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bout Sedimentary Rocks before and after the Field Trip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2, 2013년, pp.173 - 186  

박경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생들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퇴적암에 대한 정의, 분류, 생성과정 및 특징을 묻는 개방형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이 텍스트 자료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크게 확장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개념 구조를 구성하는 하위 클러스터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작은 세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개념 구조의 규모는 수개월이 지난 후 감소하였지만, 하위 클러스터의 연결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s about sedimentary rocks through the field trip.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assess the change.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sess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sed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야외지질학습에 따라 퇴적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검사지 및 탐구활동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하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를 네트워크 지도로 시각화하여 개념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퇴적암의 정의, 분류, 생성과정 및 특징’을 서술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의 검사지와 탐구 활동보고서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설문을 통해 수집된 검사지와 탐구활동보고서의 응답 내용은 모두 텍스트 파일로 변환한 후 문장 단위로 구분된 파일을 생성하였다.
  • 이렇게 개발된 검사지는 지구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 박사과정 2인의 토의를 통해 1차 검토를 거친 후 예비 연구를 수행하여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렇게 수정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퇴적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야외지질학습 일주일 전 별도의 시간을 편성하여 설문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또한 탐구활동보고서는 야외지질학습 동안 관찰 내용 및 노두의 특징을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사후 설문은 사전 설문과 동일한 검사지를 활용하여 야외 지질학습 후 수개월이 지난 시점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을 학습하기에 적합한 채석강에서 학생들이 직접 관찰하고 탐구하는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작성한 검사지 및 탐구활동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하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해 야외지질학습 전과 후의 개념 구조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을 학습하기에 적합한 채석강에서 학생들이 직접 관찰하고 탐구하는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작성한 검사지 및 탐구활동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하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해 야외지질학습 전과 후의 개념 구조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질적 연구의 또 다른 정보 제공자인 탐구활동보고서는 야외 지질학습 동안 학생들이 획득한 정보를 문자 형태로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상대적으로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작성한 검사지 및 탐구활동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하여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탐구활동보고서 내의 특정 단어가 함께 출현하는 단어가 무엇인지를 바탕으로 단어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네트워크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외지질학습의 효과는 어떠한가? 야외지질학습은 학생들이 실제 야외에서 직접 관찰하고 경험해 보는 활동을 통해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의 세부적인 예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Manner, 1995),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태도를 길러 정의적 영역 함양에도 매우 효과적이다(Cho et al., 2002).
야외지질학습을 지도하는 교사는 통합적인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넷째, 야외지질학습 동안 형성된 학생들의 개념 구조는 다양한 퇴적암을 관찰하는 활동을 통해 획득된것으로 교사가 야외지질학습을 어디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연구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야외지질학습을 지도하는 교사는 여러 노두에서 퇴적암의 다양한 특징을 관찰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통합적인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야외지질학습의 질적 연구의 장점은? 야외지질학습의 질적 연구는 참여관찰을 통해 관찰한 학생들의 참여 내용과 심층 면담 내용 및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및 탐구활동보고서를 정보 제공자로 활용하여 학습 상황에 대한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심층적인 자료 해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질적 연구가 주어진 상황에 대해 조작 없이 있는 그대로를 탐구하고자 하는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연구자를 도구로 삼고 있기 때문에 학습 상황에 대한 맥락을 분석할 때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있으며, 연구 결과에 대한 통계적인 검증도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Na,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tkinson, R.C. and Shiffrin, R.M., 1968, Human Memory: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2, 89-195. 

  2.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1170-1182. 

  3. Chan, K.Y. and Vitevitch, M.S., 2010, Network structure influences speech production. Cognitive Science, 34, 685-697. 

  4. Cho, K.S., Byeon, H.Y., and Kim, C.B., 2002,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the effect of field study on the affective domain in science and on achievement of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649-658. (in Korean) 

  5. Choi, Y.C. and Park, S.J., 2011, Analyzing trends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Application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123-139. (in Korean) 

  6. Collins, A.M. and Loftus, E.F., 1975,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Psychological Review, 82, 407-428. 

  7. diSessa, A.A., 2008, A bird's-eye view of the 'pieces' vs. 'coherence' controversy (from the 'pieces' side of the fence). In S. Vosniadou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Routledge, New York, USA, 35-60. 

  8. Doerfel, M.L. and Barnett, G.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 

  9. Han, K.J., 2003, The meaning and research agenda in network analysis as social science methodology: based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10, 219-235. (in Korean) 

  10. Jang, H. and Barnett, G.A., 1994, Cultural differenc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Bulletinde Metholodogies Sociologique, 44, 31-59. 

  11. Jung, S.H., 2012, Tradition content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comparative research in issue framing analy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5 p. (in Korean) 

  12. Kim, D.J., 1998, A study on the method to improve the scientific intere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6 p. (in Korean) 

  13. Kim, Y.H., 2007, Social Network Theory. Parkyoungsa, Seoul, Korea, 289 p. (in Korean) 

  14. Kim, Y.S., 2003, The properties of conceptual change by the conviction types and of the responses by the intervention types in understanding special relativity based on conceptual structure change model.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33 p. (in Korean) 

  15. Kook, D.S. and Lee, Y.K., 2004,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learning material including SF movi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748-753. (in Korean) 

  16. Latora, V. and Marchiori, M., 2001, Efficient behavior of small-world networks. Physical Review Letters, 78, 1-4. 

  17. Lee, C.Z. and Cheong, S.W., 2005, Development of learning place for geologic field survey around the Duta Mountain, Chung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41-57. (in Korean) 

  18. Lee, H.J., Lee, D.I., and Lee, J.H., 2010, Development of franchise education program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 Business Education Review, 14, 105-128. (in Korean) 

  19. Lee, J.K. and Ha, M.S., 2012,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act, hypothesis, theory, law and scientificne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 823-840. (in Korean) 

  20. Libarkin, J.C., 2002,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The qualitative- quantitative debat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 78-86. 

  21. Maeng, S.H., 2004, A qualitative analysis on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ing model on Tando Coast and Hanyom area at Shiwha lak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12 p. (in Korean) 

  22. Maeng, S.H. and Wee, S.M., 2005, A qualitative analysis on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ing model on Tando coast and Hanyom area at Shiwha lake in Kyounggido.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9-29. (in Korean) 

  23.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 p. (in Korean) 

  25. Na, J.H.,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f validity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9, 265-283. (in Korean) 

  26. Ohk, K.Y. and Han, S.M., 2009, The property of subnetwork in earlier stage of information diffus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0, 37-64. (in Korean) 

  27. Park, J.H., 2001,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identification processes of the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a geologic field cours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67 p. (in Korean) 

  28. Park, H.W. and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1377-1387. (in Korean) 

  29. Park, J.M, Ryang, W.H., and Cho, K.S.,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47-761. (in Korean) 

  30. Park, J.M., Ryang, W.H., Cho, K.S., and Kim, S.B.,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Bongwhabong,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83-896. (in Korean) 

  31. Ryu, C.R., 2009, Analysis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science-talented students: A case of winter school in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2007.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1-95. (in Korean) 

  32. Seo, D.W., 2004, An analysis of observations and hypothe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dimentary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field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586-594. (in Korean) 

  33. Son, D.W., 2008, Social network analysis. Kyeongmunsa, Seoul, Korea, 253 p. (in Korean) 

  34. Wassetman, S. and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825 p. 

  35. Yun, S.H., Jang, J.I., and Koh, J.S., 2005, A study of the learning effects by the self-directed field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611-62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