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과 활용에 대한 탐색
An Exploration in the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Attitude Towards Scienc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2, 2013년, pp.466 - 477  

조선미 (아리조나 대학교) ,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개발된 과학에 대한 태도 척도의 타당성 검증과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설문지를 통해 833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Krogh와 Thomsen(2005)의 문화적 경계넘기 중 평판 척도(reputation in culture border crossings: R-CBC)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는데 요인분석 결과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 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는데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R-CBC 척도와 Simpson-Troost Attitude Questionnaire(STAQ) 척도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STAQ 척도와 개인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TOSRA) 척도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R-CBC 척도는 TOSRA 척도와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희망 진학 고등학교별 과학에 대한 태도를 3개 척도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는데 R-CBC 척도와 STAQ 척도로 측정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학교유형별(과학고, 인문고, 실업고)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둔 척도가 중학생의 과학고 진학 희망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도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surement of attitude towards scienc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application of this scal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833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First,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con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4).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이 측정 도구를 쓴 이유는 개인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며, 평균점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개발된 척도의 변별타당도를 살펴보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논의되어야할 중요한 논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연구를 정리하고자 한다. 가장 중점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과제는 Krogh와 Thomsen(2005)의 문화적 경계넘기 척도의 타당성에 있다.
  • 첫째, 이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이 고려된 Krogh와 Thomsen(2005)의 척도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이 고려된 2개의 척도와 개인적 구성주의 관점인 TOSRA 검사 간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학생들이 진학하고자 하는 고등학교 계열(인문고, 실업고, 과학고)에 따라 3가지 척도에 의해 측정된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그들은 과학 중 물리영역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는데 그들은 과학에 대한 정서적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가정이나 학교환경과 같은 사회적∙문화적 요인이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보다는 한국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서적 인식(perception)이 과학에 대한 태도와 진로 선택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Krogh와 Thomsen(2005)은 물리 영역에 중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과학으로 범위를 넓혀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를 양적으로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했다 점과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척도가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먼저 우리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실린 국내 논문을 살펴봄으로써 척도의 동향을 알아보았는데 국내 연구에서는 과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 중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척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Mayer와 Richmond(1982)는 과학적 태도를 개방성, 비판성, 탐구성 등과 같은 인지적 특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았고, Gardner (1975)는 과학에 대한 태도를 흥미, 만족, 즐거움과 같은 정서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와 관련성이 있는 과학에 대한 태도에 중점을 두고 측정도구를 살펴보았다.
  • 둘째,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이 고려된 2개의 척도와 개인적 구성주의 관점인 TOSRA 검사 간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학생들이 진학하고자 하는 고등학교 계열(인문고, 실업고, 과학고)에 따라 3가지 척도에 의해 측정된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Krogh와 Thomson (2005)의 주장처럼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둔 척도가 학생들의 과학고 진학 희망정도를 잘 설명할 것으로 기대한다.
  • 측정도구 개발에서 최근 달라진 접근으로는 송영욱과 김범기(2010)의 연구가 있는데 그들은 과학적 태도를 측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환경을 고려했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자들은 학교, 가정, 사회 상황에서의 인지에 중점을 둔 과학적 태도를 측정하고자 했다. 예를 들면 과학적 태도 중의 하나인 개방적인 태도를 학교상황, 가정상황, 사회상황에서 물어봄으로써 각각의 상황에 따른 과학적 태도를 측정했다.
  • 그러므로 이제는 과학에 대한 태도 연구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하면서도 이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에 관하여 고민하고 연구할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해 기존에 개발된 과학에 대한 태도 척도 중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척도가 있는지 찾아보고 이 측정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Krogh와 Thomsen(2005)의 문화적 경계넘기 중 평판 요인인 R-CBC(reputation in culture border crossings) 문항과 Science-TechnologySociety(STS)에 기반을 둔 STAQ(simpson-troost attitude questionnaire)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국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증했다. 먼저 척도의 타당성을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척도 간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국내에서는 아직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으나 최근 국외에서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적용한 새로운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가 기존의 도구와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양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도구로서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이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이 고려된 Krogh와 Thomsen(2005)의 척도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이 고려된 2개의 척도와 개인적 구성주의 관점인 TOSRA 검사 간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이처럼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는 과학 교육에서 지도해야하는 중요한 특성이며 학생들의 과학 성적뿐만 아니라 이공계 진로 선택과 같은 여러 영역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다(이경훈, 1998; 이미경, 김경희, 2004; 이지애 등, 2012; Osborne et al., 2003).
2011년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분석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성취는?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에서 발표한 2011년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과학 성취는 전 세계 회원국 중 3위에 이를 정도로 높지만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는 국제 평균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이공계 기피 현상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며 이에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의 변화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적 노력이 있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이미경, 홍미영, 2007; 장창원, 김승연, 2002).
태도를 측정하는 기존 도구들의 한계점은? 그러나 최근 몇몇 학자들에 의해 과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기존 도구들에 제한점이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Krogh(2011)는 대부분의 측정 도구들이 피아제의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두어 개발되었기 때문에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 측정 도구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가장 큰 제한점으로 지적했다. Ramsden(1998) 또한 개인적 구성주의는 상황적 태도에 대한 접근이 부족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들의 주장은 과학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순민, 곽경화, 남정희 (2006). 논의과정을 강조한 교수? 학습 전략이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과학개념 이해,과학관련 태도 및 논의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50-461. 

