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한국 연근해 어업생산량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by Climate Change in Korea 원문보기

水産經營論集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46 no.2, 2015년, pp.31 - 41  

엄기혁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김홍식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  한인성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김도훈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s a climatic element and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in Korea using annual time series data from 1970 to 2013. It also tried to predict the future changes in catch amount of fisheries by climate chan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용 가능한 기후요소 자료와 연근해 어업생산량 자료를 이용 하여 계량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기후요소와 연근해 어업생산량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향후 기후요소 예측에 따른 어업생산량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13년까지의 우리나라 연근해어업 생산량과 표층수온(Sea Surface Temperature, SST)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시계열 자료의 단위근과 공적분 검정을 통해 기후변화가 어업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ranger 인과성 분석기법이란? Granger 인과성 분석기법은 VAR(vector autoregressive model) 혹은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모형을 이용하는 검정방법으로, 전통적인 F–통계량을 이용하여 확률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간단히 말해서 변수 Y 값을 추정할 때 Y의 과거 값과 함께 다른 변수 X 의 과거 값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 Y의 과거 값으로만 예측하는 것보다 정확하다면 X에서 Y로의 인과방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Gary, 2000; Song and Jung, 2002).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의 수온 변화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 이러한 기후변화는 인류의 전 산업 분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 중 수산업 분야 역시 해양생태계 시스템 변화 등으로 인해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의 수온 변화는 어획 대상종의 구성 변화, 어군의 서식지 이동, 어류의 성장률 등 어업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FAO, 2009; Hobday et al., 2008; Lu and Lee, 2014).
전지구 해양 수온의 상승이 한반도 주변해역 어획량에 끼치는 영향은? 우리나라 역시 주변 해양의 수온과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수온의 상승률은 전지구 해양 수온의 상승률 평균보다 무려 2〜3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MA, 2014). 이러한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는 난류성 어종인 멸치, 고등어, 오징어 등의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한류성 어종인 명태, 꽁치 등의 어획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Kim et al, 2014; Kim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re, E. P. (2011),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performance of rebuilding strategies for overfished groundfish species of the U.S. west coast," Fisheries Research, 109, 320-329. 

  2. Allison, E. H., Perry, A. L., Badjeck, M., Adger, W. N., Brown, K., Conway, D., Halls, A. S., Pilling, G. M., Reynolds, J. D., Andrew, N. L. and Dulvy, N. K. (2009), "Vulnerability of national economies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isheries," Fish and Fisheries, 10, 173-196. 

  3. Cheung, W. L., Pinnegar, J., Merino, G., Jones, M. C. and Barange, M. (2012), "Review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marine fisheries in the UK and Ireland,"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22, 368-388. 

  4. Chung, S., Kim, S., and Kang, S. (2013), "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acific cod catch in the southern East/Japan Sea," Animal Cells and Systems, 17 (5), 374-382. 

  5.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9), Climate change implications for fisheries and aquaculture,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Technical Paper 530,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6. Gary, K. (2000), Analysis of Economic Data, John Wiley & Sons. 

  7. Gujarati, D. (2013), Econometrics by Example, Sigma Press. 

  8. Hollowed, A. B., Barange, M., Beamish, R. J., Brander, K., Cochrane, K., Drinkwater, K., Foreman, M. G., Hare, J. A., Holt, J., Ito, S., Kim, S., King, J. R., Loeng, H., MacKenzie, B. R., Mueter, F. J., Okey, T. A., Peck, M. A., Radchenko, V. I., Rice, J. C., Schirripa, M. J., Yatsu, A. and Yamanaka, Y. (2013), "Projected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marine fish and fisheries,"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70 (5), 1023-1037. 

  9. Hill, R, Griffiths, W. and Lim, G. (2007), Principles of Econometrics, 3rd Edition, John Wiley. 

  10. Hobday, A. J., Poloczanska, E. S., and Matear, R. J. (2008), Implications of Climate Change for Australian Fisheries and Aquaculture: a preliminary assessment,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Australian Government. 

  11.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2. Johansen, S. (1988), "Statistical Analysis of Cointegration Vector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12, 231-254. 

  13. Johansen, S. (1991), "Estimation and hypothesis testing of cointegration vectors in Gaussian autoregressive models," Econometrica, 59, 1551-1580. 

  14. KACCC(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2015), Korea's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http://ccas.kei.re.kr/climate_change_adapt). 

  15. Kim, B. T., Lee, S. G. and Jeong, M. S. (2014), "An Analysis of Fishermen's Perception to Climate Change in Korea,"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5 (3), 71-84. 

  16. Kim, S. S., Lee, M. S., and Choe, Y. C. (2003), "Returns to Investment on Research in Korean Agriculture," Korean J. of Ag. Extension, 10 (1), 57-76. 

  17. Kim, S., Zhang, C. I., Kim, J. Y., Oh, J. H., Kang, S., and Lee, J. B. (2007), "Climate Variability and Its Effects on Major Fisheries in Korea," Ocean Science Journal, 42 (3), 179-192. 

  18.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 KODC(Korea Oceanographic Data Center) (2015), National serial oceanographic obsevation dat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 Korean Fisheries yearbook (1970-2013), Fishing Fleet Statistics, Each year. 

  21. Lee, B. D., Kim, B. T., and Cho, Y. S. (2011),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Regional Fisheries of Korea,"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2 (1), 57-70. 

  22. Leonid, B. K. (1998), "Long-term climate change and main commercial fish production in the Atlantic and Pacific," Fisheries Research, 37, 115-125. 

  23. Lu, H. J. and Lee, H. L. (2014), "Changes in the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zones of the Kuroshio Current and China Coastal Current during periods of climate change: Observations from the set-net fishery (1993-2011)," Fisheries research, 155, 103-113. 

  24. Matthew, F., Hohn, M. B., Paul, J. B., Martyn, C., Stephen, R. D. and Narumon, W. H. (2012),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ish, fisheries and aquaculture,"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22, 331-336 

  25. Min, I. S. and Choi, P. S. (2014), STATA Time Series Data Analysis, Media Jiphil,, 87-92. 

  26. Oistein, H. and Alf, H. H. (2013), "Climate change and adaptive capacity in fisheries management: the case of Norway," Int Environ Agreements, 13, 49-63. 

  27. Park, K. I. and Kim, D. H. (2013), "Analyzing Investment Effects of Fisheries R&D Projects : A case of NFRDI's R&D projects," Journal of The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4 (2), 1-9. 

  28. Park, S. K., Kwon, H. J., Park, J. W. and Cha, C. P. (2010), "Bio-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Change and Fisheri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2 (3), 388-401. 

  29. Pranovi, F., Caccin, A., Franzoi, P., Malavasi, S., Zucchetta M. and Torricelli, P. (2013), "Vulnerability of artisanal fisheries to climate change in the Venice Lagoon," Journal of Fish Biology, 83, 847-864. 

  30. Ragnar, A. (2007), "Climate change and Fisheries: Assessing the economic impact in Iceland and Greenland," Natural Resource Modeling, 20 (2), 163-197. 

  31. Seo, Y. I., Chung, Y. H. and Kim, D. H. (2014), "An analysis on the relation ship between prices and catch amounts of sandifish using a cointegration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50 (4), 502-510. 

  32. Seong, K. T., Hwang, J. D., Han, I. S., Go, W. J., Suh, Y. S. and Lee, J. Y. (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 (4), 353-360. 

  33. Song, I. H. and Jung, W. S. (2002), Econometric Analysis using SAS and Eviews, Samyungsa, 317-359. 

  34. Statistics Korea KOSIS (2015), Survey on Fishery Production (http://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