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D 프레임 활용 학습이 초등 수학영재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4D-Frame Teaching upo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patial Sens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6 no.1, 2013년, pp.1 - 20  

이주용 (대구동평초등학교) ,  최재호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개발되어 도형학습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의 5, 6학년 도형영역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소재 ${\bigcirc}{\bigcirc}$교육지원청 A, B초등학교의 영재학급에 소속된 6학년 36명(남:22명, 여: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본 연구자가 구안한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D 프레임을 활용한 학습프로그램은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위 요소에 있어서는 공간시각화 영역의 회전 요소와 공간 방향화 영역의 거리감각 및 물체의 구조인식 능력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위 요소에 있어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4D 프레임 활용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수학 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ifted educational program in math-gif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 using recently developed 4D-frame. This study identified how this program impacted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creativity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e investigation attemp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정부용(2003)은 공간감각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 중에서 단위 도형으로 무늬 만들기, 탱그램, 폴리도미노, 소마큐브를 이용한 활동을 선정하고 각각 단계별로 교수-학습 활동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난이도에 따라 저, 중, 고학년으로 구별하여 학생의 수준에 맞게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이처럼 공간감각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공간지각, 공간능력이라는 정의와 관련하여 공간감각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하지만 대부분이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수학교구와 4D 프레임을 함께 활용한 결과를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학생을 대상으로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에게 최근에 새롭게 개발되어 학습에 이용되고 있는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초등수학영재 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고찰은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연구 및 4D프레임이라는 수학교구에 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고찰은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연구 및 4D프레임이라는 수학교구에 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4D프레임 활용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수학영재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연구 대상 및 지역의 편협성을 고려할 때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범위를 확장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p>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개발되어 도형학습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 수학영재학생 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의 5, 6학년 도형영역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수학을 위한 교육과정 및 평가 규준에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이런 공간 속에서 원활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물들 사이의 공간관계에 관한 직관력이 필요하다(Baroody & Coslick, 1998). 이런 직관적인 느낌을 공간감각이라고 말하는데 NCTM(1989)의 ‘학교수학을 위한 교육과정 및 평가 규준’에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하적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며 음미하는데 필요하고 2차원과 3차원의 도형과 그들의 특징에 대한 직관과 통찰, 도형 사이의 상호관계, 도형의 변화는 공간감각의 중요한 측면이며 공간관계에 대하여 좋은 감각을 가진 학생들과 기하에 대한 개념과 언어를 습득한 학생들은 수의 개념과 측정의 개념뿐만 아니라 다른 상급의 수학 주제를 배우는 데 더 유리하다고하여 공간감각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김은영, 2009 재인용)
입체적인 공간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우리는 매일 입체적인 공간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런 공간 속에서 원활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물들 사이의 공간관계에 관한 직관력이 필요하다(Baroody & Coslick, 1998). 이런 직관적인 느낌을 공간감각이라고 말하는데 NCTM(1989)의 ‘학교수학을 위한 교육과정 및 평가 규준’에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하적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며 음미하는데 필요하고 2차원과 3차원의 도형과 그들의 특징에 대한 직관과 통찰, 도형 사이의 상호관계, 도형의 변화는 공간감각의 중요한 측면이며 공간관계에 대하여 좋은 감각을 가진 학생들과 기하에 대한 개념과 언어를 습득한 학생들은 수의 개념과 측정의 개념뿐만 아니라 다른 상급의 수학 주제를 배우는 데 더 유리하다고하여 공간감각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김은영, 2009 재인용)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어떻게 실시되어 왔는가? 한편,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1999년 12월 28일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래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영재교육이 실시되어 왔으며 영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영재교육의 목적과 특성을 잘 파악하는 것이었다. 서혜애 외(2003)는 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영재들에게 다양한 영역의 영재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을 추구하는 것이라 볼 때 정해진 교과 과정을 기계적으로 암기하고 반복 학습하는 프로그램보다는 개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급 수준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배려하고 인지 수준이 서로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우수한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Renzull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5-1. 5-2. 6-1. 6-2. 서울: 두산동아(주).(Ministry of Education(2011).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 5-1, 5-2, 6-1, 6-2. Seoul: Dusan Donga.) 

  2. 구광조(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Koo, K, J.(1992). New Direc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yungmoonsa.) 

  3.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2006).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2), 307-323.(Kwon, O. N., Park, J. S., Park, J. H., & Cho, Y. M.(2006).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ough open-ended approaches: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effectiveness analysi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2), 307-323.) 

