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문화콘텐츠 교육 개선방안 탐색
Exploration into Better College Cultural Contents Education for Manifestation of Creativ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4, 2013년, pp.481 - 496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변화하는 창조경제시대의 발전에 발맞추어,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의 창의성 발현을 위하여, 대학에서의 문화콘텐츠 교육 방안을 어떻게 가져가야할 것인가 하는 가능성을 살펴본 기초 연구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분야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화콘텐츠 교육관련 문제점과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지향 문화콘텐츠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실제 관련 전공 학생들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현재의 문화콘텐츠 교육에 대한 불만족이 기존의 교수법과 학습과정, 창의성이 결여된 교육과정 등에서 비롯되고 있는 만큼, 학제간 접근을 통한 다전공, 연계전공 및 융합교육의 시도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충분한 실험실습 및 인프라, 교수인력들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교육 관련해서는 현장실습과 창의적인 토론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재편이 시급하며, 교육방법에서도 일방적인 강의식에서 탈피하여, 토론, 팀플레이, 프로젝트 교육 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특성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전공들의 연계에 기초하여, 인턴쉽, 융합연계, 다양한 현장실습 등이 조화를 이룬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asic research on college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 an effort to step up the manifestation of the creativity of cultural contents expert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ast-changing era of creative economy. It's basically meant to analyze the chara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글에서는 창조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을 기본으로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부가가치 창출에 활용하며 문화발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문화콘텐츠 분야 교육의 특성과 실천방안의 마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성장동력인 문화콘텐츠의 교육관련 문제점과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지향의 인력양성 사업체계 및 시스템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인문학적인 특성에서 창조경제시대의 도래에 따른 창의적 인적자원육성이라는 측면에서 문화콘텐츠 교육방안을 실제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글에서는 창조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을 기본으로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부가가치 창출에 활용하며 문화발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문화콘텐츠 분야 교육의 특성과 실천방안의 마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성장동력인 문화콘텐츠의 교육관련 문제점과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지향의 인력양성 사업체계 및 시스템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인문학적인 특성에서 창조경제시대의 도래에 따른 창의적 인적자원육성이라는 측면에서 문화콘텐츠 교육방안을 실제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실제 관련 전공 학생들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창의적 인재의 바람직한 방향과 특성, 실제적 학문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 등을 알아볼 것이며, 학교 교육에서의 다양한 적용 가능 방안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제시할 것이다.
  • 2011년에 발표한 정부의 2010년도 콘텐츠 교육기관 현황조사에 따르면 고등교육기관의 분표는 다음 표와 같은데,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가 있는 학교는 2006년 306개교에서 2010년 372개교로 늘어났으며, 학과의 증가율은 4년제 대학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표 3][37]. 본 논문에서는 학교 교육의 측면이라는 점에서, 정규기관을 중심으로 문제점과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문화콘텐츠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38].
  • 문화콘텐츠산업의 창의성 발현을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개발 관련 분야의 실제적인 교육방안 개발을 통해 수요지향의 인력양성 전략 및 바람직한 방향 제시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요내용은 다음의 [표 4]와 같이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의 일반사항 및 창의성 구성요소에 대한 질문과 창의성 교육의 만족도 조사, 창의성 교육방법의 대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 이 글에서는 창조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을 기본으로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부가가치 창출에 활용하며 문화발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문화콘텐츠 분야 교육의 특성과 방안의 마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창의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지금에, 융합학문으로서의 문화콘텐츠 교육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이 있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인재의 핵심 요소는 ‘창의성’인데 창의적 사고는 무엇에 영향을 받고 무엇에 영향을 미치나요?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결과물인 창의적 산출물은 창의적 사고와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데, 창의적 사고는 문화를 포함한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고, 이는 창의적 산출물의 질과 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문화라는 거대한 카테고리 안에서는 어떤 새로움을 인정하고 확인하는 전문가의 판단능력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에 창의인재는 그가 살고 있는 시대와 지역의 문화적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경제와 산업발전의 축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경제와 산업발전의 축이 제조업생산에서 지식기반서비스산업으로 발전하며, 실물중심의 산업경제에서 정보중심의 지식경제로 변화하다가 최근에는 창의적인 콘텐츠가 중심이 되는 창조경제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메가트렌드와 시대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외 산업구조는 기존의 조직 및 기업 중심에서 창조적인 개인의 역량 중심으로 기여도가 높아지는 산업으로 진화하는 추세이다.
문화콘텐츠의 교육과 관련된 창의인재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요? 문화콘텐츠의 교육과 관련된 창의인재의 핵심 요소는 ‘창의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의 창의성은 단순히 새롭고 신기한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 그러한 결과물이 산업과 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복합적 역량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개인발전 뿐 아니라, 타인, 그리고 관련된 다양한 영역과 관련된 발전이며, 그 밑바탕에는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 줄 아는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이길태 역, 창조적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 전자신문사, 2002. 

