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실태조사 및 영양교육에 따른 효과 평가
Survey of Daily Caffeine Intakes from Children's Beverage Consump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6, 2009년, pp.709 - 720  

김성단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윤은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장민수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박영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정선옥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동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연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민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서울시내에 유통 중인 음료 140건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을 파악하였으며, 서울시내 강남 북에 위치한 3개 학교 9학급 26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을 설문조사하여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의 위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카페인 섭취를 줄이자"라는 제목으로 여름방학 전에 강의, 프레젠테이션 및 동영상을 활용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여름방학 후에 음료의 선호도와 섭취횟수를 다시 설문조사하여 교육 전 후의 실생활에서 카페인에 대한 인식과 섭취량의 변화를 토대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육대상의 연령은 $6{\sim}7$세(2학년)가 88명(33.0%), $8{\sim}9$세(4학년)가 95명(35.6%) 및 $10{\sim}11$세(6학년)가 84명(31.4%)이었으며, 아동의 성별은 남아 142명(53.2%), 여야 125명 (46.8%)으로 연령별 및 성별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어린이들의 음료에 대한 선호도는 탄산음료(27%) 및 과실 채소음료(27%)> 이온음료(26%)> 초콜릿음료(7%)> 유제품(6%)>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3%)> 녹차음료(2%)> 홍차음료(1%) > 커피(1%)의 순서였다. 유통 중인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은 커피($33.8{\pm}2.4{\sim}49.1{\pm}5.6\;mg/100\;mL$)> 커피우유 ($10.6{\pm}3.3\;mg/100\;mL$)> 콜라($6.0{\pm}2.4\;mg/100\;mL$)> 녹차, 홍차, 및 우롱차함유 액상차($2.3{\pm}1.9{\sim}4.1{\pm}0.6\;mg/100\;mL$) > 초콜릿우유 및 음료($1.6{\pm}0.7{\sim}1.7\;mg/100\;mL$)> 홍차함유 고형추출차($1.3{\pm}1.7\;mg/100\;mL$) 순서로 높았다. 유통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어린이들의 음료 섭취빈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전체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5.9{\pm}11.2$ mg/person/day이었다.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이 $8{\sim}9$세는 $0.0{\sim}22.0$ mg/person/day(평균 $4.2{\sim}5.6$ mg/person/day) 그리고 $10{\sim}11$세는 $0.0{\sim}80.5$ mg/person/day(평균 $7.9{\pm}13.1$ mg/person/day)로 연령이 높아 질수록 섭취량이 늘어났으며, 성별에 따른 섭취량은 남자가 $0.0{\sim}80.5$ mg/person/day(평균 $6.9{\pm}12.8$ mg/person/day), 여자가 $0.0{\sim}67.5$ mg/person/day(평균 $4.8{\pm}9.0$ mg/person/day)로 남자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높았다. 또한 어린이들이 카페인을 섭취하게 되는 음료의 유형은 커피 57%(평균 3.4 mg/person/day)> 커피우유 20%(평균 1.2 mg/person/day)> 탄산음료 15%(평균 0.9mg mg/person/day)> 초콜릿우유 6%(평균 0.4 mg/person/day)>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 2%(평균 0.1 mg/person/day)의 비율이었다. 교육전 후 카페인함유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음료의 선호도 변화는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선호도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3.25, 2.50 및 3.30에서 교육 후 3.07(t=2.084), 2.29(t=2.174) 및 3.04(t=3.002)로 감소하였다. 즉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1)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자 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선호도변화는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청량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aily caffeine intakes in beverag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caffeine contents of 140 commercial beverages were analys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HPLC-U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어린이들에게 카페인의 유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유도할 수 있는 영양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음료의 종류, 음료의 선호도 및 음료의 섭취량을 조사하고, 시중에 유통 중인 어린이 기호음료의 카페인 함량을 조사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의 노출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카페인에 대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어린이들이 카페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생활에서의 실천을 유도하여 영양교육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음료의 종류, 음료의 선호도 및 음료의 섭취량을 조사하고, 시중에 유통 중인 어린이 기호음료의 카페인 함량을 조사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의 노출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카페인에 대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어린이들이 카페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생활에서의 실천을 유도하여 영양교육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음료 조사 중, 카페인 함유음료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제시한 6개의 설문항목은? 위와 같이 선호도와 섭취량 조사를 위해 자체개발한 설문조사지를 이용한 본 조사에서는 작성자의 성별, 나이, 몸무게 및 키를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교육대상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음료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음료의 종류를 제시하고 ‘좋아하는 음료의 종류를 순서대로 쓰세요’에 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카페인 함유음료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총 6개의 설문항목인 ‘탄산음료를 좋아하나요?’, ‘이온음료를 좋아하나요?’, ‘커피를 좋아하나요?’, ‘커피가 들어있는 음료를 좋아하나요?’, ‘초콜릿이 들어있는 음료를 좋아하나요?’,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를 좋아하나요?’ 제시하였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에 해당하는 개별음료의 종류를 설문조사 지에 나열하고 실물을 제시하였으며, 5점 척도 Likert scale 을 이용하여 ‘매우 싫어한다’, ‘싫어한다’, ‘보통이다’, ‘좋아한다’, ‘매우 좋아한다’에 순차적으로 각 1점에서 5점을 부여하여 점수로 환산하였다.
최근 어린이들의 식습관 변화의 원인은? 최근 가공식품의 발달, 가계소득수준의 향상, 맞벌이 가족의 증가로 어린이들의 식습관이 많이 변화되었다. 특히 어린이들의 사교육활동 및 용돈증가와 TV나 잡지, 인터넷 등의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광고에 대한 노출빈도의 증가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충족을 위한 직접 소비행동을 촉진시켜, 독립적인 식품선택과 구매행동을 증가시켰다(1,2).
카페인은 신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카페인은 1,3,7-trimethylxanthine으로서 커피나 차, 콜라 등의 음료수에 함유되어 널리 섭취되는 약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카페인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자극하는 작용이 있어 적당량을 섭취하면 피로감을 줄이고 집중력을 늘리면서 사고를 신속하고 분명하게 하여 지적 작업 능력을 증가시키고 졸음을 쫓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 과잉섭취 시에는 신경과민, 흥분, 불면 등을 유발하고, 위장, 소장, 결장, 내분비계에도 영향을 미치며, 성인의 경우 2~6 시간 만에 대사되어 분해되며 24시간 안에 소변으로 배출된다(4-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H. 2004.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453-463 

