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식물추출물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품질특성, 유통기한 및 생리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Shelf-life, and Bioactivities of the Low Salt Squid Jeot-gal with Natural Plant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721 - 729  

홍원준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김상무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염농도의 저하에 따른 저염 오징어젓갈의 유통기한 감소에 대하여 유통기한의 연장과 기능성 제품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천연식물추출물 첨가에 따른 저장기간별 품질특성, 최적발효기한, 유통기한 설정 및 생리활성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첨가군 모두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pH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총균수 역시 증가하였다. 유통기한 및 최적발효기한은 Arrhenius equation의 결과에 따라 $10^{\circ}C$에서 대조구 34 및 28일, 월계수첨가 35 및 29일, 녹차첨가 34 및 30일, 솔잎첨가 34 및 29일 저장한 것이었다.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은 첨가군 모두가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등의 감칠맛,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맛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되었고, 핵산관련물질은 첨가군 모두 쓴맛을 나타내는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 inosine 및 정미성분인 IMP 순이었다. 관능검사결과 월계수첨가군이 종합적으로 가장 뛰어났다. 생리활성은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기능성 제품으로서의 상업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천연식물추출물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젓갈은 웰빙 등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현대인의 식기호에 적합한 식품으로 이용 가능하며, 젓갈의 고급화 및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the low salt squid Jeot-gal, extracts from three types of medicinal and edible plants (bay leaf, green tea, pine needle) were add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ioactivities, and shelf-lives of these preparations were determined at three different fer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천연식품 첨가물로써 월계수, 솔잎, 녹차를 저염 오징어젓갈에 첨가하여 저장 중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변화, 생리활성, 유통기한 등을 측정하여 기능성 저염 젓갈제품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염농도의 저하에 따른 저염 오징어젓갈의 유통 기한 감소에 대하여 유통기한의 연장과 기능성 제품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천연식물추출물 첨가에 따른 저장 기간별 품질특성, 최적발효기한, 유통기한 설정 및 생리활성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첨가군 모두 저장 온도가 증가할수록 pH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총균수 역시 증가하였다.

가설 설정

  • 1)ATP, ADP and AMP were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젓갈 제조 시, 고농도의 식염을 사용하는 목적은? 젓갈은 어패류에 식염을 가하고 자가소화효소 및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숙성 및 발효시킨 염장발효식품이며(1), 단백질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지방질, 유기산 및 기타 성분들이 분해되고 어울려 진한 감칠맛을 나타내므로 반찬으로 식용하기도 하지만 김치의 부원료나 조미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이 풍부하고, 소화 흡수율도 양호한 식품이다. 젓갈은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전통적으로 고농도의 식염을 사용하여 왔다(1).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고혈압 등 건강문제로 저염 젓갈을 생산하고 있으나, 식염의 농도가 낮을수록 젓갈의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젓갈이란 무엇인가? 젓갈은 어패류에 식염을 가하고 자가소화효소 및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숙성 및 발효시킨 염장발효식품이며(1), 단백질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지방질, 유기산 및 기타 성분들이 분해되고 어울려 진한 감칠맛을 나타내므로 반찬으로 식용하기도 하지만 김치의 부원료나 조미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이 풍부하고, 소화 흡수율도 양호한 식품이다. 젓갈은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전통적으로 고농도의 식염을 사용하여 왔다(1).
솔잎추출물을 원료 중량 당 0.1%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기능성 저염 오징어젓갈의 유리아미노산 구성 비율은? 7%), leucine(3.9%), 솔잎첨가군은 glutamic acid(50.9%), proline(8.0%), arginine(5.8%), alanine(5.8%), leucine(4.0%) 순으로 각각 아미노산 전체의 73.9, 7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SM, Lee GT. 1991.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1. The effects of pH control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J Korean Fish Soc 30: 459-465. 

  2. Kim SM, Lee GT. 1997.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2. The effects of commercial preserva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56-461. 

  3. Kim WJ, Kim SM. 2000. Property changes of salted-fermented alaska pollack tripe during fermentation. J Chitin Chitosan 5: 25-28. 

  4. Cho HR, Park UY, Chang DS. 2002. Studies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52-660. 

  5. Lee OH, Lee HB, Lee JS, Son JY, Rhee SK, Kim HD, Kim YC, Lee BY. 2005.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03-508. 

  6. Sung KC. 2004.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pine-needles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1: 320-326. 

  7. Nha YA, Park JN. 2003. Effect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Korean J Culinary Res 9: 179-190. 

  8. AOAC. 2002.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1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7. 

  9. Adler-Nissen J. 1979.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hydrolysis of food protein hydrolysates by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J Agric Food Chem 27: 1256-1262. 

  10. Chae SK. 1998. Standard food analysis. Jij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37-640. 

  11. Taoukis PS, Koutsoumanis K, Nychas GJ. 1999. Use of time-temperature integrators and predictive modelling for shelf life control of chilled fish under dynamic storage conditions. Int J Food Microbiol 53: 21-31. 

  12. Sinha R, Radha C, Prakash J, Kaul P. 2007. Whey protein hydrolysate: Functional properties, nutritional quality and utilization in beverage formulation. Food Chem 101: 1484-1491. 

  13. Kim WJ, Kim SM. 2003.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manufactured with fermentation acceleration ag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47-454. 

  14. Choi SH, Kim SM. 2001.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seasoning manufactured with fermentation accelerato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34-340. 

  15. Wang KJ, Li N. 2008. Norlignan derivatives from Curculigo crassifolia and thei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rch Pharm Res 31: 1313-1316. 

  16. Muller HE. 198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 peroxidase medium. Zentralbl Bakteriol Mikrobiol Hyg A 259: 151-154. 

  17.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8. Kim KY, Choi KS, Kurihara H, Kim SM. 2008. ${\beta}$ -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bromophenols purified from Grateloupia elliptica. Food Sci Biotechnol 17: 1110-1114. 

  19. Lee GK, Kim SM. 2012. Quality changes in low-salted squid J eot-gal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87-694. 

  20. Park SM, Park CK, Lee KT, Kim SM. 1998. Changes in taste compound of low salt fermented pollack tripe during controlled freezing point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9-53. 

  21. Cho WI, Kim SM. 2012. The biofunctional activities and shelf-life of low-salt squid sikhae .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1-68. 

  22. Kim SM, Kim HY, Choi S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yung-Tae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9: 5-9. 

  23. Oh SC, Cho JS, Nam HY. 2000.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16:173-181. 

  24. Kim DS, Kim YM, Koo JG, Lee YC, Do JR. 1993. A study on shelf-life of seasoned and fermented squid. Bull Korean Fish Soc 26: 13-20. 

  25. Choi KP, Kim WJ, Kim SM. 2000. Microflora changes of salt-fermented alaska pollack tripe with chitosan and oligochitosan. J Chitin Chitosan 5: 70-73. 

  26. Choi SH, Kim SM. 2011.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viscera product with Aspergillus oryzae koji and its seaso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4-101. 

  27. Kim SK, Baek HC, Byun HG, Kang OJ, Kim JB. 2001. Bi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J Korean Fish Soc 34: 260-267. 

  28. Cha YJ, Kim SJ, Jeong EJ, Kim H, Cho WJ, Yoo MY. 2004.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15-1521. 

  29.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