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증-치주 질환과 암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ancer: A Recent Research Trend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4 = no.156, 2013년, pp.602 - 608  

이신화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기술대학 생명과학과) ,  최영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및 항노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만성적인 염증이 다단계 발암과정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치주 질환의 원인은 구강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내독소들과 염증 유발인자들의 생성 등이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며, 이는 잘못된 구강 위생 관리가 신체의 여러 가지 전신병적 원인과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비위생적인 구강 상태와 연관된 만성 염증, 흡연, 알콜 섭취의 증가 등은 암의 발병 위험 요소로 작용함은 명확한 사실이다. 최근에는 구강 위생과 치아 손실이 위장관암, 폐암 및 췌장암 뿐만 아니라 혈구암 발병 증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흡연은 악성 질환 발병의 위험 요소로서 구강 위생의 강력한 위해요인임은 명백하며, 역학적 조사결과들에 의하면 구강 박테리아에 의한 치주 질환은 만성 염증을 통하여 흡연과 알콜 연관 발암원을 활성시킴으로서 다양한 암의 발병 위험 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암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질환의 예방을 위한 적절한 구강 관리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암예방을 위한 악성질환의 위해 요소로서 염증과 치주질환 및 구강 위생과의 연관성을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ltifaceted role of chronic inflammation in multistep carcinogenesis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and well documented. Periodontal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multifactorial agents, including bacterial endotoxins and the generation of an inflammatory response, indicating that poor oral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흡연은 그것 자체로도 발암의 원인이 되며, 두부, 경부, 구강과 폐에 발생하는 암의 심각한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치주 질환, 혹은 이로 인한 치아 손실이 특정 부위의 암과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치주 질환과 암의 가능한 연관성은 물론, 그것이 전체적인 암 위험과 관련되었는지 혹은 특정한 종양 부위와 관련되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본문에서는 치주 감염과 췌장암, 폐암, 백혈병을 포함한 고형종양 및 혈액암과의 가능한 연관성에 관하여 최근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이 연구는 수많은 발암 부위에서 이루어진 만큼 우연의 일치일 수 있으며, 결과는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 연구는 피부의 흑색종의 위험 요소 중 하나인 태양광 노출에 대한 보정을 하지 않았고, 가설적으로는 치아의 수와 연관되거나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일 수 있다. 세 개의 다른 연구들은 치주 질환과 모든 암에 의한 사망과의 관계에서 제한된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Cabrera 등[7]은 나이,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율, BMI, 흡연, 출산 경력, 사회경제적 위치 등을 고려하였다.
  • 흥미롭게도 Grant [13]는 치주 질환 및 치아 손실과 암 사이 관계의 숨겨진 요소로 “혈청에서의 25-hydroxyvitamin D (calcidiol)의 낮은 농도”를 제시했다. 비타민 D는 cathelicidin (LL37)을 유도함으로써 치주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Epstein-Barr virus를비롯한 바이러스성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결국 몇 가지 암들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제안하였다.
  • 그러나 그들의 보고에 의하면 정기적인 치과 진료는 이러한 위험 요소들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25]. 치아 손실과 구강 위생은 흡연과 음주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강의 발암에 영향을 줄 것이다. 또한 알려진 위험 요소들의 상관 정도는 인두, 후두, 구강 등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므로, 추후의 연구들은 이런 특정 부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주염은 무엇입니까? 치주염(periodontitis)은 치주에 생기는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이다. 미국에서는 30세 이상의 성인들 중 약 35%가 치주염을 앓고있다[4].
염증이 치주 질환에서 골 손실을 유발하는 과정은? 항원에 의해 자극된 림프구(B 와 T 세포) 또한 중요한 인자로 추정된다. 결국 단계적으로 nuclear factor의 receptor activator - kappa B (RANK) - RANK ligand (RANKL) - osteoprotegerin (OPG) axis를 거쳐파골세포 형성(osteoclastogenesis)과 차후의 골 손실을 일으킨다(Fig. 1).
만성적인 치주염은 무엇에 인해 생깁니까? 17% 사이였다[16, 20]. 만성적인 치주염(chronic periodontitis)은 치아의 지지조직에서염증(inflammation)을 유발하는 구강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것이특징이며, 대개 치주 조직과 치아를 지지하는 치조골(alveolar bone)의 파괴로 이어진다[11, 22]. 이 구강 염증은 보통 순환하는염증 표지의 증가되는 농축과 혈청 염증 표지의 양과 직접적인상호관계가 있는 질병의 심각성에 전신적인 영향을 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net, C. C., Kamangar, F., Dawsey, S. M., Stolzenberg- Solomon, R. Z., Albanes, D., Pietinen, P., Virtamo, J. and Taylor, P. R. 2005. Tooth los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gastric non-cardia adenocarcinoma in a cohort of Finnish smokers. Scand J Gastroenterol 40, 681-687. 

