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주변 해역 수산 어종 변화(1981-2010)
Multi-decadal Changes in Fish Communities Jeju Islan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2, 2013년, pp.186 - 194  

정석근 (국립제주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  하승목 (국립제주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  나한나 (홋카이도 대학교 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mpiled and analyzed long-term time-series data collected in Korea to evaluate changes in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marine ecosystems near Jeju Island ($33^{\circ}00^{\prime}-34^{\circ}00^{\prime}\;N$, $125^{\circ}30^{\prime}-127^{\circ}30^{\prime}\;E$) from 1981 to 20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지역 언론은 물론 중앙 언론에서도 제주도 주변 해역 생태계 변화에 대해서 보도하고 싶어하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생태계 장기 모니터링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난 30년 동안 우리나라 정부와 연구기관에서 축적한 해양 모니터링 자료와 수산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일어난 어류 군집 변화를 정리하고 이 변화가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와 어떤 관련을 보였는지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기관은? 기후연구는 주로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와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가 공동한 설립한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IPCC는 각 국의 기후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인간의 활동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위험을 평가하고 있고, 2007년에 전 세계 2,00여명의 과학자 및 전문가가 참여해 제4차보고서(AR4)를 완성하였다(IPCC, 2007).
제주도 주변해역은 어떠한 해류가 흐르는 길목인가? 제주도 주변해역은 고등어와 갈치 등 대표적인 우리나라 수산업 어종이 가장 많이 어획되어왔던 곳이며,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해역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곳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인 쓰시마 난류가 본류인 쿠로시오 해류로부터 갈라져 대한해협으로 들어오는 길목이다(Kang et al., 2012).
북서태평양의 특징은? 우리나라가 속해있는 북서태평양(FAO Fishing Area 61)은 세계적으로 어획 생산고가 가장 높음은 물론 인구 밀도와 인구, 그리고 일인당 수산물 소비량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Kim, 2010). 그러나 우리나라 연근해에서는 1970년대 이후 한국과 주변 국가들 어업기술 발전에 따라 남획이 진행중이고 산업화에 따라 수질이 악화되고 서식지가 파괴됨에 따라 전체 수산자원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일단 평가되고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amish RJ, Leask KD, Ivanov OA, Balanov AA, Orlov AM and Sinclair B. 1999. The ecology,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midwater fishes of the Subarctic Pacific gyres. Prog Oceanogr 43, 399-442. 

  2. Brander KM. 2007. Global fish production and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 19709-19714. 

  3. Chiba S and Saino T. 2002. Interdecadal change in the upper water column environment and spring diatom community structure in the Japan Sea: an early summer hypothesis. Mar Ecol Prog Ser 231, 23-35. 

  4. Cochrane K, De Young C, Soto D and Bahri T. 2009. Climate change implications for fisheries and aquaculture: overview of current scientific knowledge.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Technical Paper. FAO, Rome, Italy, 212. 

  5. deYoung B, Barange M, Beaugrand G, Harris R, Perry RI, Scheffer M and Werner F. 2008. Regime shifts in marine ecosystems: detection, prediction and management. Trends Ecol Evol 23, 402-409. 

  6. Epur IV. 2009. Ecological and zoogeographic characterization of the ichthyofauna of Sivuch'ya Bay (Peter the Great Bay, Sea of Japan). Russian Journal of Marine Biology 35, 117- 126. 

  7. Hwang K and Jung S. 2012. Decadal changes in fish assemblages in waters near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East China Sea)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from 1984 to 2010. Ocean Science Journal 47, 83-94. 

  8.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Summary for policymaker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eneva, Switzerland,18. 

  9. Jung S. 2008. Spatial variability in long-term changes of climate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in Korea. J Environ Biol 29, 519-529. 

  10. Kang YS, Jung S, Zuenko Y, Choi I and Dolganova N. 2012. Regional differences in response of mesozooplankton to long-term oceanographic changes (regime shifts) in the northeastern Asian marginal seas. Prog Oceanogr 97-100C, 120-134. 

