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내건성을 갖도록 형질전환된 가뭄저항성 벼(GM 벼)와 그 모종 벼인 일미벼(non-GM 벼)로부터 쌀(현미)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여 가뭄저항성 벼에서 주요 영양성분의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벼는 군위와 수원 두 지역에서 재배되었다. 가뭄저항성 쌀은 모종 쌀과 일반성분 함량이 유사하였으며 두 재배지역간 성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지방산 조성은 non-GM 쌀과 전체적인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아미노산 함량은 non-GM 쌀과 차이가 없었으나 non-GM 쌀 모종의 경우 두 재배지역간에 아미노산 함량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어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차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저항성 쌀이 non-GM 쌀에 비해 무기질 함량이 약간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비타민 $B_1$비타민 E 함량에도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omponents (proximate components, fatty acids, amino acids, minerals and vitamins)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GM) drought-tolerant rice and a parental rice cultivar (Ilmibyeo) as a non-GM control. Both GM and non-GM rices were grown and harvested in two diff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추 유래 유전자(CaMsrB2)를 도입하여 가뭄저항성이 증진된 가뭄저항성 GM벼를 대상으로 식품안전성평가의 일환으로 모종벼인 일미와 함께 쌀의 주요 영양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M식품의 안전성 평가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GM작물은 환경방출 전에 환경위해성과 최종적으로 식품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식품안전성에 대하여 철저한 검증과정을 거쳐야 한다(6). 일반적으로 GM식품의 안전성은 그의 traditional counterpart와 비교 시 그만큼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실질적 동등성에 의한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진다(7). GM식품의 인체 안전성 평가에는 주요 및 미량 영양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실질적 동등성에 차이가 있을 경우 독성,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6).
작물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은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물 사용은 농업으로 인한 비중이 가장 크며,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1,245 mm로 세계 평균보다 많지만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해 대부분의 물을 이용하지 못하고 약 30% 정도만이 이용되고 있어 물 부족 국가에 속한다. 물 부족은 작물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으로 농업에서 물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내건성 작물이 개발되는 중요한 시점에 있는데 최근 몬산토에서 개발된 가뭄저항성 옥수수가 포장시험을 통해 현재 상업화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뭄저항성을 보이는 작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4,5).
GM작물은 어떤 사회 문제를 해결 할 것으로 기대되는가? 유전자변형(GM)작물은 1990년 중반부터 콩, 옥수수, 목화, 유채 등 수종의 주요 작물들이 제초제, 해충, 병 저항성을 지니도록 개발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부족을 해결하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농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1). 전 세계적으로 GM작물은 1996년 170만 ha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2011년에는 29개국에서 GM 작물의 재배면적이 1억 6천만 ha로 94배나 급속히 증가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ames C. 2007.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ISAAA, Ithaca, NY, USA. ISAAA Briefs No. 37-2007. 

  2. James C. 2011.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ISAAA, Ithaca, NY, USA. ISAAA Briefs No. 43. 

  3. Woo HJ, Lim SH, Lee KJ, Won SY, Kim TS, Cho HS, Jin YM. 2006. Current development status on the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 Korea. Korean J Intl Agri 18: 221-229. 

  4. Cho SK, Ryu MY, Song C, Kwak JM, Kim WT. 2008. Arabidopsis PUB22 and PUB23 are homologous U-box E3 ubiqutin ligases that play combinatory roles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 Plant Cell 20: 1899-1914. 

  5. Lee SW. 2010. Current status on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GM plants. J Plant Biotechnol 37: 305-312. 

  6. Lee KP, Kim DH, Kweon SJ, Baek HJ, Ryu TH. 2008. Risk assessment and variety registration of transgenic crops. J Plant Biotechnol 35: 13-21. 

  7. OECD. 1993. Safety considerations of foods derived by modern biotechnology: concepts and principle. OECD, Paris, France. 

  8. Junhua H, Yuexin Y, Shurong C, Zhu W, Xiaoli Y, Guodong W, Jianhua M. 2005. Comparison of nutrient composition of parental rice and rice genetically modified cowpea trypsin inhibitor in China. J Food Compos Anal 18: 297-302. 

  9. Lee YT, Kim JK, Ha SH, Cho HS, Suh SC. 2010.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beta}$ -carotene biofortifi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5-109. 

  10. Lee SH, Park HJ, Cho SY, Chun HK, Park YH, Jeong MH, Park SH. 2003. Evaluation of nutritional safety for the herbicide- resistant rice in growing male rats. Korean J Nutr 36: 1030-1035. 

  1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3. 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1993. Operator's manual, Manual number 154-02TP REV O June. Waters, Milford, MA, USA. 

  14. Champagne ET, Wood DF, Juliano BO, Bechtel DB. 2004.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Champagne ET, ed. AACC, Inc., St. Paul, MN, USA. p 77-107. 

  15.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85-892. 

  16. Kyoun OY, Oh SH, Kim HJ, Lee JH, Kim HC, Yoon WK, Kim HM, Kim MR. 2006. Analyses of nutrients and antinutrients of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949-956. 

  17. Kim IH, Park KH, Shin MG, Kim HJ, Lee SH. 1996. Comparison of lipid composition of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sensory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27-734. 

  18. Kwak YM, Yoon MR, Sohn JK, Kang MY. 2006.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head and incomplete rice grains. Korean J Crop Sci 51: 639-644. 

  19. Kim ES, Im KJ, Park H, Chun SK. 1978. Studies on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oods (I) (Amino acid composition of rice varieties recommended to raise).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371-375. 

  20. Song BH, Kim DY, Kim SK, Kim YD, Choi KS. 1988. Distribution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J Korean Agric Chem Soc 31:7-12. 

  21. Kim SK, Han YI, Kim ES. 1990. Mineral contents of Japonica and J/Indica brown and milled rices. J Korean Soc Food Nutr 19: 285-290. 

  22. Kim MS, Yang HR, Jeong YH. 2004.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43-446. 

  23. Deepa G, Singh V, Naidu KA. 2008. Nutrient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dian medicinal rice-Njavara. Food Chem 106: 165-171. 

  24. Jung HY, Lee DH, Baek HY, Lee YS. 2008. Pre- and post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3: 37-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