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미-채식 식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배변상태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Brown Rice and Vegetable Diet on the Defecation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1, 2013년, pp.179 - 189  

김혜영 (가톨릭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brown rice and vegetable dietary program on the defecation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62 students (28 in the int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현미와 채식의 식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현미와 채식이 대상자의 배변양상과 건강상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중재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변상태와 건강상태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 배변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공변수로 처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즉 본 연구는 성장발달 과정 중에서도 급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현미-채식 식단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현미와 채식의 식단이 대상자의 배변상태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현미추출물에는 항염증,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현미는 채식중심의 식단을 통해 건강증진 및 식생활 개선을 도모할 때 주로 함께 고려될 수 있다(Cho, Jung, & Choi, 2012). 현미 식사는 일반적으로 성인병 예방법으로만 인식되기 쉬운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 채식을 중심으로 한 식단에 주 열량원으로 식이섬유와 단백질 함유가 충분한 현미를 제공함으로써 건강관련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 현미-채식 식단 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후 배변상태가 양호해 질 것이다.
  • 제 2가설 : 현미-채식 식단 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후 건강상태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일과 채식에 대한 다양한 효과는? 채소와 과일은 철분을 포함한 다양한 무기질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 건강과 배변활동에 도움이 된다. 또한 항산화 효과로 인해 각종 성인병이나 만성 질환 예방과 증상 개선 및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Bettina, et al., 1999; Elaine, Karen, Kathleen, Melanie, & John, 2009; Jung, 2006; Kim, 1995; Kim, 2003; Kim, 2012; Song, 2011).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어떤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가?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영양의 불균형, 잦은 결식, 불규칙한 식사 및 입시에 대한 중압감과 사춘기의 심리적 불안정 상태에 의한 스트레스 등으로 적절한 식습관을 형성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또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무분별한 체중 감소 및 편식으로 인해 정상적인 배변습관을 가지지 못한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다(Johnson, Wardle, & Griffith, 2002; Kim, 2012).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이행되는 단계로써, 신체적, 정신적 성장이 활발해지고 2차 성징의 발현으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청소년 시기에는 건강유지는 물론 성장발육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되어야 하며, 이 시기의 영양 상태 및 성장 발육은 일생을 통한 건강의 기초가 되므로 매일 균형잡힌 식이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M. J., Kim, H. J., Hwang, S. S., & Kim, M. L. (2011). Effects of brown rices and vegetables for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M in the hospital meals(A-2).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Seoul. 

  2. Bae, Y. J. (2012).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s, 2007-2009.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 419-428. 

  3. Bettina, M. B., Rochelle, R., Leann, M., Carolyn, J., & Theresa, A. N. (1999)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related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4, 244-250. 

  4. Cho, E. K., Jung, K. I., & Choi, Y. J. (2012).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rown rice(Oryza sativa L.) extracts. Journal of Life Science, 22(1), 126-131. 

  5. Coughlin, C. M. (1998). Nutrition management of the vegetarian child with diabetes. Vegetarian Nutrition, 2(1), 18-20. 

  6. Eom, J. Y., & Jung, D. Y. (2012). A study of body composition, dietary behavior, and exercise among students at women's colle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28-37. 

  7. Elaine, M. D., Karen, W. C., Kathleen, B. W., Melanie, K., & John, R. (2009). A fresh fruit and vegetable program improves high school students' consumption of fresh produc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9(7), 1227-1231. 

  8. Gang, M. H. (2010).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ehavior and self-esteem of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1), 126-134. 

  9. Hwang, S. S. (2009). Brown rice and vegetable meal. Seoul: Pegasus. 

  10. Johnson, F., Wardle, J. & Griffith, J. (2002). The adolescent food habits checkli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easure of healthy eating behavior in adolescents, Europe of Clinical Nutrition, 56(7), 644-649. 

  11. Jung, H. K. (2006). A study on the fruit & vegetable eating taste and dietary fiber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2. Jung, S. J., Chae, S. W., Sohn, H. S., Kim, S. B., Rho, J. O., Baik, S. H., Kang, M. H., Kim, G. H., Kim, M. H., Kim, H. S., Park, E. J., Heo, Y. R., & Cha, Y. S. (2011).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44(5), 428-442. 

  13. Kim, H. S. (2006).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2), 151-162. 

  14. Kim, J. S. (1995). A comparative study on CHD risk factors among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M. H. (2003). The assessment of the vegetarian menus and the school food service qual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6. Kim, S. H. (2012).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perceived stress and improved bowel move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Kim, S. S., & Yun, M. E. (2013). Effects of a brown rice, vegetarian diet and outdoor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arameters in collegians. Journal of Korean Diet Association, 19(1), 59-68. 

  18. Kim, S. W. (2007). A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knowledge on nutrition according to the clinical symptom related to the health of some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Unpublished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9. Kim, Y. S. (1979). The Case for Industrial Workers by Medical Data Index (MDI)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Health Questionna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4(1), 7-19. 

  20. Lim, K. H. (2002). A study on shifting nurses' health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MacNair, R. M. (1998). The psychology of becoming a vegetarian. Vegetarian Nutrition, 2(3), 96-102.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The fifth-2nd year). Seoul: Author, 

  23. Na, H. J. & Kim, Y. N. (2000). A study on the defecation condition and dietary fiber intake of 3rd grad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33(6), 675-683. 

  24. Park, D. W. (2008).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 a population-based survey using Rome II and Rome III diagnostic criter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5. Richard, L., Sarah, M. L., Mary, L. M., Deborah, A. G., & Laura, K. K. (2008). Weight management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US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Health, 78(8), 417-424. 

  26. Song, S. J., & Kim, M. S. (2002). Case study on insomniac, Melancholiac, Schizophrenic patients taking well-balanced nutrition & vitamin B group. Journal of the Korean Jungshin Science Society, 6(1), 11-28. 

  27. Song, S. J. (2011). Nature healing diet: based on brown rice and vegetable. Seoul: Oblige. 

  28. Theresa, A. N., Carolyn, C. J., Leann, M., Rosanne, P. F., & Amy C. (1998). Outcomes of a high school program to increas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 Gimme 5 - A fresh nutrition concept for students. Journal of School Health, 68(6), 248-253. 

  29. WHO (1990).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Technical Report Series, No. 797, Geneva; Swiss. 

  30. You, J. S., Park, J. Y., & Chang, K. J. (2010). Correlation among dietary habits score, life stress sco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L) scor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43(6), 620-6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