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of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2, 2013년, pp.236 - 246  

조미영 (동남보건대학교 간호과)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evaluation of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and to verify its validity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Methods: The draft of the evaluation measurement was developed from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 보수교육은 의료인의 법적 의무이나 그동안 보수교육 이수 후 간호사의 성과 변화를 측정하거나 보수교육 계획에서부터 설계, 수행, 결과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평가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 보수교육 질에 대한 재고와 보수교육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목적으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과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목적으로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개념틀인 Donabedian (1980)의 평가모델은 서비스 질 보증과 사정의 필수적인 요소들인 구조, 과정, 결과의 3가지 요소로 정의되며 보건의료서비스 질 평가에 유용한 모델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보수교육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목적으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 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집단 정의,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수행, 프로그램 운영관리, 프로그램 성과, 프로그램의 효율성 등 6개 평가요인과 36개 평가항목이 개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보수교육 담당자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보수교육 경험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얻고자 인터뷰 방법을 이용하였다.
  • , 2007) 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참조하고 보수교육 실시기관의 실무적 상황을 고려하여 간호사 보수교육 이수 3개월 후에 성과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이러한 보수교육 후 수행능력의 변화는 8시간 이하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Francke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 및 보수교육의 효율적인 운영과 환자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프라인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Donabedian (1980)의 구조-과정-결과 평가모델과 Hawkins와 Sherwood (1999)의 피라미드 모델을 개념적 틀로 사용하고, 보수교육 평가 관련 선행문헌과 보수교육 담당자 및 간호사에 대한 보수교육 경험을 토대로 실증적이고 타당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을 통해 보수교육 실시기관에서 보수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 국내에서 교육 프로그램 평가 관련 연구동향을 보면, 주로 교육학 분야에서 교원연수 프로그램 평가(Chang, 2007), 산업장 안전보건 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Oh, 2007) 연구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결과단계별로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으며, 목적은 해당분야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고, 교육의 질을 높여 자격소지자의 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간호학 분야에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관련 연구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프라인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Donabedian (1980)의 구조-과정-결과 평가모델과 Hawkins와 Sherwood (1999)의 피라미드 모델을 개념적 틀로 사용하고, 보수교육 평가 관련 선행문헌과 보수교육 담당자 및 간호사에 대한 보수교육 경험을 토대로 실증적이고 타당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을 통해 보수교육 실시기관에서 보수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 보수교육이란? 간호사의 전문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간호실무, 교육, 행정 분야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것으로(KNA, 2011) 본 연구에서는 대한 간호협회에 의해 직접 개발·운영된 보수교육 프로그램 혹은 대한 간호협회로부터 보수교육 프로그램으로 인정되어 실시된 간호사를 위한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간호사 보수교육의 질적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프로그램의 기획,개발 등을 관리하는 보수교육 평가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따라서 간호사들은 다양한 면대면 및 온라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지만 보수교육을 형식적이고 법적 의무로 생각할 뿐이다. 또한 보수교육 실시기관에서도 보수교육 시행 후 자체적으로 강사 및 교육생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보수교육 기획 및 시행단계별로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교육목적의 달성정도나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 및 결과를 평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NA). 그러나 의료인 면허신고제의 도입으로 인해 보수교육의 질적 관리가 중요해지면서 면허를 소지한 모든 간호사들은 경력별 특화된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하고, 보수교육 실시기관에서도 교육시행 결과를 대한간호협회를 통해 매년 보건복지부에 보고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 보수교육의 질적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개발 및 수행 과정, 결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보수교육 평가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타당한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인구의 노령화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보건의료환경의 패러다임이 치료중심에서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으로 변화되었고, 국민들의 간호 요구도가 복잡하고 다양하게 증가함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Carter & Rukholm, 2008). 간호사는 이러한 요구도를 충족하고 변화하는 실무현장에 적응하기 위해 보수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아야 한다(American Nurses Credentialing Center [ANCC], 2010; Nalle, Wyatt, & Myers,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lers-Schmidt, C. R., Wetta-Hall, R., Berg-Copas, G., Jost, J. C., & Jost, G. (2008). Evaluating program effectiveness: Creating a reliable and valid tool.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9(3), 139-144. 

