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Hwabyung Research Center of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attempted to produce clinical guidelines for doctors of Kore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Hwabyung. Methods : A standard guideline development process was followed. Relevant literature was identified by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 기본개념에 근거하여 표준화된 화병면담검사와 화병척도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화병의 회복은 화병진단기준 상 화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진단기준과 척도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은 정서적 증상, 신체적 증상의 관해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병의 회복과 관련된 요소를 알아보고자 스트레스 사건, 스트레스의 원인, 결혼만족도, STAXI, STAI, CES-D 등의 설문검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병이란 무엇인가? 화병은 스트레스에서 발생하는 분노와 억울함과 같은 감정이 누적되다 화의 양상으로 폭발하는 증상을 가지는 질환으로 ‘울화병’으로도 지칭된다1). DSM-IV에서는 화병을 한국 고유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겨난 문화관련 증후군의 하나로 ‘분노증후군(anger syndrome)’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화병의 발생과 진행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정서적 스트레스는 화병의 발생과 진행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기존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다. 화병의 원인으로 분노의 억제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3), 화병과 수반하는 정서경험으로 분노가 가장 대표적이고 우울, 불안 등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12).
화병의 신체적 증상은 무엇인가? 신체적 증상으로는 ‘몸의 열기’, ‘답답함’, ‘치밀어 오름’, ‘덩어리 뭉침’ 등이 나타나며 화와 울의 속성을 보이는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3). 기존의 화병 연구들은 정신병리적 측면과 신체병리적 측면으로 진행되었으며 화병이 정서적 스트레스와 신체증상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JW, Hyun KC, Whang WW. A Study on the Origin of Hwabyung (Fire Syndrom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9;10(1):205-15.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1997. 

  3. Min SK. A study of the Concept of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4):604-16. 

  4. Min SK, Namkoong K, Lee HY. An Epidemiological Study on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4):867-74. 

  5. Lee JG, Lee JH. Study on the Prevalence of Hwabyung Diagnosesd by HBDIS in General Population in Kang-won Provinc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8;19(2):133-9. 

  6. Min SK, Kim JH. A Study on Hwabyung in Bokil Islan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 28(3):459-66. 

  7. Kim JW, Lee JH, Lee SG, et al. A Clinical Study on Hwabyung with Hwabyung Model of Oriental Medicin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996;4(2):23-32. 

  8. Lee SH, Cho SY, Lee SH. Hwabyung Formation as Ulhwabyung. J Koryo General Hospital. 1989; 12:151-6. 

  9. Jeong HR, Koh SB, Park JK, et al. Corelationship Study between Hwabyung and Other Disease for Wome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 20(2):61-9. 

  10. Min SK, Park CS, Han JO. Defense Mechanisms and Coping Strategies in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4):506-16. 

  11. Chon KK, Park HK, Kim JW. Life Stress and Coping Styles of Hwabyung Patients and Housewives at Large. Korean J of Health Psychology. 1997;2(1):168-85. 

  12. Lee SH. A Study of Hwabyung. J Koryo General Hospital. 1977;1(2):63-9. 

  13. Min SK, Suh SY, Song KJ, et al. Development of Hwa-Byung Scale and Research Criteria of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9;48:77-85. 

  14. Kim JW, Kwon JH, Lee MS, et al. Development of 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HBDIS) and Its Validity Test. The Korean J of Health Psychology. 2004;9(2):321-31. 

  15. Park JH, Min SK, Lee MH. A Study on the Diagnosis of Hwabyung. J Korean Neuuropsychiatr Assoc. 1997;36(3):496-502. 

  16. Jeong HR, Koh SB, Park JK, et al. Corelationship Study between Hwabyung and Type A Behavior Pattern, Cardiovascular Diseas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2):27-37. 

  17. Jeong HR, Koh SB, Park JK, et al. Corelationship Study between Hwa-Byung and Coronary Heart Disease, by using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3): 13-22. 

  18. Park YJ, Shin NM, Choi JW, et al. Cardiovascular Health and Depressive Symptoms and Well-being Status in Community-based Korean Women according to Hwa-byung Symptoms. Korean J Adult Nurs. 2011;23(1):60-71. 

  19. Jeong HR, Koh SB, Park JK, et al. A Study o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wabyung and Various Factors Including Sasang Constitution: For the Inhabitants of Gangwon-do in 2006.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1):159-72. 

  20. Munhwa ilbo. Men Hwabyung Increased. 2013. 11.26. 

  21. Kim JW, Chung SY, Suh HU,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Patients Based on Hwabyung Epidemiologic Data.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57-69. 

  22. Min SK, Soh EH, Pyohn YW. The Concept of Hwabyung of Korean Psychiatrists and Herb Physician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 28(1):146-54. 

  23. Lee HY, Kim JW, Park JH, et al. A Study for Diagnosis and Pattern Identification of Hwabyu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 16(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