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이 소아·청소년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Growth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Based on Sleeping Symptom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7 no.2, 2013년, pp.20 - 30  

홍효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덕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leep is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and adolescent's growth.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is to examine the frequency of symptoms associated with slee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the impact in their growth. Methods This study had used questionnaire targeting 1001 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한 곳의 한방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한 만 2-18세의 일반 환자와 다른 한 곳의 초등학교 저학년 총 10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코골이 54.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의 빈도를 알아보고, 증상의 정도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단면연구이다.
  • 이에 저자는 소아·청소년의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의 빈도를 알아보고, 각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소아·청소년의 수면이 성장에 중요함을 알리고자 한다.
  • 이에 저자는 소아·청소년의 수면의 질을 떨어지게 하는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의 빈도를 알아보고, 각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표본의 수가 충분해 정규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모수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증상에 따른 체중 백분위수와 BMI 백분위수의 평균값 비교는 Independent samples t-test나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이란? 최근 소아·청소년에게 성장은 큰 화두이다. 성장이라 함은 측정 가능한 키, 몸무게, 장기의 무게 등이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1) , 先後天的인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의학에서 성장의 先天的요인으로 “所以肥瘦長短 大小姸媸 皆肖父母也”라 하여 부모가 물려준 유전적 소인을 중시하였으며, ‘腎爲先天之本’으로 腎精과 腎陽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한의학에서 이야기하는 성장의 先天的요인은 무엇이며 무엇을 중시하는가? 성장이라 함은 측정 가능한 키, 몸무게, 장기의 무게 등이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1) , 先後天的인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의학에서 성장의 先天的요인으로 “所以肥瘦長短 大小姸媸 皆肖父母也”라 하여 부모가 물려준 유전적 소인을 중시하였으며, ‘腎爲先天之本’으로 腎精과 腎陽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後天的 요인은 ‘脾爲後天之本’으로 肌肉과 四末을 주관하며, 氣血生化之原이 되어 先天의 腎을 유양시키는 脾의 기능을 중시하였다2) .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1. 수면 시 동반되는 증상 중 코골이가 54.9%, 이갈이가 34.2%, 잠꼬대가 31.5%, 야경증이 17.1%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코골이를 자주 하는 군이 코골이를 하지 않거나, 가끔 하는 군에 비해 (p=0.008**), 야경증이 있는 군이 야경증이 없는 군에 비해 (p=0.016*) 신장 백분위수가 낮았다. 3. 잠꼬대를 하는 군이 잠꼬대를 하지 않는 군에 비해 체중 백분위수가 낮았다 (p=0.022* ). 4. 잠꼬대를 하는 군이 잠꼬대를 하지 않는 군에 비해 (p=0.018*), 몽유증이 있는 군이 몽유증이 없는 군에 비해 (p=0.045*) BMI 백분위수가 낮았고, 수면 무호흡증이 자주 있는 군이 수면 무호흡증이 없거나 가끔 있는 군에 비해 (p=0.039*) BMI 백분위수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 HS. Textbook of pediatrics, 9th ed. Seoul: Korea Textbook Publishing Co. 2010:20-53. 

  2. Lee YJ, Baek JH, Ko MJ, Seo JM. Herbal Medicine Promotes Growth of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1):49-62. 

  3. Choi MH, Lee JY. A pilot study for analysi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final adult height.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3):57-69. 

  4. Kim DS. Sleep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t Pediatric Clinics. Master's Thesis of Eulji University. 2011:1-19. 

  5. Jonathan L, Ronald EB, Sanjeev VK. Insomnia in childhood. Curr Opin Pediatr. 2008;20(6):641-9. 

  6. Lee SM, Chi GY, Eom HS. Analyses on Physiological Meanings of Yin Yang through Comparison of Ying-Wei Theory and Sleep-Awakening System.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5;19(5):1154-61. 

  7.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Ministe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5 Life Regulations for the Prevention of Sleep Apnea Syndrome. 2012. 

  8. Seo WS, Koo BH, Kim MJ, Rho YH, Sung HM, Shin JH. Preliminary study of children's sleep problems in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 2008;19:156-61. 

  9. Cho SJ, Kim EY, Rho YI, Yang ES, Park YB, Moon KR, Lee CG.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Snoring in School-aged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2002;45(11):1340-5. 

  10. Yoon JM, Lee HR, Lee KH.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7;15(2):185-91. 

  11. Park YJ, Yoon JY.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Growth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Day-care center Children's Sleeping patterns and Diet pattern in Seongdong-district. J Korean Orient Pediatr. 2009; 23(2):159-78. 

  12. Lee MJ, Chang GT, Han YJ. A study on the Growth, Quality of sleep of children with Chronic Rhinitis. J Korean Orient Pediatr. 2008;22(2):125-39. 

