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툴리눔 독소는 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독소를 의료용으로 희석, 정제한 약제로서 이 독소가 시냅스 전 신경말단에 부착되어 신경근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수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은 구강안면 분야에서 저작근의 근경축, 근경련, 운동이상증, 측두하악관절질환, 근막통증, 이갈이, 특발성 교근비대증 또는 만성편두통을 비롯한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서 가역적, 보존적 치료법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교근이나 측두근 같은 저작근 부위에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경우 약제자체의 약리학적 작용에 의해 일시적인 근마비 및 근위축에 따라 저작기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툴리눔 독소 주사치료의 효과나 활용에 대한 연구만이 주를 이루었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저작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저작기능과 관련한 연구 또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정적인 상태의 저작력 감소에 대한 연구로, 실제로 동적인 저작 환경을 반영하는 저작 효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 40명의 건강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요법을 교근 부위에만 시술 받은 사람 과 교근과 측두근 부위 모두에 시술 받은 사람 각각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주사를 시행하고, 주사 전과 주사 후 4주, 8주, 12주째의 저작 효율의 변화를 주관적 평가방법인 식품섭취능 (Food Intake Ability, 이하 FIA)과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Visual Analogue Scale, 이하 VAS), 객관적 평가 방법인 Mixing Ability Test를 시행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후 4주 째에 저작효율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후 서서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부위를 달리하여 본 결과 교근과 측두근에 모두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 교근에만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인 값 모두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인 값에 있어서 4주 째 유의하였으나 이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값은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정한 주사 용량에 대해서는 측두근까지 주사가 이루어지더라도 교근만 주사를 시행한 사람과 비교하여 저작효율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성상에 따라 저작 효율을 살펴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가 단단하고 질긴 음식 섭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무르고 약한 음식의 섭취 시에도 유의할만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masticatory efficiency after botulinum toxin type A (BTX-A) injection during 12 weeks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 Also,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masticatory efficiency between group that injected into the masseter muscle only (M-group) and group tha...

주제어

참고문헌 (43)

  1. Clark GT. The management of oromandibular motor disorders and facial spasms with injections of botulinum toxin. Phys Med Rehabil Clin N Am 2003;14: 727-748. 

  2.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1993, Mosby 

  3. van der Bilt A, Engelen L, Pereira LJ, van der Glas HW, Abbink JH. Oral physiology and mastication. Physiol Behav 2006;89:22-27. 

  4. Fueki K, Kimoto K, Ogawa T, Garrett NR. Effect of implant-supported or retained dentures on masticatory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J Prosthet Dent 2007;98:470-477. 

  5. Zarrinkelk HM, Throckmorton GS, Ellis E 3rd, Sinn DP. A longitudinal study of changes in masticatory performance of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J Oral Maxillofac Surg 1995;53:777-782; discussion 782-783. 

  6. Okiyama S, Ikebe K, Nokubi T. Association betwee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maximal occlusal force in young men. J Oral Rehabil 2003;30:278-282. 

  7. Tsuga K, Carlsson GE, Osterberg T, Karlsson S. Self-assessed masticatory ability in relation to maximal bite force and dental state in 80-year-old subjects. J Oral Rehabil 1998;25:117-124. 

  8. Lepley CR, Throckmorton GS, Ceen RF, Buschang PH. Relative contributions of occlusion, maximum bite force, and chewing cycle kinematics to masticatory performanc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1;139:606-613. 

  9. Gonzalez Y, Iwasaki LR, McCall WD Jr, Ohrbach R, Lozier E, Nickel JC.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vs. bite-force from human masticatory muscles. Eur J Oral Sci 2011;119:219-224. 

  10. Manly RS, Braley LC: Masticatory performance and efficiency. J Dent Res 29: 448-462, 1950. 

  11. Edlund J, Lamm CJ. Masticatory efficiency. J Oral Rehabil 1980;7:123-130. 

  12. Sato H, Fueki K, Sueda S, Sato S, Shiozaki T, Kato M et al. A new and simple method for evaluating masticatory function using newly developed artificial test food.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3;30:68-73. 

  13. Owens S, Buschang PH, Throckmorton GS, Palmer L, English J. Masticatory performance and areas of occlusal contact and near contact in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and malocclu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1:602-609. 

  14. Magalhaes IB, Pereira LJ, Marques LS, Gameiro GH. The influence of malocclusion on masticatory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Angle Orthod 2010;80:981-987. 

  15. Kim BI, Jeong SH, Chung KH, Cho YK, Kwon HK, Choi CH. Subjective food intake ability in relation to maximal bite force among Korean adults. J Oral Rehabil 2009;36:168-175. 

  16. Jeong SH, Kang SM, Ryu JH, Kwon HK, Kim BI. Subjective food intake ability in relation to the Mixing Ability Index in Korean adults. J Oral Rehabil 2010;37:242-247. 

