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응이동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국내연구의 메타분석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a-analysis of studies in Korea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7 no.2, 2020년, pp.36 - 47  

임재헌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세주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on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Design: Meta-analysi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rticles which the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For syste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CLT에 대한 표준화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CLT를 시행하여 뇌졸중 환자의 균형 향상에 관하여 연구한 개별 연구의 결과에서 각각의 효과 크기를 추출하여 CLT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된 CLT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CLT의 특성과 효과의 객관적인 근거를 중심으로 학문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CLT에 대한 연구 중 최종적으로 6편의 효과 크기를 가지고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PICOSD에서 연구 대상자(Participants; P)는 뇌졸중 환자이고 중재 방법(Intervention; I)은 CLT 중재이며, 비교집단(Comparison; C)은 본 중재와 다른 중재 방법이며, 연구 결과(Outcomes; O)는 균형과 관련된 변수이며, 연구 설계 유형(Study Designs; SD)은 사전-사후 설계, 무작위 설계 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LT를 실시하여 중재 전후 측정과 중재 효과를 구체적인 통계적 수치로 제시한 논문을 선정하였다. 또한 효과 크기로 바꿀 수 있는 표본 수, 평균, 표준편차 등이 통계적 수치가 제시된 논문을 선정하였고, CLT 중재를 시행하지 않은 연구와 통계적 수치가 제시되지 않은 논문들은 선정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또한 국내 다양한 재활 치료에서 이용되고 있는 CLT에 대한 체계적인 효과성 검증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CLT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 크기를 통해 계량적으로 통합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동규, 이순현, 오덕원.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기능에 대한 체중지지 자세에서의 단계적 PNF 패턴 치료의 효과 - 단일사례연구. PNF and Movement 2018;16(3):307-315. 

  2. 김범룡, 강태우. 만성허리통증의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효과 -국내연구의 메타분석과 체계적 고찰. PNF and Movement 2019;17(1):157-166. 

  3. 김범룡, 방대혁, 봉순녕. 하네스를 착용한 상하지 협응 패턴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PNF and Movement 2015;13(3):127-134. 

  4. 김석환, 김동희.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여성노인의 신체기능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2013;52(2):495-512. 

  5. 김성철, 허영구.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과 체중지지의 트레드밀 훈련이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31-43. 

  6. 김아린, 양인숙. 운동중재가 심혈관질환자의 혈관내피전구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18(4):366-379. 

  7. 김은영, 황성동, 김은주.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을 위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16;46(4):475-489. 

  8. 나숙현. 상하지 협응운동패턴에 따른 족부압력 분포와 근활성도 비교[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0. 

  9. 박완주, 박신정, 황성동. 한국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15;45(2):169-182. 

  10. 박지원, 이병희, 이수현, 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균형 및 인지에 관한 상관관계분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0;27(1):56-65. 

  11. 안용덕, 박종항. PNF 통합패턴 트레이닝이 하키선수들의 균형능력과 기능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 연구 2013;11(11):521-528. 

  12. 윤아름, 최기헌. 녹차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1;22(4):717-726. 

  13. 임재길. 스프린터와 스케이터를 이용한 고유수용성촉진법 패턴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14;26(4):249-256. 

  14. 임재헌, 장현진, 조운수, 등. 20대 남여 대학생에게 클라이밍에서의 협응이동훈련이 몸통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PNF and Movement 2018;16(3):397-404. 

  15. 정우식, 박승규, 박종항, 등. PNF 결합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12(1):318-328. 

  16. 정우식, 정재영, 김찬규, 등. PNF의 sprinter pattern을 통한 하지의 근 활성도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1(3):281-292. 

  17. 조혁신, 신효섭, 방대혁.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상하지 협응 운동이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PNF and Movement 2015;13(4):189-196. 

  18. 조혁신, 차현규, 신효섭.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적용한 상하지 협응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PNF and Movement 2017;15(1):27-33. 

  19. 최광용, 정희연, 맹관철. 전신진동자극훈련을 병행한 PNF 결합패턴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PNF and Movement 2017;15(2):185-194. 

  20. 최원제, 서태화. PNF 스케이터 패턴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5;9(2):289-298. 

  21.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 An illustrated guide. 3rd ed. Heidelberg: Springer;2008.p.2-11. 

  22.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Oxford: Wiley; 2009. p.85-101. 

  2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1988. p.55-70. 

  24. Dietz B, Kim TY, Lee MK, et al. PNF in lokomotion : Let's sprint, let's skate. 2nd ed. Heidelberg: Springer; 2018. p.47-56. 

  25. Globas C, Becker C, Cerny J, et al. Chronic stroke survivors benefit from high-intensity aerobic treadmill exercise: A randomized control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2;26(1):85-95. 

  26. Gunning E, Uszynski MK. Effectiveness of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method on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Arch Phys Med Rehabil 2019;100(5):980-986. 

  27. Hariharasudhan R, Balamurugan J, Enhancing. Enhancing trunk stability in acute poststroke subjects using physioball exercise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Adv Med Health Res 2016;3(1):5. 

  28. Higgins J,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Oxford: Wiley-Blackwell; 2008. 

  29. Higgins JP, Thompson SG, Deeks JJ, et al.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BMJ 2003;327(7414):557-560. 

  30. Jung JH, Kim MJ, Woo HJ, et al. Effect of CLX training combined with PNF pattern on balance ability. J Korean Phys Ther Sci 2019;26(1):1-8. 

  31. Kelso JA, Holt KG, Rubin P, et al. Patterns of human interlimb coordination emerge from the properties of non-linear, limit cycle oscillatory processes: Theory and data. J Mot Behav 1981;13(4):226-261. 

  32. Kim TY.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 sprinter/skater patterns. PNF and Movement 2006;4(1):71-79. 

  33. Lee DK, An DH, Yoo WG, et al. The effect of isolating the paretic limb on weight-bearing distribution and emg activity during squats in hemiplegic and healthy individuals. Top Stroke Rehabil 2017;24(4):223-227. 

  34. Littell JH, Corcoran J, Pillai VK.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116-128. 

  35. Liu YC, Yang YR, Tsai YA, et al. Cognitive and motor dual task gait training improve dual task gait performance after stroke -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Sci Rep 2017;7(1):4070. 

  36. Page SJ, Sisto S, Johnston MV, et al.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after subacute stroke: A preliminary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2;16(3):290-295. 

  37. Tedla JS, Sangadala D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in adhesive capsul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Musculoskelet Neuronal Interact 2019;19(4):482-491. 

  38. Vleeming A, Mooney V, Stoeckart R. Movement, stability & lumbopelvic pain : Integration of research and therapy. 2nd ed. Edinburgh;Churchill Livingstone; 2007. p.22-33. 

  39. Yang YR, Wang RY, Lin KH, et al.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 Rehabil 2006;20(10):860-8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