  2. Abnet, C. C., Qiao, Y. L., Dawsey, S. M., Dong, Z. W., Taylor, P. R. and Mark, S. D. 2005. Tooth los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total death and death from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 heart disease, and stroke in a Chinese population-based cohort. Int J Epidemiol 34, 467-474. 

  3. Abnet, C. C., Qiao, Y. L., Mark, S. D., Dong, Z.W., Taylor, P.R. and Dawsey, S. M. 2001. Prospective study of tooth loss and incident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s in China. Cancer Causes Control 12, 847-854. 

  4. Albandar, J. M., Brunelle, J. A. and Kingman, A. 1999.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30 years of age and older in the United States, 1988-1994. J Periodontol 70, 13-29 

  5. Amabile, N., Susini, G., Pettenati-Soubayroux, I., Bonello, L., Gil, J. M., Arques, S., Bonfil, J. J. and Paganelli, F. 2008.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correlates to inflammatory systemic status and independently predicts the presence and angiographic extent of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J Intern Med 263, 644-652. 

  6. Bundgaard, T., Wildt, J., Frydenberg, M., Elbrond, O. and Nielsen, J. E. 1995. Case-control study of squamous cell cancer of the oral cavity in Denmark. Cancer Causes Control 6, 57-67. 

  7. Cabrera, C., Hakeberg, M., Ahlqwist, M., Wedel, H., Bjorkelund, C., Bengtsson, C. and Lissner, L. 2005. Can the relation between tooth loss and chronic disease be explained by socio-economic status? A 24-year follow-up from the population study of women in Gothenburg, Sweden. Eur J Epidemiol 20, 229-236. 

  8. Cochran, D. L. 2008. Inflammation and bone loss in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79, S1569-1576. 

  9. Cotran, R. S., Kumar, V.and Collins, T. 1999.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pp. 50-88, 260-327, 6th eds. WB Saunders Co., Philadelphia. 

  10. Dye, B. A., Tan, S., Smith, V., Lewis, B. G., Barker, L. K., Thornton-Evans, G., Eke, P. I., Beltran-Aguilar, E. D., Horowitz, A. M. and Li, C. H. 2007. Trends in oral health status: United States, 1988-1994 and 1999-2004. Vital Health Stat 11, 1-92. 

  11. Flemmig, T. F. 1999. Periodontitis. Ann Periodontol 4, 32-38. 

  12. Garrote, L. F., Herrero, R., Reyes, R. M., Vaccarella, S., Anta, J. L., Ferbeye, L., Munoz, N. and Franceschi, S. 2001. Risk factors for cancer of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in Cuba. Br J Cancer 85, 46-54. 

  13. Grant, W. B. 2008. Vitamin D, periodontal disease, tooth loss, and cancer risk. Lancet Oncol 9, 612-613. 

  14. Hujoel, P. P., Drangsholt, M., Spiekerman, C. and Weiss, N. S. 2003. An exploration of the periodontitis-cancer association. Ann Epidemiol 13, 312-316. 