  2. 조소연, 한.중.일 문화콘텐츠 인력양성 정책 및 지원프로그램 비교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3. Ake, E, Andersson and Charlotta Mellander, Handbook of Creative Cities,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2011. 

  4. 서지연, 김성국, 변재규, "창의인재육성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357-372, 2011 ; Mihaly, c,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Y: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6. 

  5. 강익희 외, 콘텐츠 산업의 창의인력육성과 일자리 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6.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 2011 

  7.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인재육성 사업의 전략적 포지셔닝, 2009. 

  8.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9. 서지연, 김성국, 변재규, "창의인재육성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1권제2호, pp.368-369, 2011. 

  10.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 문화산업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시범운영, 2010. 

  11.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3, 2011 

  12. 최영섭.최혜실외, 문화산업의 인력양성 세부실천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01. 

  13.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교육기관 조사 자료집, 2002. 

  14.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산업학과 커리큘럼 가이드북, 2003. 

  15. 문화관광부, 문화산업 전문인력 수급대책과 투자의 고용창출 효과에 관한 연구, 2000. 

  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2002. 

  17.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인력양성 중장기 종합 정책방안 수립, 2008. 

  18. 박기수, "문화콘텐츠 교육의 현황과 전망", 국제어문 제37권, pp.281-307, 2006. 

  19. 박상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 영역과 연구 분야 설정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10호, pp.59-83, 2007. 

  20. 이남희,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과 과제: 인문학과 창의성", 인문콘텐츠, 제10호, pp.85-103, 2007. 

  21. 정창권, "문화콘텐츠학, 어떻게 연구하고 가르칠 것인가", 동양한문학연구, 제24호, pp.25-48, 2007. 

  22. 김기덕,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교육과정의 분석 ", 다문화콘텐츠 연구, 제4호, pp.1-13, 2008. 

  23. 박기수, "문화콘텐츠 교육의 미래 전략", 다문화 콘텐츠연구, 제4호, pp.23-32, 2008. 

  24. 김동윤,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융합 학제적'접근의 한방향", 인문콘텐츠, 제9호, pp.417-442, 2010. 

  25. 신정아, "통합적 상상력과 디지털 미디어의 만남을 통한 문화콘텐츠 기획", 인문콘텐츠, 제23호, pp.115-137, 2011 

  26. 윤홍근, "학위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 연구 동향: 한국외대, 한양대, 인하대, 고려대, 동국대 등 5개 학교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7호, pp.149-180, 2011. 

  27. 정수연, "문화콘텐츠학의 도입타당성에 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58호, pp.487-515, 2011. 

  28. 이병민, "문화콘텐츠산업의 고용 특성에 대한 통계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 제20호, pp.121-154, 2011. 

  29. 이현주, 김한일, 박찬정, "대학에서 문화콘텐츠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426-437, 2008. 

  30. 이미나, 이화선, 최인수,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전공계열별 인식 비교", 교육과정연구, 제 30권, 제3호, pp.353-376, 2012. 

  31. http://contents.hanyang.ac.kr/ 

  32. http://songsim.catholic.ac.kr/-dct/ 

  33. http://www.inhacontents.co.kr/ 

  34. http://vculture.kangwon.ac.kr/ 

  35. http://culture.sunmoon.ac.kr/new/main.asp 

  36. 박종관, "대학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360-371, 2011. 

  3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콘텐츠 교육기관 현황조사, 2011. 

  38. 배상준, 서성은, 이병민, "문화콘텐츠 인력양성의 현황과 전망", 인문콘텐츠, 제27호, pp.61-85, 2012. 

  39. 정헌일, 콘텐츠산업 인력양성 전담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40. 김태현, 조하나, 최훈, "문화콘텐츠의 전문인력양성 현황 및 발전에 대한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2-2호,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