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과일식초의 발효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736 - 742  

김경오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성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수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동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조덕조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여수환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 과일식초를 발효 방법에 따라 초산발효만 진행된 A 타입과 알코올 및 초산발효가 진행된 B 타입으로 나누어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A 타입 식초는 B 타입 식초에 비해 pH는 낮게, 총 산도는 다소 높게 확인되어 발효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었다.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B 타입 식초에서 비교적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제품에 첨가된 각 과즙 함량의 차이로 사료되었다. 갈색도 및 색도의 비교에서는 B 타입에서 갈색도, 적색도, 황색도가 더 높게 측정되어 식초의 색이 더 진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 과일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검출되었고, 총 함량은 B 타입에서 다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 과일식초의 유기산acetic acid 외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체 함량은 A 타입 식초에서 다소 높게 확인되었다. 또한 존재하는 유기산의 함량을 통해 원료에 함유된 원료과즙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B 타입 식초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fermentation methods. Type A vinegars were synthesized through acetic acid fermentation while Type B vinegars were produced using both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serially. There were differences from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제조되는 과일식초 중 주정을 발효시켜 제조된 식초와 알코올 발효를 거쳐 제조된 식초의 화학성분의 차이를 예상하여 국내에서 많이 소비되는 시판 과일식초를 발효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과일식초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식초는 동서양을 막론 하는 대표적인 조미료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장류 다음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고, 고유의 식품 방부기능 이외에 젖산분해촉진, 콜레스테롤 저하 및 체지방 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식초의 품질은 원료, 발효법, 제조방법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초산 함량, 유기산 조성, 맛에 영향을 주는 유리아미노산 조성 등도 이에 영향을 미친다(3). 과즙을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으로는 주정을 희석하고 무기염 등을 혼합하여 초산 발효한 양조식초에 과즙을 30% 정도 첨가한 과실식초와 순수한 과실을 원료로 알코올및 초산발효의 2단계 발효를 거쳐 생산되는 식초로 구분할수 있다(4).
식초의 제조 과정에서 검출되면 안되는 것은? 식품공전에서는 식초에 대한 품질규격으로 총산함량을 4~29% 범위로 정하고 있고, 감식초는 예외적으로 2.6%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타르색소나 보존료는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5). 식초의 제조에서 초산균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초산은 총산 함량을 좌우하여 품질판정 지표로 이용되고, 이 외에 다양한 유기산이 함께 함유되어 식초의 산미를 형성하게 된다(6).
과즙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식초의 품질은 원료, 발효법, 제조방법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초산 함량, 유기산 조성, 맛에 영향을 주는 유리아미노산 조성 등도 이에 영향을 미친다(3). 과즙을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으로는 주정을 희석하고 무기염 등을 혼합하여 초산 발효한 양조식초에 과즙을 30% 정도 첨가한 과실식초와 순수한 과실을 원료로 알코올및 초산발효의 2단계 발효를 거쳐 생산되는 식초로 구분할수 있다(4). 즉 알코올 발효 여부에 따라 식초의 화학성분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고 결국 원료의 종류, 사용균주, 제조방법, 발효조건, 숙성정도는 최종 제품의 성분종류 및 함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Nakanc S. 1988. Food useful for preventing alcohol in toxication containing persimmon-vinegar and optimum fruits, wi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reducing action. Japan Patent 63: 562-566. 

  2. Koizumi Y, Uehara Y, Yanagida F. 1987. The general composition, inorganic cations,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special vinegar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 592-597. 

  3.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 7-12. 

  4. Jo JS. 1984.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inegar. Food Science and Industry 17(1): 38-50. 

  5. KFDA. 2008. Korea Food Standard Code .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Vol 21, p 1-2. 

  6. Jeong YJ, Seo JH, Park NY, Shin SR, Kim KS. 1999.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persimmon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I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233-238. 

  7. Kim SD, Jang KS, Kim MK. 1994. Fermentation of apple vinegar in the farmhous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75-86. 

  8. Jeong YJ, Lee GD, Kim KS. 1998. Optimization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03-1208. 

  9. Kim SD, Lee JS, Kim MK. 1994. Fermentation of acidic beverage with dropped pea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135-146. 

  10. Kim YT, Seo KI, Jung YJ, Lee YS, Shim KH. 1997. The production of vinegar using citron (Citrus junos Seib.)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 301-307. 

  11. Kim SD, Kang SH, Kang SK. 1996.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95-700. 

  12. Son SS, Ji WD, Chung HC. 2003. Optimum condition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44-548. 

  13. Lee SD, Kim SK, Lee JM. 2003.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strawberry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12-817. 

  14. Marais JP, de Wit JL, Quicke GV. 1996.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lson-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Biochem 15: 373-381. 

  15. Singleton VL, Rossi Jr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6.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Zou Y, Lu Y, Wei D.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 rich extract of Hypericum perforatum L in vitro. J Agric Food Chem 52: 5032-5039.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SAS. 2001. SAS User's Guide. 2001. version 8.1.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0. Jeong YJ, Seo JH, Lee GD, Park NY, Choi TH. 1999. The quality comparison of appl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appl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3-358. 

  21. Jeong YJ, Seo KI, Kim K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 East Asian Dietary Life 6: 355-363. 

  22. Kim YD, Kang SH, Kang SK. 1996.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95-700. 

  23. Moon SY, Chu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24. Jo DJ, Park EJ, Kim GR, Yeo SH, Jeong YJ, Kwon JH. 2012.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by their acidity lev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99-703. 

  25.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26. Seo JH, Kim YJ, Lee KS.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3): 40-44. 

  27. Song BH, Choi KS, Kim YD. 1997.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flavor components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4: 77-85. 

  28.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2007.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unus me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1-365. 

  29. Lee DS, Woo SK, Yang CB.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34-139. 

  30. Kim CJ, Park VJ, Lee SK, Oh MJ. 1981.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 of acetic acid bacteria by UV light irradiation and NTG treatment-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apple wine vinegars-. Korean J Apple Microbiol Bioeng 9: 139-143. 

  31. Lee YS, Choi JS, Shim KH, Cho YH, Kim JK. 1993.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maturation of Vitis vinifera red grapes. J Korean Soc Food Nutr 22: 190-195. 

  32. Jeong YJ, Lee MH, Seo KI, Kim JN, Lee Y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462-468. 

  33. Yusof S, Ghazali HM, King GS. 1990. Naringin content in local citrus fruits. Food Chem 37: 113-121. 

  34. He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35. Masinoa F, Chinnici F, Bendini A, Montevecchi G, Antonelli A. 2008.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hemical, physical, and qualitative assessment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Food Chem 106: 90-95. 

  36. Lee SM, Choi YM, Kim YW, Kim DJ, Lee JS.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Food Engineering Progress 13: 221-225. 

  37. Hong SM, Kang MJ, Lee JH, Jeong JH, Kwon SH, Seo KI.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J Korean Food Preserv 19: 594-6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