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식수준이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 연구-
Effect of Awareness on the Change of Polluting Emission -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2 no.3, 2013년, pp.437 - 457  

강희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이 제시하는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하다가 일정 소득 이상이 되면 감소하는 현상에 대해, 그 원인을 미시적인 변수인 인식수준과 연관 지어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식수준은 오염물질의 영향이 지역적(이산화황)이냐 아니면 지구적(이산화탄소)이냐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배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면, 오염물질 영향과 인식수준 간에 발생하는 상이한 반응 작용을 간과한 경우,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전환점이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오염물질의 영향이 지역적이냐 지구적이냐에 따라, 인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발생하여, 지역적 오염물질이 글로벌 오염물질에 비해 더 낮은 소득 수준에서 배출량이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지역적 오염물질에 비해 글로벌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의 저감을 위해서는, 교육과 홍보 등 정부의 적극적 노력이 요구되며, 규제 및 저탄소 기술 개발과 동일한 수준의 국민 의식제고를 위한 노력과 자원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that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the emissions level of environmental pollutants starting to decrease as a certain income level is reached, associating mi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a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인식수준이 환경쿠즈네츠 가설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수인가?, 둘째, 오염물질의 영향이 지역적인지 혹은 지구적인지에 따라 인식수준이 오염물질 배출량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가? (예를 들어, 지역 오염물질의 경우 글로벌 환경오염 물질에 비해서, 더 낮은 소득수준에 배출량의 증가가 감소로 전환될 수 있는가?)
  • (2002)의 경우가 미시적 요소가 역 U자형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한 정도다. 이 논문에서는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정부의 환경 개선 노력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이유를 3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우선적으로 사회에서 건강과 교육에 대한 기본 정부투자가 증가하고 이후에는 환경질 개선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미시적 자료인 인식수준을 기존의 환경쿠즈네츠 모형에 포함시켜 인식수준이 오염배출량과 소득수준 간에 역U자형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중요한 설명변수인지를 검증하고, 둘째, 인식수준을 환경 쿠즈네츠모형에 포함시키되 지역적 오염물질과 지구적 오염물질의 구분하여 인식수준이 각각의 오염물질 배출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고, 셋째, 각각의 오염물질이 감소로 전환되는 소득수준이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추정하여, 만일 차이가 존재할 경우 인식수준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번에는 오염물질 중 글로벌한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CO2)의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분석결과는 <표 4>과 같다.
  •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거시적 데이터를 이용한 환경쿠즈네츠곡선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시적인 데이터인 인식수준을 설명변수로 이용하여 환경쿠즈네츠곡선 분석을 하고자 한다. 만일 인식수준이 환경쿠즈네츠곡선 가설에 중요한 변수인 동시에, 국민의 인식수준이 단순히 소득의 증가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면, 정책입안과 시행에 있어, 인식수준의 제고를 위해 소득 증가 이외의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빨리 환경오염 증가추세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지역적 오염물질인 이산화황 배출량이 감소로 전환되는 소득수준과 온실가스와 같이 지구적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감소로 전환되는 소득수준 간에는 분명 차이가 존재 하며, 이는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에 차이에서 발생한다.
  • 인식수준이라는 것을 경제학에 포함시키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인식수준의 변화로 나타난 개인의 행동의 변화를 인식수준을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삼는다. 이 논문에서도, 인식수준이라는 것은 환경질의 악화로 인한 비효용을 줄이기 위해, 개인의 금전적 기여를 포함한 환경질개선을 위한 행동을 취하는 것(환경친화적 정당에 투표하는 행위 등)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즉 개인의 효용함수는 소비재와 공공재인 환경질(환경서비스)로부터 효용을 얻을 뿐만 아니라, 환경질 높이기 위한 개인적인 기여에서도 효용을 얻는다.
  • 즉 αi는 특정한 확률분포를 따르지 않으며, 국가별로 고정된 모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의 내용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에 따르면, 환경적 피해(환경오염물질)는 초기에는 증가하지만, 전환점(turning point)을 지난 후에는 일인당 소득수준과 함께 감소한다. 이러한 역 U자형의 관계는 다음의 몇 가지 방법으로 설명 가능할 수 있다.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의 역 U자형의 관계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역 U자형의 관계는 다음의 몇 가지 방법으로 설명 가능할 수 있다. 첫째, 소득수준이 증가하면서 환경오염 저감기술(환경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오염저감 기술이 확대되면서 환경적 피해가 감소할 수 있다(Andreoni and Levinson, 1998). 둘째, 소득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구조가 변화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제조업 비중이 낮아지고 환경피해가 적은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반적 환경피해가 감소할 수 있다(Torras and Boyce, 1998). 셋째, 소득수준이 증가하면서 국민들의 높은 삶의 질을 추구 성향이 나타나고 이 과정에서 환경질 개선을 위한 정책요구가 강해지면서, 보다 강도 높은 환경질 개선정책이 시행되어 환경적 피해가 감소할 수 있다(Galeotti and Lanza, 1999; Bruyn, 1997; Hettige et al, 2000). 넷째,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국민들이 직접 인지할 정도가 되면 생존권 확보와 삶의 질 개선차원에서 환경질 개선의 요구가 증대되고 이로 인해 환경질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도입에 대한 국민의 압력이 증가하여 환경질 개선 정책이 채택·시행될 가능성이 높다(Duroy, 2005).
인식수준을 나타내는 미시 변수는 어디서 계산되었는가? 인식수준을 나타내는 미시 변수는 World Value Survey로부터 계산되었다. World Value Survey 중 인식수준의 대리변수로 선택된 문항은 환경인식에 관한 두 번째 질문(B002)으로, “환경오염 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환경세를 증가시키는데 동의하느냐2)”의 질문에 대해, “강한 부정”, “부정”, “긍정”, “강한 긍정”으로 답변하도록 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정인, 김진욱, 박창원, "주요 OECD 국가의 환경쿠즈네츠곡선 검증", 환경경제연구 제8권 제1호, 1999. 8. 