  4. 권혁경(2007).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공간 감각 발달을 위한 거울상 탐구활동 지도방안.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Kwon, H. K.(2007). Teaching program of mirror image-investigation activities to develop spatial sense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INUE.) 

  5. 김민정(2006). 수학영재의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Kim, M.J.(2006). A 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s gifted children. Master dissertation, DNUE.) 

  6. 김부윤.이지성(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방안에 대한 모색.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8(3), 327-341.(Kim, B.Y. & Lee, J.S.(2005). A note on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8(3), 327-341.) 

  7. 김원석(2011).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Kim, W.S.(2011). The effects of mathematical instruction using description-type problems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Master dissertation, SNUE.) 

  8. 김유경(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3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Kim, Y.K.(2007). A survey on 6th students' spatial sense and spatial reasoning-focused on three dimension. Master dissertation, KNUE.) 

  9. 김은영(2009). 4D frame 활용 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Kim, E.Y.(2009). The effects of using the 4D frame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sens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SNUE.) 

  10. 김응태?박한식?우정호(2007).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Kim, Y.T., Park, H.S. & Woo, J.H(2007). Introduction to Mathematics Education. Seoul: SNU.) 

  11. 김지영(2002).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수학 영재 학급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J. Y.(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program for math-gif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 Master dissertation, GINUE.) 

  12. 김홍원?김명숙?송상헌(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기초연구편. 한국교육개발원.(Kim, H. W., Kim, M. S., & Song, S. H.(1996). The development of test items for the identification of math-gifted(I). KEDI.) 

  13. 김효진(2000). 초등영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Kim, H.J.(2000).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teachers' perception. Master dissertation, KOREA.) 

  14. 류수진(2007).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의 조작교구 (Math300)의 활용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yu, S.J.(2007). A study of the applications of manipulative materials (Math 300)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aster dissertation, BNUE.) 

  15. 류옥자(2002). 수학적 활동을 통한 공간감각 능력의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yu, O.J.(2002). A scheme to extend spatial sense abilities through mathematical activities. Master dissertation, BNUE.) 

  16. 박회경(2003). 성격 특성에 따른 개방형 교수법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Park, H.K.(2003). The effects of mathematical creativity under the open-ended approach applied by the personality traits of individuals. Master dissertation, KNUE.) 

  17. 박성익.조석희.김흥원.이지현.윤여홍.진석언.한기순 (2004).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Park, S. I., Cho, S. H., Kim, H. W., Lee, J. H., Yoon, E. H., Jin, S. E., & Han, K. S.(2004). The principle of gifted education. Seoul: Kyoyookbook.) 

  18. 박현미(2006). 바닥깔기를 활용한 수학학습이 공간 감각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Park. H. M.(2006).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though tessellation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spatial sensibility. Master dissertation, BNUE.) 

  19. 박현미.강신포.김성준(2011).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학습이 공간감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17-136.(Park, H. M., Kang, S. P. & Kim, S. J.(2011).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essellation activities on spatial sense.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1(2), 117-136.) 

  20. 박호걸(2006). 제 3의 흙 4D 프레임. 포디랜드?포디창의연구소.(Park, H, G.(2006). The third ground 4D frame. 4D Land.) 

  21. 방승진 최중오(2010). 수학 학문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멘토십 프로그램 모형 개발. 영재교육연구, 20(1), 205-229.(Bang, S. J. & Choi, J. O.(2010). Implementations of mentorship program model for the academic creativities of mathematic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1), 205-229.) 

  22. 배주란(2010). 포디프레임을 이용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Bae, J. R.(2010). Study on measures of teaching-learning focused on activities using 4D frame. Master dissertation, JNU.) 

  23. 서혜애.손연아.김경진(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6, 302p.(Seo, H.E., Son, Y.A. & Kim, K.J.(2003). Analysis for current condition of teaching-learning of gifted education institute. KEDI.) 

  24. 송상헌(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Song, S. H.(1998).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discrimination of the mathematical gift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5. 신국환(1998). 초등학생의 공간 지각 발달에 관한 연구: 입체 도형에 대한 평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Sin, G,H.(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perception for elementary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KNUE.) 

  26. 신경순(2001).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지오보드의 활용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Sin, K,S.(2001). A study on the method for using the Geoboard in mathematics class of elementary school. Master dissertation, GINUE.) 

  27. 우정호(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Woo, J.H.(2000). A principle and method of instruction for mathematics. Seoul: SNU.) 

  28. 우동하(2004). 영재 어린이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문사.(Woo, D.H.(2004). Understanding of gifted children and education. Seoul: Hakmoonsa.) 