  11. Kim S. 2010. Fisheries development in northeastern Asia in conjunction with changes in climate and social systems. Mar Policy 34, 803-809. 

  12. Kim S, Zhang CI, Kim JY, Oh JH, Kang S and Lee JB. 2007. Climate variability and its effects on major fisheries in Korea. Ocean Science Journal 42, 179-192. 

  13. Kim YH, Kim YB, Kim K, Chang KI, Lyu SJ, Cho YK and Teague WJ. 2006. Seasonal variation of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and its relation to the bottom current. Geophys Res Lett 33. 

  14. Kodama K, Oyama M, Lee J, Kume G, Yamaguchi A, Shibata Y, Shiraishi H, Morita M, Shimizu M and Horiguchi T. 2010. Drastic and synchronous changes in megabenthic community structure concurrent with environmental variations in a eutrophic coastal bay. Prog Oceanogr 87, 157-167. 

  15. Koo BJ, Kwon KK and Hyun JH. 2005.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crement due to the complex burrows of macrofauna in a tidal flat. Ocean Science Journal 40, 221-227. 

  16. Lee DI, Choi JM, Lee YG, Lee MO, Lee WC and Kim JK. 2008. Coastal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anagement by ecological simulation in Yeoja Bay,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80, 495-508. 

  17. Lehodey P, Alheit J, Barange M, Baumgartner T, Beaugrand G, Drinkwater K, Fromentin JM, Hare SR, Ottersen G, Perry RI, Roy C, van der Lingen CD and Werner F. 2006. Climate variability, fish, and fisheries. J Clim 19, 5009-5030. 

  18. Lyu SJ and Kim K. 2003. Absolute transport from the sea level difference across the Korea Strait. Geophys Res Lett 30, 1285. 

  19. Maekawa C. 1989.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catch quantity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Japanese). Bulletin of the Kanagawa Prefectural Fisheries Experiment Station 89, 27-30. 

  20. Murawski SA. 2000. Definitions of overfishing from an ecosystem perspective.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Journal du Conseil 57, 649-658. 

  21. Na H. 2011. Seasonal to decadal variability of the upper-ocean hydrography and circulation in the East Sea.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5. 

  22. Na H, Kim K-Y, Chang K-I, Kim K, Yun J-Y and Minobe S. 2010.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upper water temperatures and atmospheric forcing in the Sea of Japan (East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5, C09031. 

  23. PICES. 2004. Marine ecosystems of the North Pacific. PICES Special Publication, 280. 

  24. Rebstock GA and Kang YS. 2003. A comparison of three marine ecosystem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to climate change. Prog Oceanogr 59, 357-379. 

  25. Rodionov SN. 2006. Use of prewhitening in climate regime shift detection. Geophys Res Lett 33, L12707. 

  26. Roessig JM, Woodley CM, Cech JJ and Hansen LJ. 2004. Effects of global climate change on marine and estuarine fishes and fisheries. Rev Fish Biol Fish 14, 251-275. 

  27. Rose GA. 2004. Reconciling overfishing and climate change with stock dynamics of Atlantic cod (Gadus morhua) over 500 years. Can J Fish Aquat Sci 61, 1553-1557. 

  28. ter 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 1167-1179. 

  29. Tian Y, Kidokoro H, Watanabe T and Iguchi N. 2008. The late 1980s regime shift in the ecosystem of Tsushima warm current in the Japan/East Sea: evidence from historical data and possible mechanisms. Prog Oceanogr 77, 127-145. 

  30. Zhang CI, Kim S, Gunderson D, Marasco R, Lee JB, Park HW and Lee JH. 2009. An ecosystem-based fisheries assessment approach for Korean fisheries. Fish Res 100, 26-41. 

  31. Zhang CI, Lee JB, Seo YI, Yoon SC and Kim S. 2004. Variations in the abundance of fisheries resources and ecosystem structure in the Japan/East Sea. Prog Oceanogr 61, 245-2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