  13. Bonuck K, Parikh S, Bassila M. Growth failure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06;70:769-78. 

  14. Xiao HC, Xiu CL, Qing QH, Chen YY, Yong HZ, Miao SS, Ya PZ, Yun LH, Liang XW. Multiple System Morbidities Associated With Children With Snore Symptom. Pediatric Pulmonol. 2013;48(4):381-9. 

  15. Kelly-Pieper K, Lamm C, Fennoy I. Sleep and obesity in children: a clinical perspective. Minerva Pediatr. 2011;63(6):473-81.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Pediatrics. Standard Growth Char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Explanation. 2007. 

  17. Choi MH, Kim DG, Lee JY. Effect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J Korean Orient Pediatr. 2010;24(3):140. 

  18. Choi YG. Endocrinology. Seoul:Ui Hak Publishing Co. 1994:603-13. 

  19. Christopher JM, Daniel A, Frank AJL. Scheer. Circadian system, sleep and endocrinology. Mol Cell Endocrinol. 2012;349:91-104. 

  20. Kim JK, Shin C, Lee CK, Lee SG. Sexual Difference of Nocturnal GH and Cortisol Secretion in Prepubertal Children. J Health Sci Med Technol. 2001;27(1):49-59. 

  21. Manuel GO, Esperazamartinez A, ESPERANZAMARTINEZABUNDIS.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Insulin Secretion, Insulin Sensitivity, and Other Hormonal Regulations. Metab Syndr Relat Disord. 2005;3(1):3-7. 

  22. Jeung EH.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snoring. Master's Thesis of Chonnam University. 1997. 

  23. Kim SJ, Lee YJ, Kim EJ, Jeong DU. Differential Factors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Subjects whose Main Sleep Complaint was Insomnia. Sleep Med Psychophysiol. 2004;11(1):22-8. 

  24. Shenghui L, Xinming J, Chonghuai Y, Shenghu W, Fan J, Xiaoming S. Habitual Snoring in school-aged children: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predictors. Respir Res. 2010;11:144. 

  25. Katja L, Paula V, Eeva TA, Turkka K, Anne P. All snoring is not adenoids in young children.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08;72:879-84. 

  26. Ayhan S, Remzi A, Lokman U, Mehmet BU, Nazan T, Ceyda A, Levent K, Gunay C. Preval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Associated Symptoms in 3-11-Year-Old Turkish Children. Pediatric Pulmonol. 2005;39:251-6. 

  27. Sharon LC, Wayne JM, Natalie P, Stuart FQ. Factors affecting sleep disturban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leep Med. 2000;1(2): 117-23. 

  28. Seo YC, Daniel YTG, Xiao SW, Teng NT, Natalie BHO. Snoring and Atopic Disease: A Strong Association. Pediatric Pulmonol. 2004;38:210-6. 

  29. Suresh K. Parasomnias in childhood. Sleep Med Rev. 2009;13:157-68. 

  30. Kim KB, Kim DG, Kim YH, Kim JH, Lee JY, Chang GT, Chai JW, Han YJ et al.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0:975-6. 

  31. Luc L, Richard ET, Frank V, Jacques M. Development of Parasomnias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Pediatr 2000;106: 67-74. 

  32. Michelle C, Christian G. Families with sleepwalking. Sleep Med. 2010;11:726-34. 

  33. Cha BH. Sleep disorders in childhood. J Korean Pediatr. 2007;50(8):718-25. 

  34. James LG, Monica MV, Graciela ES, Stuart FQ. Incidence and Remission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Related Symptoms in 6-to 17-Year Old Children -The Tucson Children's Assessment of Sleep Apnea Study. J Pediatrics. 2010;157(1):57-61. 

  35. Constanze S, Bernhard S, Rolf H, Dietmar G.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J Orofac Orthop. 2012;73: 1-17. 

  36. Verhulst SL, Schrauwen N, Haentjens RP, Van Gaal L, De Backer WA, Desager KN.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 Pediatr. 2007;150(6):608-12. 

  37. Espa F, Ondzeb B, Deglise P, Billiard M, Besset A. Sleep architecture, slow wave activity, and sleep spindles in adult patients with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Clin Neurophysiol. 2000;111:929-39. 

  38. Park SJ. Neuroendocrine Regulation of Growth Hormone Secretion.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10;15:151-6. 

  39. Cha YY. A Comparative study on effects of Kyungohkgo and Kyungohkgo Ga Nokyung on Growth in Growth Deficiency Rat with insufficient nutrition diet. J Soc Korean Med Obes Res. 2009;9(1):59-69. 

  40. Kong JC, Lee JH, Ko YS, Lee EG, Na C, Park DS, Song YS, Shin BC. The clinical observation on the Growth of Children treated with Korean Herbal Medicine, Diet and Exercise Guidance. J Orient Rehab Med. 2008; 18(3):133-45. 

  41. Daehanhanbangsingyeongjeongsingwahakhoe. Hanbangsingyeongjeongsinuihak. Seoul:Jipmoondang. 2005:239-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