  29. 윤여홍(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19(1), 79-101.(Yoon, Y.H.(2000).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ounseling for emotion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9(1), 79-101) 

  30. 이동규(2006).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공간감각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교구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Lee, D.K(2006). The development of teaching tools available in the area of spatial sense for the 7th National curriculm. Master dissertation, GNUE.) 

  31. 이명희(2003) 패턴블럭 조작활동이 공간감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Lee, M.H.(2003). The effects on the spatial sense by the mathematical subjects using with pattern blocks. Master dissertation, DNUE.) 

  32. 이상희(2012). 4D 프레임을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방법 연구 - 정다면체와 회전체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Lee, S.H.(2012). A study on the guidance method of teaching-learning using 4D frame - A focus on regular polyhedrons and solids of revolution. Master dissertation, KMU.) 

  33. 이성미(2007).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Lee, S.M.(2007).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sen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KNUE) 

  34. 이슬이(2010). 4D 프레임을 이용한 활동 중심의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정다면체 단원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Lee, S.Y.(2010). A study on the guidance method of teaching-learning focused on activities using 4D frame - Centering on a chapter of regular polyhedron. Master dissertation, CHANGWOON.) 

  35. 이유리(2010). 수학과학 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상위인지전략 및 몰입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 향 비교.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Lee, Y.R.(2010). The infuence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and flow of th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up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Master dissertation, DONGGUK.) 

  36. 이종희?김기연(2007). 창의적 생산력 신장의 교육목표 이해를 위한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개념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A , 46(4), 445-464.(Lee, J.H. & Kim, K.Y.(2007). A study on the conpec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mathematically gifted aspect.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445-464..) 

  37. 정부용(2003). 공간 시각화 과정에서 교구의 역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Jung, B.Y.(2003). A role of tools in the process of spatial visualization. Master dissertation, KNUE.) 

  38. 조보영(2003). 공간 감각 발달을 위한 탱그램 자료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Cho, B.Y.(2003). Devising materials for developing spatial sense by using tangram. Master dissertation, SNUE.) 

  39. 조현제(2005). 지오픽스와 4D 프레임을 이용한 활동지향적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Cho, H.J.(2005). On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y-based learning contents using Geofix and 4D frame in mathematics - principally as based polyhedrons. Master dissertation, KYUNGNAM.) 

  40. 주영(2003). 패턴블럭 활용 학습이 공간감각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학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Joo, Y.(2003). The effects of learning with pattern block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sense. Master dissertation, KNUE.) 

  41. 최미연(2004).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서 남녀차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Choi, M.Y.(2004).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patial ability. Master dissertation, KNUE.) 

  42. 최병훈.방정숙(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97-215.(Choi, B.H. & Pang, J.S.(2012). Analysis of research trands in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1), 197-215.) 

  43. 최은주(2009).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교구 활용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Choi, E.J.(2009). A study on the use of mathematical meteri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Master dissertation, DNUE.) 

  44. 최은선(2010). 초등수학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창의성 개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Choi, E.S.(2010). A study on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reativity for the educa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Master dissertation, SNUE.) 

  45. 태혜경(2001). 큐브(쌓기나무)를 화용한 학습이 중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Tae, H.K.(2001). The effect of spatial visualization education with cubes o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Master dissertation, EWHA.) 

  46. 한기완(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감각 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과 박사학위논문.(Han, K.W.(2002). A study on teaching spatial sense in primary school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47. Baroody, A. j. & Coslick, R. T.(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권성룡 외 11인 공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98년 출판) 

  48. Clements. M. A.(1983). The question of how spatial ability is defined and its relevance to mathematics education. Zentralblan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15, 8-20. 

  49. Del Grande. J. J.(1987). Spatial perception and primary geometry. In M. M. Lindquist & A. P. Shults(Eds.), Leaning and teaching geometry, K-12 1987 yearbook. 126-135. Reston. VA: NCTM. 

  50. Del Grande. J. J.(1990). Spatial sense. The Arithmetic Teacher, 37(6), 14-20. 

  51. Krutetskii, V. A.(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Tranlated by Teller; edited by Jeremy Kilpatrik, and Izaak. Wirszup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2. Mcgee, M. G.(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heurological influence.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8. 

  53. Miller, R. C.(1990), Discovering Mathematical Talent (ERIC Digest No. E321487). Teston, VA: The Council for Excepectional Childre ERIC Clearinghouse on Disabilities and Gifted Education. 

  5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5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외 5인 공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0년 출판) 

  56. Renzulli, J. S., Smith, L. H., & White, A. J.(1997).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7. Tartre. L. A.(1990). Spatial orientation skill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3), 216-2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