, 2005. 

  41. C. Walker, B. J. Brouwer, and E. G. Culham,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Vol.80, No.9, pp.886-895, 2000. 

  42. 송창호, 신원섭, 이경진, 이승원,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9 권, 제4호, pp.1261-1275, 2009. 

  43. 김은자, 황병용, 김미선,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107-1116, 2010. 

  44. 황지혜, 정향미, 이미화, 이상주,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균형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1호, pp.27-3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