  17. Clark GT, Stiles A, Lockerman LZ, Gross SG. A critical review of the use of botulinum toxin in orofacial pain disorders. Dent Clin North Am 2007;51: 245-261. 

  18. Melling J, Hambleton P, Shone CC. Clostridium botulinum toxins: nature and preparation for clinical use. 1988;Eye 2 (Pt 1):16-23. 

  19. Moore AP, Wood GD. The medical management of masseteric hypertrophy with botulinum toxin type A.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4;32:26-28. 

  20. Isaac AM. Unilateral temporalis muscle hypertrophy managed with botulinum toxin type A.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0;38:571-572. 

  21. Ahn KY, Kim ST. The change of maximum bite force after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for treating masseteric hypertrophy. Plast Reconstr Surg 2007; 120:1662-1666. 

  22. Imaoka S, Ozawa T, Saitoh M, Tanaka S, Hibino K, Hirukawa T, et al. Study of a particle counting method for index of masticatory efficiency. Nihon Hotetsu Shika Gakkai Zasshi 1989;33:791-803. 

  23. Olthoff LW, van der Bilt A, Bosman F, Kleizen HH.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s in food comminuted by human mastication. Arch Oral Biol 1984;29:899-903. 

  24. Goiato MC, Garcia AR, Dos Santos DM, Zuim PRJ. Analysis of masticatory cycle efficiency in complete denture wearers. J Prosthodont 2010;19:10-13. 

  25. Matsui Y, Ohno K, Michi K, Hata H, Yamagata K, Ohtsuka S. The evaluation of masticatory function with low adhesive colour-developing chewing gum. J Oral Rehabil 1996;23:251-256. 

  26. Ishikawa Y, Watanabe I, Hayakawa I, Minakuchi S, Uchida T. Evaluations of masticatory performance of complete denture wearers using color-changeable chewing gum and other evaluating methods. J Med Dent Sci 2007;54:65-70. 

  27. Heath MR. The effect of maximum biting force and bone loss upon masticatory function and dietary selection of the elderly. Int Dent J 1982;32:345-356. 

  28. Gunne HS. Masticatory efficiency. A new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he breakdown of masticated test material. Acta Odontol Scand 1983;41:271-276. 

  29. Prinz JF.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olus size and number of chewing strokes on the intra-oral mixing of a two-colour chewing gum. J Oral Rehabil 1999;26:243-247. 

  30. Sugiura T, Fueki K, Igarashi Y. Comparisons between a mixing ability test and masticatory performance tests using a brittle or an elastic test food. J Oral Rehabil 2009;36:159-167. 

  31. Otomaru T, Sumita YI, Chang Q, Fueki K, Igarashi Y, Taniguchi H. Investigation of predictors affecting food mixing ability in mandibulectomy and/or glossectomy patients. J Prosthodont Res 2009;53:111-115. 

  32. Tumrasvin W, Fueki K, Ohyama T. Factors associated with masticatory performance in un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patients. J Prosthodont 2006;15:25-31. 

  33. Sugihara et al. Multivariate analysis of food acceptance with regard to missing teeth in the elderly. Shikwa Gakuho 1989;89:1275-1280. 

  34. Duchen LW.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changes induced by botulinum toxin in the motor end-plates of slow and fast skeletal muscle fibres of the mouse. J Neurol Sci 1971;14: 47-60. 

  35. Ahn HJ, Lee YS, Jeong SH, Kang SM, Byun YS, Kim BI. Objective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masticatory function for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Korea. J Oral Rehabil 2011;38: 475-481. 

  36. Adhikari H, Kapoor A, Prakash U, Srivastava A. Electromyographic pattern of masticatory muscles in altered dentition Part II. J Conserv Dent 2011;14: 120-127. 

  37. Agrawal KR, Lucas PW, Bruce IC, Prinz JF. Food properties that influence neuromuscular activity during human mastication. J Dent Res 1998;77: 1931-1938. 

  38. Mioche L, Bourdiol P, Martin JF, Noel Y. Variations in human masseter and temporalis muscle activity related to food texture during free and side-imposed mastication. Arch Oral Biol 1999;44:1005-1012. 

  39. Beyron H. Occlusal relations and mastication in Australian aborigines. Acta Odontol Scand 1964;22: 597-678. 

  40. Lucas PW, Ow RK, Ritchie GM, Chew CL, Keng SB. Relationship between jaw movement and food breakdown in human mastication. J Dent Res 1986;65:400-404. 

  41. Horio T, Kawamura Y. Effects of texture of food on chewing patterns in the human subject. J Oral Rehabil 1989;16:177-183. 

  42. Salleh NM, Fueki K, Garrett NR, Ohyama T. Objective and subjective hardness of a test item used for evaluating food mixing ability. J Oral Rehabil 2007;34:174-183. 

  43. Takata Y, Ansai T, Awano S, Fukuhara M, Sonoki K, Wakisaka M et al. Chew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an 80-year-old population. J Oral Rehabil 2006; 33:330-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