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실패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Analysis of Relational Structure among Service Failure-related Variabl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3, 2013년, pp.46 - 60  

김성아 (대구한의대학교 패션뷰티학과) ,  유태순 (대구 가톨릭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 goal of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which allows businesses to hold a dominant position in beauty service industr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 among behavioral intentions by customer satisfaction once service recovery strategy is recovered depending on cu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경쟁 서비스 산업과의 우위에 서기 위한 마케팅 수립을 위하여 서비스 실패에 따른 고객들의 감정반응에 따라 서비스 회복전략이 회복 후 만족에 따른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결과를 토대로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객 만족을 위한 경영 및 마케팅 수립과정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기초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 실패와 회복 전략에 따른 선행연구 결과를 근거하여 서비스 실패에 따른 서비스 회복노력, 회복 후 만족, 만족 후 행동의도를 원인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는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 실패와 그에 따른 관련 변인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가를 경로와 상대적 영향력, 관계구조에 관한 정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연구로써 미용서비스 업체들이 서비스 실패한 고객에게 서비스 회복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가 서비스 실패와 무관한 일반적 미용 서비스 이용 고객이 아닌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대상자로 하여 서비스 실패와 회복, 회복 후 만족 과의 관계에서 단편적인 변인들만 살펴보는 것이 아닌 총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그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실패 경험자를 대상으로 미용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실패가 서비스 회복전략을 매개로 회복 후 만족 및 만족 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측정모델과 구조모델로 나누어 모델의 부합여부와 경로계수의 모수치 효과를 검증 하였다.
  •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에 따른 불만족한 고객이 만족으로 태도 전환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회복전략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 만족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 실패와 그에 따른 관련 변인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가를 경로와 상대적 영향력, 관계구조에 관한 정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연구로써 미용서비스 업체들이 서비스 실패한 고객에게 서비스 회복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경쟁 서비스 산업과의 우위에 서기 위한 마케팅 수립을 위하여 서비스 실패에 따른 고객들의 감정반응에 따라 서비스 회복전략이 회복 후 만족에 따른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결과를 토대로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객 만족을 위한 경영 및 마케팅 수립과정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기초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 실패와 회복 전략에 따른 선행연구 결과를 근거하여 서비스 실패에 따른 서비스 회복노력, 회복 후 만족, 만족 후 행동의도를 원인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으며, <그림 1>과 같이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에 따른 불만족한 고객이 만족으로 태도 전환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회복전략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 만족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 실패와 그에 따른 관련 변인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가를 경로와 상대적 영향력, 관계구조에 관한 정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연구로써 미용서비스 업체들이 서비스 실패한 고객에게 서비스 회복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가 서비스 실패와 무관한 일반적 미용 서비스 이용 고객이 아닌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대상자로 하여 서비스 실패와 회복, 회복 후 만족 과의 관계에서 단편적인 변인들만 살펴보는 것이 아닌 총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그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 실패는 무엇 때문에 발생하는가? Berry & Parasuraman4)은 서비스 실패는 서비스제공자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서비스 품질이 고객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서비스 가 가지고 있는 무형성, 비분리성, 이질성 등의 특성 으로 인해 서비스 실패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하였다.이러한 서비스 실패에 관련하여 Gronroos5)는 서비스실패를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소비하는 과정에서 그 제품이나 서비스가 기대된 성과나 유 용성을 제시하지 못한 것이라 정의하였으며, Weum6) 은 서비스 접점에서 고객 불만족을 야기하는 열악한서비스 경험을 말하는 것으로 서비스를 공급받는 동안 발생하는 여러 실수들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약속 위반 혹은 여러 형태의 서비스 오류 등을 포함 한다고 하였다.
기존의 서비스 마케팅 문헌에서는, 서비스 실패 유형을 어떻게 나누었나? 기존의 서비스 마케팅 문헌에서는 이러한 서비스실패의 유형과 달리 서비스 실패 유형을 크게 결과적실패(outcome failure)와 과정적 실패(process failure) 로 나누었다(Parasuraman et al.9), Bitner et al.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 서비스 실패의 발생을 완벽하게 피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 아무리 완벽한 고객 만족 제도나 프로그램을 갖고 있더라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실패의 발생을 완벽하게 피하기는 어렵다. 이는 서비스가 소비와 생산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비분리성의 특성과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인접 접점이 많은 노동 집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요인들(종업원들의 태도, 말씨, 고객의 태도, 감정 등)의 존재에 따라 현실적으로 언제나 무결점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객은 자기가 받는 서비스의 품질에 기대를 한 만큼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 할경우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는 고객 이탈을 초래할 뿐 아니라 부정의 구전으로 인해 잠재적인 고객까지 잃을 수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TARP (1980), Technical Assistant Research Program, Consumer Complaints Handling in America, A final Report, White House Office of Commerce Affairs. 