  2. Andrenoi, J, "Impure Altruism and Donation to Public Goods: a Theory of Warm-Glow Giving," Economic Journal, 100(402), 1990, pp. 464-477 

  3. Andreoni, J. and A. Levinson, The Simple Analytics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NBER Working Paper, No. 6739, 1998. 

  4. Becker, G. S., "A theory of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 1974, pp. 1063-1093. 

  5. Brechin, S. R. and K. Willett, "Global Environmentalism: A Challenge to the postmaterialism Thesis," Social Science Quarterly 75:2, 1994, pp. 245-269. 

  6. Chimeli, A. B. and J. B. Branden,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49, 2000, pp. 366-380. 

  7. Cole, M. A., "Trade, the pollution haven hypothesis and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xamining the linkages," Ecological Economics, Vol. 48, 2004, pp. 71-81. 

  8. Dasgupta, S., B. Laplante, H. Wang, and D. Wheeler, "Confront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16, No. 1. 2002, pp. 147-168. 

  9. Dasgupta, S., K. Hamilton, K. Pandey, and D. Wheeler, Air Pollution During Growth: Accounting for Governance and Vulnerability,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3383, 2004. 8. 

  10. de Bruyn, S. M., J.C.J.M. van den Bergh, and J. B. Opschoor, "Economic growth and emissions: reconsidering the empirical basis of environmental Kuzents curves," Ecological Economics Vol. 25, 1998, pp. 161-175. 

  11. Dunlap, Rachel E. and Angela G. Mertig, "Global Concern for the Environment: Is Affluence a Prerequisite?," Journal of Social Issues, 51(4), 1995, pp. 121-137. 

  12. Duroy, Quentin M., "The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Behavior," Rensselar Working Papers in Economics, 2005. #0501. 

  13. Galeotti, M. and A. Lanza, Desperately Seeking (Environmental) Kuznets, Mimeo, IEA, 1999. 

  14. Grossman, Gene M. and Alan B. Kruger, "Environmental Impacts of a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Woodrow Wilson School, Princeton University, Discussion Paper, 1991, No. 158. 

  15. Heerink, N., A. Mulatu, and E. Bulte, "Income inequality and the environment: aggregation bias in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Ecological Economics, Vol. 38. 2001, pp. 359-367. 

  16. Hettige, H., M. Mani, and D. Wheeler, "Industrial Pollution in Economic Development: Kuznets Revisited,"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57, 1995, pp. 85-101. 

  17. Lopez, R. and S. Mitra, "Corruption, Pollution, and the Kuznets Environment Curv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40, 2000, pp. 137-150. 

  18. Martinez-Alier and Juan, "The Environment as a Luxury Good or Too Poor to be Green?," Economie Appliquee, 48(2), 1995, pp. 215-230. 

  19. Myers, R. H.,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 PWS-Kent Publishing Company, 1990. 

  20. Panayotou, T., "Demystify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Turning a Black Box into a Policy Tool,"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 Economics, 2(4), 1997, pp. 465-484. 

  21. Panayotou, T.,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Concept of Transferable Development Right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4, 1994, pp. 91-110. 

  22. Schmacher, I., "The Dynamics of Environmentalism and the Environment," Ecological Economics, 68(11), 2009, pp. 2842-2849. 

  23. Selden, M. Thomas, and S. Daquig, "Environmental Quality and Development: Is There a Kuznets Curve for Air Pollution Emiss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27, 1994, pp. 147-162. 

  24. Torras, M. and J. K. Boyce, "Income, Inequality and Pollution: A Re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cological Economics, Vol. 25, 1998, pp.147-16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