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nascus sp. MK2 균주가 생산하는 홍국색소의 안정성
Stability of Monascus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MK2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5 = no.157, 2013년, pp.669 - 675  

전춘표 (안동과학대학교 의약품질분석과) ,  이중복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권기석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Monascus sp. MK2가 생산하는 홍국색소의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에서 광 안정성에서는 암 조건>자외선>실내(형광)>태양광 조건 순서로 안정하였으며, 온도에 대한 안정성은 온도가 증가하고 저장시간에 길어짐에 따라 홍국색소의 감소율 또한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pH에 대한 안정성은 전체적인 pH 영역에서 비교적 안정하였으며, 유기산 첨가에 대한 홍국색소의 안정성은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합성 항산화제와 천연물 추출물 첨가시에는 안정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bility of monascus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MK2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light, pH, temperature, organic acid, synthetic antioxidant, and natural substance. The light stability was increased (sun light < fluorescent lamp < ultraviolet rays < dark condition) when storing the mon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홍국색소를 생산하는 균주인 Monascus sp. MK2 균주를 이용하여 홍국쌀을 제조한 다음 80% ethanol 가용성 색소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홍국색소의광, 온도, pH, 유기산, 합성 항산화제 및 천연물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홍국색소의 안정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 색소의 장점은? 따라서 천연색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가 증대됨에 따라 천연색소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10], 천연색소의 공급원으로는 특정 식물의 꽃, 잎, 뿌리 및 열매로부터 얻는 식물성 천연색소와 미생물이 생산하는 미생물 천연색소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미생물 유래의 천연색소는 그 배양 기간이 타 천연색소 공급원보다 짧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 색소의 공급원으로 중국대륙과 대만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600 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홍주, 육류가공, 홍두부 및 기타음식물의 착색에 이용되는 홍국(Ang-khak)이 있다[9].
식용으로 사용되는 색소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색소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그리고 의류염색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고, 그 중에서도 특히 식품에 있어서의 색소는 관능성을 높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며, 소비자의 구매 충동과 식욕을 돋우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3, 8, 12]. 식용으로 사용되는 색소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합성색소와 천연색소로 구분되며, 가격이 저렴하고 착색이나 염색하기 쉬운 것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타르계 인공합성 색소가 오늘날까지 각종 식품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다[18, 25].
식품에 있어 색소의 역할은? 색소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그리고 의류염색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고, 그 중에서도 특히 식품에 있어서의 색소는 관능성을 높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며, 소비자의 구매 충동과 식욕을 돋우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3, 8, 12]. 식용으로 사용되는 색소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합성색소와 천연색소로 구분되며, 가격이 저렴하고 착색이나 염색하기 쉬운 것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타르계 인공합성 색소가 오늘날까지 각종 식품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다[18,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u, Y. S. and Wong, H. C. 1979. Zinc effects on growth, pigment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Monascus purpureus. Physiol Plant 46, 63-67. 

  2. Cho, S. B., Kim, H. J., Yoon, J. I. and Chun, H. S. 2003.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rt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3-27. 

  3. Francis, F. J. 1986. Handbook of Food Colorant Patents, p.181. Food and Nutrition Press, Westprot, CT. 

  4. Hajjaj, H., Klaebe, A., Loret, M. O., Tzedakis, T., Goma, G. and Blanc, P. J. 1997.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NGlucosylrubropunctamine and N-Glucosylmonascorubramine from Monascus ruber and occurrence of electron donor-acceptor complexs in these red pig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3, 2671-2678. 

  5. Han, B. H., Bae, T. J. and Kim, B. S. 1984. Stability of chlorophy II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at salted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71-77. 

  6. Jeon, C. P., Lee, J. B., Choi, S. Y., Lee, O. S., Choi, C. S. and Kwon, G. S. 2006.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water-soluble monascus natural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MK2.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50-256. 

  7. Jeong, S. J., Lee, J. H., Song, H. N., Seong, N. S., Lee, S. E. and Baeg, N. I. 2004.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Korean J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8. Judie, D. D. 1987. Applications food colorants. Food Technol 23, 78-88. 

  9. Kim, C. S., Rhee, S. H. and Kim, I. 1977. Studies on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dible red color pigment produced by mold (Monascus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77-283. 

  10. Kim, J. Y. and Kim, K. H.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 PY123 producing water-soluble yellow pigment.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454-458. 

  11. Kim, S. J., Fhi, J. W., Kang, S. G. and Jung, S. T. 1997.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pigments produced by Monascus anka in a jar fermen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0-66. 

  12. Kim, S. J., Rhim, J. W., Lee, L. S. and Lee, J. S. 1996.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45-351. 

  13. Lee, D. S. and Kim, H. K. 1989. Carotenoid destruction and non-enzyme browning during red pepper drying as funtions of average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25-429. 

  14. Lee, S. Y., Cho, S. J., Lee, K. A., Byun, P. H. and Byun, S. M. 1989. Red pigment of the Korean cockcomb flower: color stability of the red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46-452. 

  15. Lim, S. I. and Kwak, E. J. 2004. Stability of the Pigments from Monascus purpureus CBS 281.34.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11-715. 

  16. Lin, C. F. 1973. Isolation and cultural conditions of Monascus sp. for the production of pigment in a submerged culture. J Ferment Technol 51, 107-114. 

  17. Min, K. H. 1992. Fermentative production of natural edible red-pigment. The Research Reports of Mow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Food and Dietary Culture. 759-783. 

  18. Oser, B. L. and Hall, R. L. 1975. Recent progress in the consideration of flavoring lngradients under the food additives amendment, 5. GRAS substance, Food Technol 29, 70 

  19. Oser, B. L. and Hall, R. L. 1978. Recent progress in the consideration of flavoring Ingradients under the food additives amendment, 5. GRAS substance, Food Technol 32, 60. 

  20. Park, C. J., Na, M. K. and Oh, S. K. 1993. Study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n Comet radish.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07-410. 

  21. Park, M. J., Yoon, E. K. and Kim, S. D. 2002. Stability of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pilos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41-545. 

  22. Park, Y. H. and Chae, J. M. 1997. Stability of Monascin pigment isolated from Monascus purpureus. J Food Hyg Safety 12, 15-19. 

  23. Ryu, B. H. and Kim, M. J. 2000.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8, 264-269. 

  24. Wong, H. C. and Bau, Y. S. 1977. Pigment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fast neutron-and X-ray-induced strains of Monascus purpureus went. Physiol Plant 60, 578-581. 

  25. Yoon, H. H. and Kim, M. S. 1999. Some natural food colorants. Food Industry Nutr 4, 24-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