  2. Lee KW, Lee HS, Lee JM. 2005.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of self-purchasing snac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0: 594-602 

  3. Kim BS, Lee KA. 2005. Comparisons of the daily activities and energy expenditures of normally-weighted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8: 827-855 

  4. Lee EN, Kim JK, Im JY, Kim JA, Park HY, Ryu JY, Ko KR, Kim HS. 2007. Survey of caffeine levels in the favorite diets of children. J Fd Hyg Safety 22: 173-178 

  5. Tonychou MD. 1992. Wake up and smell the coffee-caffeine, coffee and the medical consequences. West J Med 157: 544-553 

  6. Kunugi A, Aoki T, Kunugi S. 1988. Determination caffeine in coffee, black tea and green te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Food Hyg Soc Japan 29: 136-140 

  7. Regestein QR. 1981. Pathologic sleepiness induced by caffeine. Am Med 588: 425-429 

  8. Goldsteine A, Warren R, Kaizer S. 1965. Psycho tropic effects of caffeine I. Individual difference in sensitivity of caffeine- induced wakefulness. J Pharmacol Exp Ther 149: 156-159 

  9. Castellanos FX, Rapoport JL. 2002. Effects of caffeine on development and behavior in infancy and childhood: a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Food Chem Toxicol 40: 1235-1242 

  10. Christian MS, Brent RL. 2001. Teratogen update: evaluation of th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risks of caffeine. Teratology 64: 51-78 

  11. Hering-Hanit R, Gadoth N. 2002. Caffeine-induced headach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ephalalgia 23: 332-335 