  2. Alexander, G. R., Chadwick, C., Slay, M., Petersen, D. J., & Pass, M. (2002). Maternal and child health 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s: A national assessment.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6(3), 141-149. 

  3.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0). Scope and standards of practice for nursing professional development. Washington, DC: Author. 

  4. American Nurses Credentialing Center. (2010). Application manual: Accreditation program. Washington, DC: Author. 

  5. Bell, D. F., Pestka, E., & Forsyth, D. (2007). Outcome evaluation: Does continuing education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8(4), 185-190. 

  6. Benner, P. (2001). From novice to expert :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7. Bibb, S. C., Malebranche, M., Crowell, D., Altman, C., Lyon, S., Carlson, A., et al. (2003).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of registered nurses practicing at a military community hospital.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4(1), 39-45. 

  8. Carter, L. M., & Rukholm, E. (2008). A study of critical think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discipline-specific writing in an online educational setting for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9(3), 133-138. 

  9. Chae, S. I. (2003). Survey methodology in social science (3rd ed.). Paju: Hakhyunsa. 

  10. Chang, K. S. (2007). Evaluation of intensive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4(3), 257-282. 

  11. Comrey, A. L. (1988). Factor-analytic methods of scale development in personality and clinical psycholog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5), 754-761. 

  12. Donabedian, A. (1980).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Ann Arbor, MI: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3. Edwards, H., Walsh, A., Courtney, M., Monaghan, S., Wilson, J., & Young, J. (2007). Improving pa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in childhood fever manag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3), 257-26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4077.x 

  14. Francke, A. L., Garssen, B., & Huijer Abu-Saad, H. (1995). Determinants of changes in nurses' behaviour after continuing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1(2), 371-377. 

  15. Furze, G., & Pearcey, P. (1999).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9(2), 355-363. 

  16. Green, R., Gorzka, P., & Kodish, S. (2005). Achieving excellence in practice: A model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7(11), 452-459. http:// dx.doi.org/10.1111/j.1745-7599.2005.00075.x 

  17. Han, S. M., & Lee, H. S. (2010). Nurses' reasons for participation in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2), 189-204. 

  18. Hawkins, V. E., & Sherwood, G. D. (1999). The Pyramid model: An integrated approach for evalua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outcome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0(5), 203-212. 

  19. Kim, B. K., & Park, J. Y. (2008).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1(4), 46-57. 

  20. Kim, J. A. (2001).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Kim, J. G. (2002). Program evaluation. Seoul: Hakjisa Publisher 

  22.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1). The actual conditions and regulation of the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Seoul: Author. 

  23.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4. Menix, K. D. (2007). Evaluation of learning and program effectivenes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8(5), 201-208. 

  25. Nalle, M. A., Wyatt, T. H., & Myers, C. R. (2010). Continuing education needs of nurses in a voluntary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stat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1(3), 107-115. http:// dx.doi.org/10.3928/00220124-20100224-03 

  26. Oh, Y. A. (2007).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Parker, K., & Parikh, S. V. (2001). Applying Prochaska's model of change to needs assessment, programme planning and outcome measurement.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7(4), 365-371. 

  28. Russell, S. S. (2006). An overview of adult-learning processes. Urologic Nursing, 26(5), 349-352, 370. 

  29. Wise, P. S. (1987). Environmental management: Creating a learning ambia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18(1), 29-30. 

  30. Wysong, P. R., & Driver, E. (2009). Patients' perceptions of nurses' skill. Critical Care Nurse, 29(4), 24-37. http://dx.doi.org/10.4037/ccn2009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