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가뭄기상시나리오 모델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Model of Drought Climate Scenarios for Agricultural Drought Mitigatio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4 no.2, 2012년, pp.67 - 75  

유승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연수연구원) ,  최진용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남원호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김태곤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고광돈 (한국농어촌공사 수자원관리처 수자원운영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t from other natural hazards including floods, drought advances slowly and spreads widely, so that the preparedness is quite important and effective to mitigate the impacts from drought. Evaluation and forecast the status of drought for the present and future utilizing the meteorological s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호우의 경우, 농업용 수리 시설물이나 작물에 있어서 무효 월류량 등으로 유출되어 비록 강수량이 많을지라도 농업적인 측면에서 보면 그 사용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장 및 유역에서의 강우로 인하여 농업용수로 사용될 수 있는 강우량을 유효우량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를 위해서는 강우량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이용한 유효우량 산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효우량의 상한과 하한 설정은 목적 및 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가뭄이 발생했던 기록을 바탕으로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가뭄단계별 기상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저수지물수지분석 및 토양수분모델에 적용하였다. 기상시나리오를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상 인자간의 의존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뭄단계별 기준년도를 설정하고, 과거 기상 패턴을 이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가뭄이 발생했던 기록을 바탕으로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가뭄단계별 기상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기상 인자간의 의존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뭄단계별 기준년도를 설정하고, 과거 기상 패턴을 이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가뭄기상시나리오는 추계학적 방법을 통한 수문자료 발생이 아닌 과거에 발생했던 가뭄 사상이 현 상황에서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즉, 5월 31일 현재 상태에서 향후 ‘1994년 6월 정도’의 기상 조건이 유지된다면 향후 가뭄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한 가뭄기상시나리오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 즉, 5월 31일 현재 상태에서 향후 ‘1994년 6월 정도’의 기상 조건이 유지된다면 향후 가뭄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한 가뭄기상시나리오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기상 패턴을 이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적용시킨 결과는 무엇인가? 본 모델을 바탕으로 수원과 이천 지역의 가뭄기상시나리오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마둔 저수지의 저수용량과 고삼 저수지 유역의 토양수분모델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가뭄기상 시나리오 모델은 과거 강우 사상을 적용하기 때문에 강우 발생 시기에 따라 시나리오 분석 결과가 일부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가뭄기상시나리오의 설정 기간인 1개월 이후에서는 비교적 적정한 결과를 나타났다. 따라서 1개월 미만의 단기 예측보다는 2~3개월 이상의 장기 예측에서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계획기준년 방법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관개시설의 설계 기준에서는 저수지 필요저수용량과 하천의 취수가능량 등의 농업용 수리시설물 수문량의 설계빈도를 산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계획기준년 방법과 확률처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계획기준년 방법은 유효우량, 연속한발일수, 증발량 또는 하천유량 등의 수문량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년도의 수문자료를 확률처리하여 10년빈도에 해당되는 특정 연도를 계획기준년으로 결정하고, 그 연도의 필요저수용량 또는 하천 취수가능량을 통계수문량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MAF, 1998a).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뭄지수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06). 가뭄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뭄지수는 파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및 지표면 물공급지수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등이 있는데, 이처럼 국내의 수문, 기상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가뭄지수를 사용하고 있다. 농업수자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가뭄지수는 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한 평년 강우 지수, 무강우 지수 및 과우일수, 농업용저수지의 저수량을 바탕으로 한 월평균 저수율 및 PDI (Paddy Drought Index), IRWSI (Irrigation Reservoir Water Supply Index), 토양수분을 바탕으로 한 SMI (Soil Moisture Index), 농업용저수지의 저수량, 유입량 등을 고려한 ASWSI (Agricultural Surface Water Supply Index), 농업용수리시설의 물수지 네트워크를 고려한 MODSIM (Modified SIMYLD) 등이 활용되고 있다 (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S. R, G. A. Park, Y. H. Shin and S. J. Kim, 2009a. Assessment of the Potential Water Supply Rate of Agricultural Irrigation Facilities Using MODSIM - For Geum River Bas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10): 825-843 (in Korean). 

  2. Ahn, S. R., J. Y. Park, I. K. Jung, S. J. Na and S. J. Kim, 2009b.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SWSI in Geum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5): 35-49 (in Korean). 

  3. Bae, S. J., H. W. Chung and J. Y. Choi, 1999. Agricultural Drought Analysis using Soil Water Balance Model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1(6): 33-43 (in Korean). 

  4. Chow, V. T., 1951. A General Formula for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32: 231-237. 

  5. Chung, H. W., S. J. Kim, J. S. Kim, J. K. Noh, K. W. Park, J. G. Son, K. S. Yoon, G. H. Lee, N. H. Lee, S. O. Chung, J. D. Choi and J. Y. Choi, 2009.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Seoul: Dongmyeongsa. 

  6. Fread, D. L., 1998. A Perspective on Hydrologic Prediction Trends. Special Symposium on Hydrology AMS, Phoenix, Arizona. 

  7. Hong, E. M., J. Y. Choi, S. H. Lee, S. H. Yoo and M. S. Kang, 2009. Estimation of Paddy Rice Evapotranspira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LARS-W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3):25-35 (in Korean). 

  8. Jang, M. W., H. W. Chung, J. Y. Choi, K. W. Park and B. S. Jong, 2004. Development of A Single Reservoir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Pad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6(3): 17-30. 

  9. Kim, H. Y. and S. W. Park, 1988. Simulating Daily Inflow and Release Rates for Irrigation Reservoirs (III) - Model Application to Daily Reservoir Operation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0(3): 95-105 (in Korean). 

  10. Jeong, D. I. and Y. O. Kim, 2002. Forecasting Monthly Inflow to Chungju Dam using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22(3B): 321-331. 

  11. Kim, O. K., J. Y. Choi, M. W. Jang, S. H. Yoo, W. H. Nam, J. H. Lee and J. K. Noh, 2006. Watershed Scale Drought Assessment using Soil Moisture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6): 3-13 (in Korean). 

  12. Kim, S. J., K. Y. Lee and S. J. Kang, 1998. Statistical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 Water Suppl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0(4): 58-66 (in Korean). 

  13. Kim, Y. O., D. I. Jeong and H. S. Kim, 2001. Improving Water Supply Outlooks in Korea with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Water International 26(4): 563-568. 

  14. Lee, S. J., J. C. Kim, M. H. Hwang and S. J. Maeng, 2010. Forecasting Monthly Runoff Using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1): 13-18 (in Korean). 

  15.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1998a. Design Criteria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Plan for Agriculture (Irrigation).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Korean). 

  16.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1998b. Development of Calamity Preventing and Restoration Affairs Supporting System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Korean). 

  17. Nam, W. H., J. Y. Choi, S. H. Yoo and B. A. Engel, 2012. A Real-time Online Drought Broadcast System for Monitoring Soil Moisture Index.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6(3): 357-365. 

  18. Nam, W. H., S. H. Yoo, J. Y. Choi and M W. Jang, 2008. Analysis of Autumn Drought using Soil Moisture Index. KCID (Korea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15(1): 21-33 (in Korean). 

  19. Park, K. W., J. T. Kim, U. J. Ju and Y. J. Lee, 2006. Application of Drought Indices for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KCID (Korea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13(1): 72-8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