  12. Nawrot P, Jordan S, Eastwood J, Rotstein J, Hugenholtz A, Feeley M. 2003. Effects of caffeine on human health. Food Addit Contam 20: 1-30 

  13. Grosso LM, Rosenberg KD, Belanger K, Saftlas AF, Leaderer B, Bracken MB. 2001. Maternal caffeine intake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Epidemiology 12: 447-455 

  14. Savoca MR, Evans CD, Wilson ME, Harshfield GA, Ludwig DA. 2004. The association of caffeinated beverages with blood pressure in adolescents. Arch Pediatr Adolesc Med 5: 473-477 

  15. Yun JH, Cho SD, Kim SY, Lee EJ, Park HK, Kim MC, Kim GH. 2008. Study on suggestions for the nutritional and hygienic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quality certification in children's preferable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89-597 

  1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3. The Analysis Method of Food Additives in Food. Seoul, Korea. p 11-1-1-11-1-4 

  17. Syed IB. 1976. The effects of caffeine. J Am Pharm Assoc NS16: 568-572 

  18. Yoon JO, Kwon KI. 1993. Amount of caffeine in caffeine containing products, and the pattern of caffeine consumption. Kor J Clin Pharm 3: 21-30 

  19. It's your health. Caffeine: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Health. 2006. http://www.hc-sc.gc.ca/iyh-vsv/alt_formats/cmcd-dcmc/pdf/caffeine_e.pdf. Accessed Dec. 16, 2007 

  20. Axelrod J, Reichenthal J. 1953. The fate of caffeine in man and a method for its estimation in biological material. J Pharmacol Exp Ther 107: 519-523 

  21. Burg AW. 1975. Physiological disposition of caffeine. Drug Metab Rev 4: 199-228 

  22. Barone JJ, Roberts HR. 1996. Caffeine consumption. Food Chem Toxicol 34: 119-129 

  23. Dews PB. 1982. Caffeine. Annu Rev Nutr 2: 323-341 

  24. Botani M, Litini R, Galletti F, Young JF, Tognani G, Garattinni S. 1982. Caffeine disposition after oral doses. Clin Pharmacol Ther 32: 98-106 

  25. Aldridge A, Aranda JV, Neims AH. 1979. Caffeine metabolism is the new born. Clin Pharmacol Ther 25: 447-453 

  26. Nawrot P, Jordan S, Eastwood J, Rotstein J, Hugenholtz A, Feeley M. 2003. Effects of caffeine on human health. Food Addit Contam 20: 1-30 

  2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Maximum daily intake levels for caffeine. http://www.kfda.go.kr/open_content/news/press_view.php?menucode103004000&seq1281. Accessed Apr. 15, 2009 

  28. Knight CA, Knight I, Mitchell DC, Zepp JE. 2004. Beverage caffeine intake in US consumers and subpopulations of interest: estimates from the Share of Intake Panel survey. Food Chem Toxicol 42: 1923-1930 

  29. Knight CA, Knight I, Mitchell DC. 2006. Beverage caffeine intakes in young children in Canada and the US. Can J Diet Pract Res 67: 96-99 

  30. Valek M, Laslavic B, Laslavic Z. 2004. Daily caffeine intake among Osijek High School students. Croat Med J 45: 72-75 

  31. Frary CD, Johnson RK, Wang MQ. 2005. Food sources and intakes of caffeine in the diets of persons in the United States. J Am Diet Assoc 105: 110-113 

  32. Lee JS, Hong HO, Yu CH. 1996. A study on the effect of caffeine intake on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Nutr 29: 950-957 

  3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Seoul, Korea. appendix 12-39 

  34. Lee NH, Jeong HJ, Cho SH, Choi YS.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nutrition education of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 J Comm Nutr 6: 234-242 

  35. Chambers DH, Higgins MM, Roeger C, Allison AA. 2004. Nutrition education displays for young adults and older adults. Health Educ 104: 45-54 

  36. Shin EK, Lee HJ, Jun SY, Park EJ, Jung YY, Ahn MY, Lee YK.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 J Comm Nutr 13: 216-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