  2. Reichheld, F. F. & Sasser, W. E. (1990), Zero Defections: Quality Comes to Services, Harvard Business Review, 68(9), pp. 105-111. 

  3. 김성아 (2012),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실패, 회복전략, 회복 후 만족, 행동의도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Berry, L. L. & Parasuraman, A. (1991), Marketing Services: Competing Through Quality, New York: The Free Press. 

  5. Gronross, C. (1998), Service Quality :The Six Criteria of Good Perceived Service Quality, Review of Business, 9(4), pp. 10-13. 

  6. Weun, S. G. (1997), Service Failure and Service Recovery : Impacts on New Customer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uscaloosa Aalabama : University of Alabama. 

  7. Schlesinger, L. A. & Heskett, J. L. (1991), Breaking the Cycle of Failure in Services, Sloan Management Review, 32(1), pp. 17-28. 

  8. Kelly, S. W., Hoffman, D. & Davis, M. A. (1993), A Typology of Retail Failures and Recoveries, Journal of Retailing, 69(4), pp. 429-445. 

  9.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pp. 12-40. 

  10. Bitner, M. J., Bernard H. B. & Mary S. T. (1990), The Service Encounter: Diagnosing Favorable and Unfavorable Incidents, Journal of Marketing, 54, pp. 71-85. 

  11. Smith, A. K., Bolton, R. N. & Wagner, J. (1999), A Model of Consumer Satisfaction with Service Encounters Involving Failure and Recove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3), pp. 356-372. 

  12. 윤성욱, 황경미 (2004), 서비스복구 형태가 고객관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5(1), pp. 135-158 

  13. Keaveney, S. M. (1995), Customer Switching Behavior in Service Industri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rketing, 59(2), pp. 71-82. 

  14. Zemke, E. R. & Bell, R. C. (1990), Service Recovery: Doing It Right The Second Time, Training, 27(6), pp. 42-48. 

  15. Weun, S. G., Beatty, S. E. & Jones, M. A. (2004), The Impact of Service Failure Severity on Service Recovery Evaluations and Post-Recovery Relationships,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18(2), pp. 133-146. 

  16. Rosenberg, L. J. & Czepiel, J. A. (1984), A Marketing Approach for Customer Retention, Journal of Marketing, 1(2), pp. 45-51. 

  17. Goodwin, C. & Rose, I. (1989), Salient Dimensions of Perceived Fairness in Resolution of Service Complaints,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2, pp. 87-92. 

  18. Bell, C. R. & Zemke, R. E. (1994), Turning disappointment into customer delight, Editor & Publisher, 127(32), p. 48. 

  19. Blodgett, J. G., Wakefield, K. L., & Barness, J. H. (1995), The Effects of Customer Service on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9(4), pp. 31-42. 

  20. Miller, J. L., Christopher, C. W. & Karwan, K. R. (2000), Service Recovery: A Framework and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18(4), pp. 387-400. 

  21. Maxham III, J. G. & Netemeyer, R. G. (2002), Modeling Customer Perceptions of Complaint Handling Over Time: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on Satisfaction and Intent, Journal of Retailing, 78(1), pp. 239-252. 

  22. Chebat, J. C. & Slusarczyk, W. (2003), How Emotions Mediate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on Loyalty in Service Recovery Situatio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 pp. 1-10. 

  23. Boshoff, C. (1997), An Experimental Study of Service Recovery O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8(2), pp. 110-130. 

  24. Andreassen, T. W. (2000), Antecedents to Satisfaction with Service Recover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3(2), pp. 156-175. 

  25. McCollough., Berry, L. L. & Yadow, M. S. (2000),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after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3(2), pp. 121-137. 

  26. Hocutt, M. A., Bowers, M. R. & Donovan, D. T. (2006), The Art of Service Recovery: Factor Fiction?, The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20(3), pp. 199-207. 

  27. Magnini, V. P. et al. (2007), The Service Recovery Paradox: Justifiable Theory or Smoldering Myth?, The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21(3), pp. 213-225. 

