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되는 발효식초 7종을 대상으로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감식초가 가장 높았으며, 양조식초, 무화과 식초, 쌀식초, 사과식초, 현미식초, 매실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산의 경우 현미식초, 사과식초, 매실식초가 6.33~6.57%의 범위를 보여 타 시료에 비해 조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양조식초>무화과식초>감식초>쌀식초>매실식초>사과식초 순으로 나타났으며, ${\gamma}$-aminobutyric acid(GABA) 함량이 무화과식초와 감식초에서 타 시료에 비해 높게 분석되었다. 항산화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감식초>무화과식초>양조식초>쌀식초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그 경향이 총 폴리페놀 함량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현재 상업적으로 대량 판매를 하지 않는 무화과 식초가 타 식초에 비해 유기산 성분과 GABA 함량이 풍부한 기능성 식초를 제조하는데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were compared. The pH levels of the persimmon, fig, and brewing and rice vinegars were 3.60, 3.37, and 2.62, respectively. The total acid contents of the brewing, apple, and plum vinegars ranged from 6.33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여러 종류의 과실식초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폭이 넓어졌으나 시판되고 있는 식초의 품질비교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고, 특히 다양한 원료로 제조된 발효식초의 품질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시판되는 발효식초의 원료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여 발효식초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는 어떤 식품인가? 식초는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유기산, 당류, 아미 노산, ester 등을 함유한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진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1). 또한 식초는 짠맛과 단맛 등의 음식 맛을 부드럽게 하고 특유의 향미를 더해 줄 뿐만 아니라 생선의 비린내를 감소시키고 육류를 연하게 하는 등 조리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소스, 마요네즈, 드레싱, 케찹의 원료, 향미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2).
원료에서 유래되는 식초의 아미노산 중에서 감식초와 양조식초의 유리아미노산 분포는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가? 감식초와 양조식초의 유리아미노산 분포는 proline>isoleucine>valine>alanine 순이었으며, 무화과식초의 경우 alanine >isoleucine >valine > γ-aminobutyric acid(GABA) 순으로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그 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식초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한편 식초의 분류는 곡류, 과실류, 주류 등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켜 제조하는 발효식초와 빙초산 또는 초산을 먹는 물로 희석하여 만든 합성식초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3), 이러한 발효식초는 합성식초보다 산도는 낮지만 풍부한 맛과 영양을 지니고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1990년에 감식초를 시작으로 발효식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4). 한국에서 과일식초에 대한 품질규격은 과일술덧, 과일 착즙액(과즙함량 30% 이상, 감은 100%)을 원료로 주정 및 당류 혼합하여 초산발효 시킨 액으로 총산 함량이 4∼29%(감식초는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 Nutr, 5, 7-12 

  2.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using kyungpook speccial products(persimmon, apple, and vinegar). Food Ind Nutr, 5, 53-59 

  3. KFDA (2012)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 5-21-1, Seoul, Korea 

  4.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5.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2011)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18, 980-985 

  6.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2009)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6, 33-39 

  7. Jeong Y,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5, 374-379 

  8. Yang HC, Choi DS (197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lover flower vinegar. J Korean Agric Chem Soc, 22, 150-159 

  9. Woo SM, Jo YJ, Lee SW, Kwon JH, Yeo SH, Jeong YJ (2012) Quality comparison of static-culture and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9, 301-307 

  10.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11. Lee SM, Choi Y, Kim Y, Kim DJ, Lee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Foods Eng Prog, 13, 221-225 

  12. Moon SY, Cha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13. Jo DJ, Park EJ, Kim GR, Yeo SH, Jeong YJ, Kwon JH (2012)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by their acidity lev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99-703 

  14. Cha MJ, Park EH, Kang SC, Baek KH (2011) Effects of various wavelength on the hardness and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oybean sprouts, Korean J Environ Agric, 30, 402-408 

  15. Swain T, Hills WE, Or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16.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7. Woo SM, Jo YJ, Lee SW, Kwon JH, Yeo SH, Jeong YJ (2012) Quality comparison of static-culture and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9, 301-307 

  18.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19. Kim KO, Kim SM, Kim SM, Kim DY, Jo DJ, Yeo SH, Jeong YJ, Kwon JH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36-742 

  20. Seo JH, Kim YJ, Lee KS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Food Ind Nutr, 8, 40-44 

  21. Jang SY, Sin KA,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vinegar by agitated and static cul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8-312 

  22. Jeong YJ, Seo JH, Lee GD, Park NY, Choi TH (1999) The quality comparison of appl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appl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3-358 

  23.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2007)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unus mu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1-365 

  24. Yulkimichi K, Yasuhiro U, Fujihara Y (1987) The general composition inorganic cations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 of special vinegar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 592-598 

  25. Mody I, Dekoninck Y, Otis TS, Soltesz I (1994) Brin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7, 517-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