  15. Joshipura, K. J., Wand, H. C., Merchant, A. T. and Rimm, E. B. 2004. Periodontal disease and biomarker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J. Dent. Res. 83, 151-155. 

  16. Loe, H. and Brown, L. J. 1991. Early onset periodontiti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 Periodontol 62, 608-616. 

  17. Loos, B. G. 2005. Systemic markers of inflammation in periodontitis. J Periodontol 76, S2106-2115. 

  18. Marshall, J. R., Graham, S., Haughey, B. P., Shedd, D., O'Shea, R., Brasure, J., Wilkinson, G. S. and West, D. 1992. Smoking, alcohol, dentition and diet in the epidemiology of oral cancer. Eur J Cancer B Oral Oncol 28B, 9-15. 

  19. Mealey, B. L. and Rose, L. F. 2008. Diabetes mellitus and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s. Compend Contin Educ Dent 29, 402-408, 410, 412-413. 

  20. Melvin, W. L., Sandifer, J. B. and Gray, J. L. 1991. The prevalence and sex ratio of juvenile periodontitis in a young racially mixed population. J Periodontol 62, 330-334. 

  21. Meyer, M. S., Joshipura, K., Giovannucci, E. and Michaud, D. S. 2008.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periodontal disease, and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19, 895-907. 

  22. Michaud, D. S., Joshipura, K., Giovannucci, E. and Fuchs, C. S. 2007. A prospective study of periodontal disease and pancreatic cancer in US male health professionals. J Natl Cancer Inst 99, 171-175. 

  23. Persson, G. R. and Persson, R. E. 2008.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itis: an update on the associations and risk. J Clin Periodontol 35, S362-379. 

  24. Risch, H. A. 2003. Etiology of pancreatic cancer, with a hypothesis concerning the role of N-nitroso compounds and excess gastric acidity. J Natl Cancer Inst 95, 948-960. 

  25. Rosenquist, K. 2005. Risk factors in oral and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southern Sweden. Swed Dent J Suppl 179, 1-66. 

  26. Stolzenberg-Solomon, R. Z., Dodd, K. W., Blaser, M. J., Virtamo, J., Taylor, P. R. and Albanes, D. 2003. Tooth loss, pancreatic cancer, and Helicobacter pylori. Am J Clin Nutr 78, 176-181. 

  27. Talamini, R., Vaccarella, S., Barbone, F., Tavani, A., La Vecchia, C., Herrero, R., Munoz, N. and Franceschi, S. 2000. Oral hygiene, dentition, sexual habits and risk of oral cancer. Br J Cancer 83, 1238-1242. 

  28. Tu, Y. K., Galobardes, B., Smith, G. D., McCarron, P., Jeffreys, M. and Gilthorpe, M. S. 2007. Associations between tooth loss and mortality patterns in the Glasgow Alumni Cohort. Heart 93, 1098-1103. 

  29. van Kempen, L. C., de Visser, K. E. and Coussens, L. M. 2006. Inflammation, proteases and cancer. Eur J Cancer 42, 728-734. 

  30. Watabe, K., Nishi, M., Miyake, H. and Hirata, K. 1998. Lifestyle and gastric cancer: a case-control study. Oncol Rep 5, 1191-1194. 

  31. Zheng, T. Z., Boyle, P., Hu, H. F., Duan, J., Jian, P. J., Ma, D. Q., Shui, L. P., Niu, S. R., Scully, C. and MacMahon, B. 1990. Dentition, oral hygiene, and risk of oral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Beijing, People's Republic of China. Cancer Causes Control 1, 235-241. 

  32. Zupan, J., Jeras, M. and Marc, J. 2013. Osteoimmunology and the influenc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on osteoclasts. Biochemia Medica 23, 43-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