  28. Ok, C., Shanklin, C. W. & Back, K. J. (2008), Generalizing Survey Results from Student Samples: Implications from Service Recovery Research, Journal of Quality Assurance Hospitality and Tourism, 8(4), pp. 1-23. 

  29. Michel, S. & Meuter, M. L. (2008), The Service Recovery Paradox: True but Overrated?,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19(4), pp. 441-457. 

  30. 조영대 (2007), 서비스학 개론, 서울: 세림. 

  31. Parasuraman, A., Berry, L. L. & Zeithaml,V.A. (1991), Understanding Customer Expectations of Service, Sloan Management Review, 32(3), pp. 39-48. 

  32. Hoffman, K.. D., Kelly, S. W. & Rotalsky, H. M. (1995), Tracking Service Failure and Employee Recovery Effect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9(2), pp. 49-61. 

  33. Johnston, R. (1995),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Impact, Attitudes and Process, Advance in Service Marketing and Management: Research and Practice, JAI Press, pp. 211-228. 

  34. Wong, A., & Sohal, A. (2002),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commitment, and relationship 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30(1), pp. 34-50. 

  35. 김은주 (2002), 항공사 서비스 회복을 통한 고객 관계 유지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장태선 (2003), 항공사 서비스 실패와 회복이 고객만 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강미라 (2008), 서비스 회복 기대와 수행이 회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8. 조영신 (2007), 공정성 지각을 통한 항공사 서비스 실패의 회복 후 만족과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김도윤 (2010), 웨딩 서비스 회복 공정성 지각이 고객 만족, 신뢰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웨딩서비스 실패부문별 비교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Kelly, S. W., Hoffman, D. & Davis, M. A. (1995), A Typology of Retail Failures and Recoveries, Journal of Retailing, 69(4), pp. 429-445. 

  41. Wong, N. Y. (2004), The Role of Culture in the Perception of Service Recover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9), pp. 957-963. 

  42. Raycov (2004), Behavioral scale reliabil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evaluation using latent variable modeling, Behavior therapy, 35(2), pp. 299-331 

  43. 이문규, 김일민 (2001), 서비스 유형과 품질실패 차원에 따른 효과적인 복구전략, 소비자학 연구, 12(3), pp. 131-146. 

  44. Oliver, R. L. & Swan, J. E. (1989), Customer Perception of Inter personal Equity and Satisfactionin Transaction :A Field Survey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53(2), pp. 21-35. 

  45. Goodwin, C. & Rose, I. (1992), Consumer Responses to Service Failures : Influence of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Fairness Percep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5(2), pp. 149-163. 

  46. Bitner, M. J. & Hubbert, A. R. (1994), Encounter Satisfaction Versus Overall Satisfaction Versus Quality, The Customer's Voice, in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in Theory and Practice. 

  47. 정현영 (2000), 서비스 회복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유은나 (2002), 호텔 서비스 실패에 대한 회복 공정성과 그 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Lattin, J. M. & McAlister, L. (1985), Using a Variety- seeking Model to Identify Substitute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Competing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3), pp. 30-339. 

  50. Bansal, H. S. & Taylor, S. (199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Switching Intentions, Developments in Marketing Science, 20, pp. 304-313. 

  51. Bitner, M. J.(1990), Evaluating Service Encounter: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54(2), pp. 69-82. 

  52. Cronin, J. J. & Taylor, S. A.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pp. 125-131. 

  53. Fornell, C. (1992), 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The Swedish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6(1), pp. 6-21. 

  54. 김동수 (2007), 외식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권동극 (2011), 커피전문점 서비스 품질 만족이 재이용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1(5), pp. 449-462. 

  56. Lundeen, H. K., Laurence, C. H. & Kathleen, M. H. (1995), Service Recovery in Commercial Real Estate Management, Journal of Property Management, 60(3), pp. 30-32. 

  57. Zeithaml, V. A., Berry, L. L. & Parasuraman, A. (1993),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Customer Expectations of Servic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1(1), pp. 1-12. 

  58. Naylor, G. & Kleiser, S. B. (2000), Does What You See Affect What You Get?: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Advertising, AMA Winter Educators' Conference, 11, pp. 352-353. 

  59. 정현영, 이상미 (2010), 서비스 실패의 회복 과정에서 인지되는 공정성이 감정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3(5), pp. 277-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