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미생물에 따른 인삼꽃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Flower-buds Fermented with Various Microorganism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663 - 669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다미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변명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윤영식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인삼꽃의 이용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subtilis(BS), Lactobacillus plantarum(LP), Lactobacillus casei(LC), Candida utilis(CU),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Y1),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ZP 541(Y2), 혼합발효(M) 등의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꽃을 발효시킨 후 미생물별 인삼꽃 발효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변화를 탐색하였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무발효 추출물은 인삼꽃 발효물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효 균주 중에서는 BS로 발효한 발효물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BS 발효물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FRAP value(10 mg/mL)는 무발효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BS 발효물과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력 측정 결과, 대체적으로 무발효 추출물에 비해 미생물 발효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C 발효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인삼꽃 발효의 경우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할 경우 다른 균주들을 이용하는 것보다 항산화 활성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며 다른 생리활성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the use of ginseng flower-buds, antioxidant activities of ginseng flower-buds fermented using a variety of useful microorganisms were analyzed. Non-fermented grape pomace was used as a control, while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Bacillus subtilis (BS), Lactobacillus plantarum (L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밖에도 백삼, 홍삼과 대비하여 발효인삼의 일반성분에 대한 성분 특성을 분석한 보고도 있으며(8), 인삼을 비롯한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하여 발효하거나 또는 첨가하여 식품의 기능성 강화,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켜 발효식품으로써 개발하려는 연구가 시도되었다(9). 따라서 인삼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인삼꽃을 발효할 경우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생성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인삼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포닌 함량을 지니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이용 정도가 미비한 인삼꽃을 대상으로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꽃을 발효시킨 후 여러 미생물별 인삼꽃 발효에 따른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여 향후 화장품 등의 산업원료 소재 및 사료 첨가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인삼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인삼꽃의 이용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subtilis(BS), Lactobacillus plantarum(LP), Lactobacillus casei(LC), Candida utilis(CU),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Y1),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ZP 541(Y2), 혼합발효(M) 등의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꽃을 발효시킨 후 미생물별 인삼꽃 발효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변화를 탐색하였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무발효추출물은 인삼꽃 발효물에 비해 유의적(p<0.

가설 설정

  • 3)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p<0.05).
  • 3)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꽃은 어떠한 성분이 많은가? 지상부에 속하는 인삼의 꽃은 ginsenoside 함량이 뿌리보다 많고 그 종류도 뿌리와 유사하다. 꽃에서는 Rb2, Rc, Rd, Re, Rg1 및 총 ginsenoside가 많으며, 특히 꽃에서의 Re 함량은 채취시기와 관계없이 월등히 많았는데 잎과 줄기와는 달리 채취시기별 함량변이도 거의 없다(3). 뿐만 아니라 채종하지 않는 꽃은 인삼의 뿌리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제거되므로 이들의 활용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인삼이란 무엇인가? A. Meyer)은 오가피과(Araliaceae)에 속하는 반음지성 식물로써 동양의학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약재이다. 일반적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며 자연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약리 효능의 과학적 입증과 임상을 근거로 인식과 신뢰가 높으며,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삼의 뿌리에는 어떠한 성분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며 자연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약리 효능의 과학적 입증과 임상을 근거로 인식과 신뢰가 높으며,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삼의 뿌리에는 사포닌, 지용성 성분, 산성다당류, 페놀 화합물, 함질소 화합물 및 펩타이드, 유리당, 유리산, 비타민, 무기성분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 인삼 사포닌인 ginsenoside는 우수한 약리 효과가 있다(1,2). 이처럼 인삼의 뿌리에 관한 성분 및 효능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고 유용 성분의 이용을 목적으로 홍삼, 홍삼추출농축액, 파우치 등으로 가공하거나 한약재료로 사용되고 있지만, 잎을 포함한 지상부는 거의 약용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NR, Han JS, Kim JS, Choi JE. 2011.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ginsenoside content and quality in ginseng (Panax ginseng) flower water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271-275. 

  2. Nam KY. 2005.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29: 1-18. 

  3. Choi JE, Li X, Han YH, Lee KT. 2009. Changes of saponin contents of leaves, stems and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A. Meyer by harvesting day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251-256. 

  4. Kim HG, Kim KY, Cha CJ. 2007. Screening for ginsengfermenting microorganisms capable of biotransforming ginsenosides. Korean J Microbiol 43: 142-146. 

  5. Senthil K, Veena V, Mahalakshmi M, Pulla R, Yang DC, Parvatham R. 2009. Microbial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minor ginsenoside Rd by Indian fermented food bacteria. Afr J Biotechnol 8: 6961-6966. 

  6. Park SJ, Kim DH, Paek NS,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88-94. 

  7. Ramesh T, Kim SW, Sung JH, Hwang SY, Sohn SH, Yoo SK, Kim SK. 2012.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GINST)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major organs of aged rats. Exp Gerontol 47: 77-84. 

  8. Kong BM, Park MJ, Min JW, Kim HB, Kim SH, Kim SY, Yang DC.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fermented and red ginseng extracts. J Ginseng Res 32:238-243. 

  9. Kim NY, Han MJ. 2005. Development of ginseng yoghurt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spp.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75-584. 

  10.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2. 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13.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6. 

  14.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 307-315. 

  15. Alpen EL, Mandel HG. 1960. A rapid assay method for tritium in bacterial cells. Biochim Biophys Acta 43: 317-321. 

  16.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17. Doh ES, Chang JP, Lee KH, Seong NS. 2010. Ginsen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255-265. 

  18. Ahn SI, Heuing BJ,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19.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 353-358. 

  20. Kim KS, Lee KH, Choi KJ, Kwak YK, Sim KS, Lee KH, Chung HY. 1996. Screening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red ginseng saponin. Korean J Ginseng Sci 20: 173-178. 

  21.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3. Kim SJ, Kim SM, Kang SW, Um BH. 2010. The rapid detection of antioxidants from safflower seeds (Carthamus tinctorius L.) using hyphenated-HPLC techniqu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14-419. 

  24. Griffin SP, Bhagooli R. 2004. Measuring antioxidant potential in corals using the FRAP assay. J Exp Mar Biol Ecol 302: 201-211. 

  25. Ku KM, Kim HS, Kim BS, Kang YH.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pepper leaves from various cultivars and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J Appl Biol Chem 52: 70-76. 

  26. Ryu JS. 2012.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functions of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ermented by Phelinus linteus mycelia.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Chunan, Korea. p 66. 

  27. Chaiyasut C, Kumar T, Tipduangta P, Rungseevijitprapa W. 2010. Isoflavon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ai fermented soybean and its capsule formulation. Afr J Biotechnol 9: 4120-4126. 

  28.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3-738. 

  29. Duh PD.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burdock (Arctium lappa Linne): Its scavenging effect on free-radical and active oxygen. J Am Oil Chem Soc 75: 455-4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