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7-2009) 자료 이용
Development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6 no.2, 2013년, pp.186 - 196  

윤성하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  심지선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 류마티스 관절염 임상연구센터) ,  권상희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  오경원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an adult population for us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24-hour recall data for 2,939 subjects aged 19 years and over from the fourth KNHANES first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일상적인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평가를 목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식기반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일상적인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평가를 목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식기반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식품섭취빈도조사 항목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2007) 만 19세 이상 대상자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에너지와 14종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조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 섭취의 주요 급원이거나 섭취량의 개인 간 변이가 크며, 대상자의 1% (30명) 이상이 섭취하는 음식으로 구성하였고 2005년 계절별 영양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 3차년도 (2008, 2009) 만 19~64세 대상자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검토하여 추가·보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이란 무엇인가? 1-3)식사 내용을 측정하는 도구로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식품섭취빈도조사법, 식사력 등이 있다. 이 중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은 제시된 항목에 대해 특정기간 동안의 섭취빈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장기간의 일상적인 식생활 양상 파악에 유용한 도구로 보고되고 있다.4,5)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경우 섭취빈도와 함께 1회 평균 섭취량을 조사하여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고, 조사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대규모 역학연구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제시되어야 하는 것은? 식품섭취빈도조사는 제한된 식품 또는 음식 목록을 통해 대상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양상을 평가하게 되므로 대상자의 식생활 특성에 맞게 목록이 제시되어야 한다.4)우리나라는 여러 재료를 이용하여 조리한 음식을 섭취하는 식생활 특성으로 인해 식품을 기반으로 항목을 구성할 경우 양념류나 유지류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소가 저평가 될 수 있다.
식생활을 측정하는 도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식생활과 만성질환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영양역학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3)식사 내용을 측정하는 도구로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식품섭취빈도조사법, 식사력 등이 있다. 이 중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은 제시된 항목에 대해 특정기간 동안의 섭취빈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장기간의 일상적인 식생활 양상 파악에 유용한 도구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etz GS, Reardon CA. Nutri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7; 27(12): 2499-2506 

  2. Chen CM, Zhao W, Yang Z, Zhai Y, Wu Y, Kong L. The role of dietary factors in chronic disease control in China. Obes Rev 2008; 9 Suppl 1: 100-103 

  3. Kim K, Yun SH, Choi BY, Kim MK.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carbohydrate, glycaemic index, glycaemic load and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Korean population. Br J Nutr 2008; 100(3): 576-584 

  4. Willett W. Nutritional epidemiology, 2nd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74-100 

  5. Willett WC, Hu FB.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7; 16(1): 182-183 

  6. Willett WC, Sampson L, Stampfer MJ, Rosner B, Bain C, Witschi J, Hennekens CH, Speizer FE.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 J Epidemiol 1985; 122(1): 51-65 

  7. Ocke MC, Bueno-de-Mesquita HB, Goddijn HE, Jansen A, Pols MA, van Staveren WA, Kromhout D. The Dutch EPIC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 Description of the questionnaire, and relative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for food groups. Int J Epidemiol 1997; 26 Suppl 1: S37-S48 

  8. Esfahani FH, Asghari G, Mirmiran P, Azizi F.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food group intake in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J Epidemiol 2010; 20(2): 150-158 

  9. Tokudome S, Ikeda M, Tokudome Y, Imaeda N, Kitagawa I, Fujiwara N. Development of data-bas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studies in middle-aged Japanese. Jpn J Clin Oncol 1998; 28(11): 679-687 

  10. Ahn Y, Lee JE, Paik HY, Lee HK, Jo I, Kim K.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ased on dietary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Sci 2003; 6(3): 173-184 

  11. Shim JS, Oh KW, Suh I, Kim MY, Sohn CY, Lee EJ, Nam CM. A study on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484-494 

  12. Kim MK, Yun YM, Kim Y. Developing dish-bas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epidemiology study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701-712 

  13. Kim YO, Kim MK, Lee SA, Yoon YM, Sasaki S. A study testing the usefulness of a dish-based food-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epidemiological studies in Korea. Br J Nutr 2009; 101 (8): 1218-1227 

  14. Park MK, Kim DW, Kim J, Park S, Joung H, Song WO, Paik HY. Development of a dish-based, semi-quantitative FFQ for the Korean diet and cancer research using a database approach. Br J Nutr 2011; 105(7): 1065-1072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inal report of revision of the nutrition survey method for KNHANES.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1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on 2005 National Nutrition Survey by season. Cheongw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inal report of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18. Cassidy CM. Walk a mile in my shoes: culturally sensitive foodhabit research. Am J Clin Nutr 1994; 59(1 Suppl): 190S-197S 

  19. Lee GS, Paik HY, Yi MS, Joung HJ. Response experiences with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 qualitative study using cognitive interview. Korean J Nutr 2007; 40(6): 566- 575 

  20. Yun SH, Choi BY, Kim MK. The effect of seasoning on the distribution of nutrient intakes by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in a rural area. Korean J Nutr 2009; 42(3): 246-255 

  21. Shim JE, Ryu JY, PaiK HY. Contribution of seasonings to nutrient intake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dults in rural area of Korea. Korean J Nutr 1997; 30(10): 1211-1218 

  22. Subar AF, Thompson FE, Smith AF, Jobe JB, Ziegler RG, Potischman N, Schatzkin A, Hartman A, Swanson C, Kruse L, Hayes RB, Lewis DR, Harlan LC. Improv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cognitive interviewing. J Am Diet Assoc 1995; 95(7): 781-788 

  2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Diet history questionnaire II.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0. Available from: http://riskfactor.cancer.gov/dhq2/forms/dhq2_pastyear. pdf 

  24. Han MH, Kim MK, Lee SS, Choi BY. Study on the agreement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collecting portion size. Korean J Nutr 1995; 28(8): 791-799 

  25. Tylavsky FA, Sharp GB. Misclassification of nutrient and energy intake from use of closed-ended questions in epidemiologic research. Am J Epidemiol 1995; 142(3): 342-352 

  26. Cummings SR, Block G, McHenry K, Baron RB. Evaluation of two food frequency methods of measuring dietary calcium intake. Am J Epidemiol 1987; 126(5): 796-802 

  27. Kim M, Kim Y, Kim S. Validity of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y conditions of one portion size. Korean J Community Nutr 1998; 3(2): 273-280 

  28. Song NY, Park MK, Paik HY, Joung H, Kim JS, Park SH. Comparison of frequency and amount of dishes reported in semi-quantitative dish-based frequency questionnaire vs. 12-day dietary records. Korean J Nutr 2010; 43(6): 638-6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