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종발효미생물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의 항산화 활성 및 향기성분 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Mulberry Wine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B-8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7, 2014년, pp.1017 - 1024  

채규서 ((재)고창복분자연구소) ,  정지혜 ((재)고창복분자연구소) ,  윤해훈 ((재)고창복분자연구소) ,  손락호 ((재)고창복분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MBB)와 시판건조효모 Fermivin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MBF)의 발효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고,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 종의 제조된 발효주와 오디생과 착즙액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 활성, ABTS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로 발효한 발효주의 향기성분을 Fermivin 발효주의 향기성분과 비교하여 풍미나 식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S. cerevisiae B-8은 국내 복분자로부터 분리된 토종발효미생물이며, 이와 Fermivin을 각각 오디에 $1{\times}10^9$ CFU/kg으로 접종하여 $25^{\circ}C$에서 10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BF의 최종 품질은 알코올 15.44%, 당도 $11.2^{\circ}Bx$, 산도 0.75%로 발효 속도는 MBB보다 약 2배 정도 빠르며 최종 알코올 생성량이 약 1% 정도 높아 우수한 알코올 생성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MBF가 $1.90{\pm}0.02$ GAE mg/mL, MBB는 $1.97{\pm}0.01$ GAE mg/mL로 Fermivin보다 토종발효미생물인 S. cerevisiae B-8로 발효한 MBB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MBB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0.57{\pm}0.01$ RU mg/mL)은 MBF와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며, MBJ보다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검증을 위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IC_{50}$ 값을 비교한 결과 오디 착즙액보다 두 종의 발효주의 활성이 증가하였고, MBB($73.62{\pm}0.37{\mu}L/mL$)와 MBF($70.86{\pm}0.79{\mu}L/mL$)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IC_{50}$ 값은 MBB($19.16{\pm}0.25{\mu}L/mL$), MBF($19.90{\pm}0.19{\mu}L/mL$), 착즙액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환원력도 MBB가 MBF보다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여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MBB가 MBF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두 종의 오디 발효주에서 분석된 23개의 휘발성분(Table 4) 중 술의 향기성분에 크게 관여하는 과일향이나 와인향의 풍미를 지닌 ester류 15종과 과일향의 acetate류 1종, aldehyde류 1종과 술의 주성분인 ethyl alcohol을 제외한 alcohol 6종이 분석되었다. Ethyl caprylate와 달콤하면서 견과류 향을 나타내는 decanoic acid, ethyl ester가 MBF보다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드럽고 orris, violet과 같은 oil 특성을 나타내는 tetradecanoic acid, ethyl ester는 MBF보다 MBB가 약 10배 많은 함량을 보였다. 그 외 술의 향미에 크게 관여하는 ester류 화합물이 MBB보다 MBF에서 대체적으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을 이용한 발효주는 시판되는 Fermivin을 이용한 발효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향기성분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풍부한 ester 화합물을 지녀 향미나 식향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의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mulberry wines fermented with traditional microorganisms (Saccharomyces cerevisiae B-8). S. cerevisiae B-8 is a traditional fermentation microorganism isolated from domestically grown Rubus occidentalis. Each S. cerevisiae B-8 and Fermivin was inoculated into 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관심과 활용 가치가 높아진 오디를 이용하여 국내 복분자로부터 분리된 토종발효미생물인 S. cerevisiae B-8(KCCM11415)과 대조군으로 현재 상업적인 주류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S. cerevisiae Fermivin을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품질 특성 확인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토종발효미생물(S. cerevisiae B-8)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MBB)와 시판건조효모 Fermivin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MBF)의 발효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고, 항산화 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 종의 제조된 발효주와 오디생과 착즙액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 활성, ABTS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을 측정 하였다. 또한 토종발효미생물 S.

가설 설정

  • 2)Total polyphenol contents was expressed as mg gallic acid (GAE) per 100 gram.
  • 3)Total flavonoid contents was expressed as mg rutin (RU) per 100 gra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란? 오디(Morus alba,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성숙한 열매로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띠고, 5월에서 6월에 채취하여 식용으로 이용하거나 한약재로 사용하기도 한다(14). 오디는 ‘상 심자’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고 소갈(당뇨)을 덜어주며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제뿐만 아니라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대머리 치료제로써 사용되고 있으며(15), 다량의 안토시아닌계 및 naphthoquinone계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오디의 이명은? 오디(Morus alba,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성숙한 열매로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띠고, 5월에서 6월에 채취하여 식용으로 이용하거나 한약재로 사용하기도 한다(14). 오디는 ‘상 심자’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고 소갈(당뇨)을 덜어주며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제뿐만 아니라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대머리 치료제로써 사용되고 있으며(15), 다량의 안토시아닌계 및 naphthoquinone계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오디에 대한 기능성 연구로는 오디의 항당뇨 효과 (16), 뽕나무 오디추출물의 항염증 항산화 작용에 대한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17), 꾸지뽕나무의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효과(18), 뽕나무와 꾸지뽕나무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연구(19), 품종이 다른 오디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과(20),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 및 항균 활성(21), 오디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능 및 항산화 효과(22) 등의 오디 및 그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다.
대표적 과실 발효주인 포도주 생산에 대부분 사용되는 효모는? 따라서 오디 발효주에 적합한 효모의 선택은 오디 발효주의 맛과 품질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대표적인 과실주인 포도주 생산 시 사용되는 효모 대부분은 Saccharomyces cerevisiae이며 다른 효모에 비하여 가장 많은 알코올을 생산하는 효모라고 보고된 바 있다(23,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Han JH, Song YJ, Park S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aorta relax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1078-1082. 

