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병원에 내원한 소아청소년기 수면 장애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Analysis of Sleep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ce Visiting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7 no.3, 2013년, pp.65 - 73  

이진화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한재경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윤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08 childr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bigcirc}{\bigcirc}$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May 2013. Results 1. Among 308 patients, there were 188 boys and 120 girls; their ratio was 1.57:1. The age distribution showed that 3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시기의 수면 장애에 관한 한방 의료 내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소아 야제의 임상 특성을 연구한 김14)은 감기와 같은 상한의 증상을 가진 대상은 제외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가 호흡기계 감염을 주소증으로 내원하지 않았으며, 감기의 발병 시점과 수면 장애의 시점이 불일치하는 경우를 포함시켜 조사하였다.
  • 이에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기의 수면 장애의 연령 분포 및 원인, 수면 장애 양상, 동반 질환에 대한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여 수면 장애에 대한 임상적 활용과 향후 수면 장애 연구의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제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소아의 수면 장애는 야제가 대표적인데 야제란 소아가 낮에는 정상인데 밤이 되면 아무런 까닭 없이 울거나, 혹은 밤 일정한 시간에 우는 것이다3). 야제의 원인은 전통적으로 夜啼四證이라하여 脾寒, 心熱, 口瘡重舌, 客忤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
야제의 원인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한의학에서 소아의 수면 장애는 야제가 대표적인데 야제란 소아가 낮에는 정상인데 밤이 되면 아무런 까닭 없이 울거나, 혹은 밤 일정한 시간에 우는 것이다3). 야제의 원인은 전통적으로 夜啼四證이라하여 脾寒, 心熱, 口瘡重舌, 客忤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
수면 장애를 초래하는 원인 중 기질적 생물학적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수면 장애를 초래하는 원인은 크게 기질적 생물학적 원인과 정서적, 심리적 원인, 환경적 원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5). 기질적 생물학적 원인은 성별과 연령이 대표적인 변수이며 정서적, 심리적인 원인은 불안, 우울, 갈등, 과자극 상태, 스트레스, 통제의 곤란 등이 있고, 환경적 요인으로는 소음, 조명, 사적인 공간 허용 여부 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원인에 대한 조사는 양육자의 진술에 의하여 수면 장애 발생 시점과 연관이 있는 사건, 사고에 대하여 김14)의 야제에 대한 임상 양상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원인미상, 새로운 환경, 부모와 분리, 안전사고, 교통사고, 질병이후, 큰 소리에 노출 6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adeleine GD. Normal sleep: impact of age, circadian rhythms, and sleep debt. In: Aaron E. Miler, Christina M. Marra, editors. Continuum lifelong learning in neurology sleep disorders. Philadelphia; PA 19106. 2007;13:31-73. 

  2. Kirov R, Kinkelbur J, Banaschewski T, Rothenberger A. Sleep pattern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ic disorder, and comorbidity. J Child Psychol Psychiatr. 2007;48:561-70. 

  3. Oh HS, Kim JH. A literature review of night crying in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1997;11(1)59-88. 

  4. Heo J. Daeyeok Dong-uibogam. Kyungnam: Dong Ui Bo Gam publishing Co. 2006;1850-1. 

  5. Chun SH, Chang CM. A Bibliographic Study about Comparison of Eastern-Western Medicine on Sleep Disturbance and Trend Analysis of Korean Nursing Research. J East-West Nursing Rese. 2009;15(1):43-53. 

  6.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Korean Neuropsychiatric Medicine. The Korean Neuropsychiatry. Pajoo: Jipmoondang. 2007:525. 

  7. Son KK, Park JH, Shon SM, Kim JS, Lee JH, Cho YW. The Prevalences of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n Patients of Pediatric Sleep Disorders, J korea child neurology soc. 2009;17(2):201-8. 

  8. Chung YS. Allergic Rhinitis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J Asthma and Allergy. 2010;30(4):271-4. 

  9. Park KJ. Pathogenesis of Enuresis: Brain, Sleep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Effects.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12;16:9-14. 

  10. Lee SG. A study of the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s in oriental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03;14(2):35-42. 

  11. Kim BS, Jung GM. A literature review of causes and pathology of night crying in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1987;2(1):71-4. 

  12. Lee JY, Lee JW, Kim DG. Analysis of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causes of night crying in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1989;3(1):41-5. 

  13. Maeng HS. Night crying. J Pediatr Korean Med. 1990;4(1):31-2. 

  14. Kim YH, Yoo DY. The Clinical Study of a Children's Night Crying Disease. J Pediatr Korean Med. 1999;13(1):239-252. 

  15. Han JH, Kim DG, Lee JY. Survey Reserch on Factor Inducing Nocturnal Crying. J Pediatr Korean Med. 2013;27(1):26-35. 

  16. Sadeh A, Gruber R, Raviv A. Sleep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 2002;73:405-17. 

  17. Sheldon SH. Introduction to pediatric sleep medicine. In: Sheldon SH, Ferber R, Kryger MH, editors. Principles and practice of pediatric sleep medicine. 1st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Co. 2005:1-12. 

  18. Chae KY. Physiology of sleep. Korean J Pediatr. 2007;50:711-7. 

  19. Mulvaney SA, Goodwin JL, Morgan WJ, Rosen GR, Quan SF, Kaemingk KL. Behavior problems associated with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school-aged childrenthe tucson children's assessment of sleep apnea study. J Pediatr. Psychol 2006;31:322-30. 

  20. Cha BH. Sleep disorders in childhood. Korean J Pediatr. 2007;50:718-25. 

  21. Stein MA, Mendelsohn J, Obermeyer WH, Amromin J, Benca R. Sleep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d children. Pediatrics 2001;107:E60. 

  22. Peter JH.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2nd ed. Westchester, Illinos: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05:95-7. 

  23. Lavie P, Gertner R, Zomer J, Podoshin L. Breathing disorders in sleep associated with microarousals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cta Otolaryngol. 1981;92:529-33. 

  24. Young T, Finn L, Kim H. Nasal obstruction as a risk factor for sleep disordered breathing. J Allergy Clin Immunol. 1997;99:757-62. 

  25. Kim KB, Kim DG, Kim YH, Kim JH, Lee JY, Chang GT, Chai JW, Han YJ et al.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0:339, 411. 

  26. Ahn HS, Hongchangui Pediatry 10th edition. Seoul;MiraeN. 2012:12, 31. 

  27. Yoon JM, Lee HR, Lee KH.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2007;15(2):185-191. 

  28. Kim YH, Lee JS, Kim HD, Cho YJ, Kang JH, Kang HC. Clinical evaluation of Sleep Disorder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2010;18(2):187-96. 

  29. Seo HE, Kwon SH, Lee HW, Kim JS. Clinical Analysis of Sleep Disorder in Korean Childhood. J Korea Child Neurol Soc. 2010;18(1):74-82. 

  30. Becker DA, Carney PR. Pediatric and adolescent presentations. In: Carney PR, Berry RB, Geyer JD, editors. Clinical sleep disorders. 1st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136-46. 

  31. Wessel MA, Cobb JC, Jackson EB, Harris GS Jr, Detwiler AC. Paroxysmal fussing in infancy, sometimes called colic. J Pediatr. 1954;14:421-35. 

  32. Lee SY. Korean Treatment of Pollakiuria. Seoul;Openbooks. 1994;87. 

  33. Kim NY, Jeong JH, Lim HK, Seo HJ, Hong SC. Sleep Patterns in Male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y Actigraphy. Korean J Psychopharmacol. 2012;23:107-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