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경향과 굴절상태 - 충북 지역의 안경원 중심으로 조사
Trends and Refractive Status of Cataract Surgery - An Optometry Clinic-Based Survey in Chungbuk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2= no.51, 2013년, pp.143 - 148  

김형수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손정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동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백내장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서 성별, 연령별 분포, 사용된 인공수정체의 종류 및 수술 후의 굴절상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부터 2012년까지 백내장 수술을 받고 충북 소재 안경원에 내원한 고객 2,217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진 및 자동굴절력계에 의한 인공수정체 반사상과 역반사조명으로 수술 여부와 인공수정체의 종류를 확인하였고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굴절상태를 결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1.74{\pm}10.62$세이었으며, 백내장 수술은 2010년 524명에서 2012년 888명으로 증가하였다. 백내장 수술을 받은 나이는 40대 이하 52명(2.3%), 50대 144명(6.5%), 60대 404명(18.2%), 70대 1,132명(51.1%), 80대 이상 485명(21.9%)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백내장 수술 분포는 여자가 1,338명(60.4%), 남자 879명(39.6%)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백내장 수술 시 사용된 인공수정체는 대부분 단초점 인공수정체로 2,141명(96.6%)이었으며, 다초점, 조절성, 토릭 렌즈와 같은 특수 인공수정체가 76명(3.4%)으로 조사되었다. 백내장 수술 후 잔여 굴절이상은 근시성단난시 1,588안(38.5%), 원시성 단난시 327안(7.9%), 혼합난시 601안(14.6%), 근시 1,240안(30.0%), 원시 136안(3.3%), 정시 234안(5.7%)이었다. 수술 후 나안시력 평균은 $0.55{\pm}0.25$이었으며 최대교정시력 평균은 $0.80{\pm}0.23$로 조사되었다. 결론: 백내장 수술은 70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았으며, 특수 인공수정체의 시술 빈도는 낮았다. 백내장 수술에서 대부분 잔여 굴절이상을 보였으며, 따라서 백내장 수술 후에 원거리 또는 근거리 시력 개선을 위해 안경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ge and gender, types of intraocular lens (IOL), and refractive errors in subjects who had cataract surgery. Methods: 2,217 subjects who had cataract surgery were surveyed at an optometry clinic in Chungbuk from 2010 to 2012.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백내장 수술을 받고 안경원을 방문한 대상자 중심으로 백내장 수술의 분포, 인공수정체사용 경향 그리고 수술 후의 굴절이상에 대해 분석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비록 특정 지역에 국한하여 조사한 것이지만 최근의 백내장 수술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백내장 수술을 받은 사람의 예후 관리나 수술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눈 관리 실무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avitt JC, Wang F, West SK. Blindness due to cataract: epidemiology and prevention. Annu Rev Public Health. 1996;17(1):159-177. 

  2. Ahn JE, Seo KY, Kho HJ, Kim SH, Kwon OW, Koo BS, et al. The change of blindness: causes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11):2761-2767. 

  3. Kim HJ.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taract by in middle- aged and older Korean adults. J Korean Oph Opt Soc. 2012;17(4):449-455. 

  4. Shyn KH, Kim JC, Kim WS, Aha BH, Lee JH, Ro SH, et al.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enile cataractogenesis by the Korean cooperative cataract epidemiology study group. J Korean Ophthalmol Soc. 1992;33(2):127-134. 

  5. Kim JH, Lee JW, Chung JL, Kim EK, Kim TI. Combined implantation of monofocal and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in senile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1):1632-1638. 

  6. Sen HN, Sarikkola AU, Uusitalo RJ, Laatikainen L. Quality of vision after AMO Array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04;30(12):2483- 2493. 

  7. Paik HJ, Song HJ, Shyn KH. 2007 survey for KSCRS members: current trends in cataract surgery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1):1624-1631. 

  8.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The medical fee costs review. 2008-2011. 

  9. Song KJ, Han MY, Kim SY, Ha JY, Kim EK. Prevalence estimation of cataract based on a screening test.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6):768-773. 

  10. Lim DH. The structure of changes in Korean life expectancy and the contribution of health care, 2000-2010. KHIDI Brief. 2012;30:1-8. 

  11. Musanovic Z, Jusufovic V, Halibasica M, Zvornicanin J. Corneal astigmatism after micro-incision cataract operation. Med Arh. 2012;66(2):125-128. 

  12. Holliday JN, Buller CR, Bourne WM. Specular microscopy and fluorophotometry in the diagnosis of epithelial downgrowth after a sutureless cataract operation. Am J Ophthalmol. 1993;116(2):238-240. 

  13. Duke-Elder S, Abrams D. System of ophthalmology: ophthalmic optics and refraction(Vol 5.), 1st Ed. St. Louis: Mosby CV, 1970;274-295. 

  14. Buzard K, Shearing S, Relyea R. Incidence of astigmatism in a cataract practice. J Refract Surg. 1988;4(5):173-178. 

  15. Axt JC. Longitudinal study of postoperative astigmatism. J Cataract Refract Surg. 1987;13(4):381-388. 

  16. Jampel HD, Thompson JR, Baker CC, Stark WJ. A computerized analysis of astigmatism after cataract surgery. Ophthalmic Surg. 1986;17(12):786-790. 

  17. Lee HS, Park SH, Kim MS. Clinical results and some problems of multifocal apodized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8):1235-1241. 

  18. Fernndez-Vega L, Alfonso JF, Rodrguez PP, Monts-MicR. Clear lens extraction with multifocal apodized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Ophthalmology. 2007;114(8):1491-1498. 

  19. Cumming JS, Ritter JA. The measurement of vitreous cavity length and its comparison pre- and postoperatively. Eur J Implant Refract Surg. 1994;6(1):261-2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