  2. Azuma K, Kakayama M, Koshio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3. Ham SS, Oh DH, Hong JK, Lee JH.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4.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203. 

  5.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50. 

  6. Morrissey PA,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3-472. 

  7.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8. Jeon HM. 2009. A study on wine selection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by segmentation based on purchase and drinking motive - focused on wine retail shop customers in seoul -.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2: 29-50. 

  9. Bae SM, Park KJ, Kim JM, Shin DJ, Hwang YI, Lee SC. 200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eet persimmon win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66-70. 

  10. Jung GT, Ju IO, Choi DG.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mulberry wine. Korean J Food Preserv 12: 90-94. 

  11.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12. Kang BT, Yoon OH, Lee JW, Kim SH. 2009.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Korean J Food & Nutr 22: 548-553. 

  13. Jung GT, Ju IO, Ryu J, Choi JS, Choi YG. 2003. Studies on manufacture of wine using apricot. Korean J Food Preserv 10: 493-497. 

  14. Park SW, Jung YS, Ko G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J Kor Soc Hort Sci 38: 722-724. 

  15. Kim SK. 1991. Benefical medicine, mulberry fruit. In Bonchohak. Younglimsa, Seoul, Korea. p 598-605. 

  16.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17. Kim SY, Park KY, Lee W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204-209. 

  18.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19. Kim HJ, Cha JY, Choi ML,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20. Cho YJ, Chun SS, Lee KH, Kim JH, Kwon HJ, An BJ, Kim MU. 2006.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by extracts from mulberry fruits (Morus albb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5-20. 

  21. Kim HB, Kim SY, Lee HY, Kim SL, Kang SW. 2005.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Crop Sci 50: 220-223. 

  22.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 Nutr 24: 204-209. 

  23. Kim DS. 1998. Food fermentation microbiology. Yu Han Pub. Co., Seoul, Korea. p 250. 

  24.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Shin DH. 2006.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2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2-35. 

  26.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7. Lee SY, Shin YJ, Park JH, Kim SM, Park CS. 2008. An analysis of the Gyungokgo's ingredients and a comparison study on anti-oxid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kinds of extract. Kor J Herbology 23: 123-136. 

  28. Kwak JH, Choi GN, Par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ic Life Sci 44: 57-66. 

  29.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USA. p 176-180. 

  30. Chang CC, Yang MH, Chen JC. 2002.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s. J Food Drug Anal 10: 178-182. 

  31. Jeong HS, Han JG,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Y, Lee H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nano-encapsul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83-89. 

  32. Choi JS, Lee JH, Park HJ,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diana. Kor J Pharmacogn 24: 299-303. 

  33. Yook HS, Kim KH, Jang SA.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pomace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53-1358. 

  34. Arts MJ, Haenen GR, Voss HP, Bast A. 2004.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Toxicol 42: 45-49. 

  3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36.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37. Kim YJ, Song GC, Lee YH, Jang GH, Jeong ST, Jeong C. 2012. Fruit Wine: Science and Application. Soohaksa, Seoul, Korea. p 384-400. 

  38. Lee Y, Kim JC, Hwang KT, Kim DH, Jung C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 fermented with different yea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84-791. 

  39.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15-120. 

  40.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ark YG,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134. 

  41. Kwon HN. 2013. The effect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extracts as cosmetic materials. J Investigative Cosmetology 9: 221-227. 

  42. Wang M, Shao Y, Li J, Zhu N, Rangarajan M, LaVoie EJ, Ho CT. 1999. Antioxidative phenolic glycoside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Nat Prod 62: 454-456. 

  43.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ic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726. 

  44. Jeong CH, Choi GN, Kim JH, Kwak JH, Heo HJ, Shim KH, Cho BR, Bae YI, Choi JS. 2009.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sition of hot water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J Food Sci Nutr 14: 283-289. 

  45. Arctand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aroma chemicals). Allured Publishing Co., Carol Stream, IL, USA. Vol I. 

  46. Arctand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aroma chemicals). Allured Publishing Co., Carol Stream, IL, USA. Vol II.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