  2. 권치순, 박도영 (1990). 국민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2), 39-47. 

  3. 노태희, 차정호 (2000). 컴퓨터실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컴퓨터 관련 태도 및 컴퓨터 경험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2-19. 

  4.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5. 박은미, 강순희 (2007).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25-234. 

  6. 송영욱, 김범기 (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7. 이경훈 (1998).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415-425. 

  8.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9. 이미경, 홍미영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추이 분석 및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27(3), 201-211 

  10.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 (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15-29. 

  11. 장창원, 김승연(2002). 구조적 측면에서 접근한 이공계 기피현상의 원인분석과 정책과제. 직업교육연구,21(2), 115-140. 

  12. 조현순, 정영란 (1995).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환경 문제에 대한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10-315. 

  13. 허명 (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4. 홍정림 (2001).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한 STS(과학-기술-사회)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STS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422-432. 

  15. Aikenhead, G. S. (1996). Science education: Border crossing into the subculture of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7, 1-52. 

  16. Blalock, C. L., Lichtenstein, M. J., Owen, S. V., Pruski, L. A., Marshall, C. E., & Toepperwein, M. A. (2008). In pursuit of validity: A comprehensive review of science attitude instruments 1935-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 961-977. 

  17. Brace, N., Kemp, R., & Snelgar, R. (2003). SPSS for psychologist: A guide to data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18. Costa, V. B. (1995). when science is another world- Relationships between worlds of family, friends, school, and science. Science Education, 79, 313-333. 

  19. Fraser, B. J. (1978).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Education, 62(4), 509-515. 

  20.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wthorn, Victoria: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1. Gardner, P. L. (1975). Attitudes to science: 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 1-41. 

  22. Khalili, K. Y. (1987). A crosscultural validation of a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2), 127-136. 

  23. Krogh, L. B. (2011).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students/ response to science. In I. M. Saleh & M. S. Khine (Eds.), Attitud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Classic and contemporary measurements (pp. 45-80). Charlotte, N. C. : Information Age Publishers. 

  24. Krogh, L. B., & Thomsen, P. V. (2005). Studying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from a cultural perspective but with a quantitative methodology: Border crossing into the physics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3), 281-302. 

  25. Mayer, V. J., & Richmond, J. M. (1982). An overview of assessment instruments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66, 49 .66. 

  26. Osborne, J. F., Simon, S., & Collins, S.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27. Owen, S. V., Toepperwein, M. A., Marshall, C. E., Lichtenstein, M. J., Blalock, C. L., Liu, Y., Pruski, L. A., Grimes, K. (2008). Finding pearls: Psychometric reevaluation of the Simpson-Troost Attitude Questionnaire (STAQ). Science Education, 92(6), 1076-1095. 

  28. Pell, T., & Jarvis, T. (2001). Developing attitude to science scales for use with children of ages from five to eleven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8), 847-862. 

  29. Phelan, P., Davidson, A. L., & Cao, H. T. (1991). Students multiple worlds-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family, peer, and school cultures.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22, 224-250 

  30. Ramsden, J. (1998). Mission impossible? Can anything be done about attitude to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125-137. 

  31. Simpson, R. D., & Troost, K. M. (1982). Influences on commitment to and learning of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66, 763-781. 

  32. Smist, J. M., Archambault, F. X., & Owen, S. V. (1994, April).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New Orleans, LA. 

  33.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York, NY: Harper Collins College. 

  34. Taconis, R., & Kessels, U. (2009). How choosing science depends on students' individual fit to'science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8), 1115-1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