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린사슬과 닫힌사슬에 따른 PNF상지패턴이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NF Arm Patterns on Activation of Leg Muscles According to Open And Closed Kinemetic Chain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2, 2011년, pp.215 - 223  

박태준 (전라북도 남원노인요양병원 물리치료실) ,  박형기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종만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g muscle activation by apply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arm patterns to unilateral upper extremities under the condition of both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s in a seated position. Methods: Twenty-two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근육의 활성이 열린사슬운동보다 닫힌사슬운동을 실시할 때 더 큰 증진을 보인다는 가정에도 불구하고 PNF 치료접근법을 이용하여 열린사슬과 닫힌사슬의 운동형상학적 사슬에 따른 근활성도를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앉은 자세에서 발을 땅에 대지 않은 열린사슬과 발을 땅에 대고 있는 닫힌사슬에서 PNF 상지패턴 4가지를 한쪽 상지에 적용하여, 하지 근활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임상에서 치료사들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약화된 근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적용하고 있다(Scripture 등, 1894). 본 연구에서는 앉은 자세에서 발을 땅에 대지 않은 열린사슬과 발을 땅에 대고 있는 닫힌사슬에서, 정상인의 한쪽 상지에 4가지 PNF 패턴을 적용했을 때발생되는 방사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반대쪽 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상지패턴을 적용했을 때 장딴지근은 운동형상학적 사슬과 패턴과의 비교에서 근활성도의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열린사슬에서보다 닫힌사슬에서 앞정강근과 안쪽넓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린사슬운동이란 무엇인가? 물체에 고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기 위해일반적으로 사용된다(Neumann, 2004). 열린사슬운동 (open chain exercise)은 사지의 원위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근위부에서는 고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관절가동범위가 제한된 환자의 근력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연주, 2007; 장재원, 2003). 또한, 사지를 가속화시키기 위해 수축하는 주동근이 빠른 속도의 구심성 운동을 하는 동안 가동범위 끝부분에서 감속시키려고 길항근이 수축하므로 짧은 시간동안 협력수축을 일으켜 움직이는 관절의 끝 범위에서 동적 안정성에 기여한다(Baratta 등, 1988; Draganich 등, 1989; Hagood 등, 1990).
닫힌사슬운동이란 무엇인가? 또한, 사지를 가속화시키기 위해 수축하는 주동근이 빠른 속도의 구심성 운동을 하는 동안 가동범위 끝부분에서 감속시키려고 길항근이 수축하므로 짧은 시간동안 협력수축을 일으켜 움직이는 관절의 끝 범위에서 동적 안정성에 기여한다(Baratta 등, 1988; Draganich 등, 1989; Hagood 등, 1990). 닫힌사슬운동(closed chain exercise)은 지지면에 안정되거나 고정된 말단 분절 위에서 신체가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Davies 등, 2000). 또한 근력강화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길항근이 서로 원심성으로 작용하여 손상된 관절의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Iwasaki 등, 2006).
닫힌사슬운동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닫힌사슬운동(closed chain exercise)은 지지면에 안정되거나 고정된 말단 분절 위에서 신체가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Davies 등, 2000). 또한 근력강화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길항근이 서로 원심성으로 작용하여 손상된 관절의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Iwasaki 등, 2006). 이론적으로 닫힌사슬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여러 관절을 가로지르는 많은 근육군이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활성화되므로 열린사슬운동에서보다 근육과 관절 내외의 더 많은 감각수용기들이 활성화된다(Rivera,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경환 등. 편측 상지에 적용된 고유수용성신경근촉 진법이 반대측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2006;4(1):9-18. 

  2. 김연주. 닫힌사슬운동이 전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슬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김원호. 뇌졸중 환자에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환측 근육의 방사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9;16(2):59-66. 

  4. 배성수, 정형국, 김호봉.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패턴의 운동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8;10(1):213-21. 

  5. 이문규, 김종만, 김원호. PNF 하지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1):1-7. 

  6. 장재원. 개방역학운동과 폐쇄역학운동 시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 변화.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한향완, 김상수. 닫힌 사슬 운동과 열린 사슬 운동자세에서 편측상지에 적용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2009;7(3):17-27. 

  8. Alder 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2nd ed. Berlin. Springer Verlag. 2000 

  9. Baratta R, Solomonow M, Zhou BH et al. Muscular coactivation. The role of the antagonist musculature in maintaining knee stability. Am J Sports Med. 1988;16(2):113-22. 

  10. Carr JH, Shepherd RB. Movement science: Foundation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Rockville. Aspen Inc. 1987 

  11. Davies GJ, Heiderscheit BC, Manske R et al. The scientific and clinical rationale for the integrated approach to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rehabilitation. Orthop Phy Ther Clin North Am. 2000;9(2):247-68. 

  12. Delorme TL, Watkins AL.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New York. Bill Hinbern. 1951 

  13. Dietz B. Let's sprint, let's skate. Innovationen im PNF-Konzept. Berlin. Springer. 2009 

  14. Draganich LF, Jaeger RJ, Kraji AR. Coactivation of the hamstrings and quadriceps during extension of the knee. J Bone Joint Surg Am. 1989;71(7):1075-81 

  15. Fox E, Matthews D. The physiological basis of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3rd ed. Philadelpia.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81 

  16. Gowitzke BA, Milner M. Understanding the scientific basis of human movement.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kins. 1980 

  17. Hagood S, Solomonow M, Zhou BH et al. The effect of joint velocity on the contribution of the antagonist musculature to knee stiffiness and laxity. Am J Sports Med. 1990;18(2):182-7. 

  18. Hellebrandt FA, Parrish AM, Hputz SJ. The influence of unilateral exercise on the contralateral limb. Arch Phys Med Rehabil. 1947;28(2):76-85. 

  19. Iwasaki T, Shiba N, Matsuse H et al. Improvement in knee extension strength through training by means of combin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Tohoku J Exp. Med. 2006;209:33-40. 

  20. Knott M, Voss D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and techniques. 2nd ed. New York. Harper & Row. 1968 

  21. Kofotolis N, Kellis E. Cross-training effects of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programme on knee musculature. Physical Therapy in Sport. 2007;8(3):109-16. 

  22. Lazarus JA, Whitall J. Motor overflow and children's tracking performance. Is there a link? Dev Psychobiol. 1999;35(3):178-87. 

  23. Mayston MJ, Harrison LM, Stephens JA. A neurophysiological study of mirror movements in adults and children. Ann Neurol. 1999;45(5):583-94. 

  24. Munn J, Herbert RD, Gandevia SC.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 metaanalysis. J Appl Physiol. 2004;96(5):1861-6. 

  25. Nelles G, Cramer SC, Schaechter JD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mirror movements after stroke. Stroke. 1998;29(6):1182-7. 

  26.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St. Louis. C.V. Mosby. 2004 

  27. Pink MY. Contralateral effects of upper extremity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Phy Ther. 1981;61(8):1158-62. 

  28. Potempa K, Lopez M, Braun LT et al. Physiological outcome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troke. 1995;26(1):101-5. 

  29. Rivera JE. Open versus closed kinetic rehabilitation of the lower extremity. A functional and biomechanical analysis. J Sports Rehabil. 1994;3(2):154-67. 

  30. Scripture EW, Smith TL, Brown EM. On the education of muscular control and power. Stud Yale Psychol Lab. 1894;2:114-9. 

  31. Sullivan PE, Markos PD, Minor MAD.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rapeutic exercise. Virginia. Reston. 1982 

  32. Voss DE, Ionta MK, Myers BJ.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and techniques. 3rd ed. New York. Harper & Row.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