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장년층과 노년층의 백내장 위험 요인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taract by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4 = no.49, 2012년, pp.449 - 455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한국인을 대상으로 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남녀 각각 백내장 발병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0-95세까지 총 5,024명 (남자 2,163명, 여자 2,86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녀각각 연령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그룹 1: 40-64세, 그룹 2: 65-94세). 백내장은 적어도 한 눈에 수정체의 혼탁이 발견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남녀 각각 두 연령 그룹에서 당뇨,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실외 활동, 흡연과 음주 습관을 보정한 후에 비만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가구 소득수준과 최종학력을 기준으로 교육수준이 백내장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차비 값을 구하였다. 결과: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은 남녀 모든 연령 그룹에서 백내장 발병과 강한 관련이 있었다. 모든 다른 요인들을 보정한 후에 최종 다중분석 모델에서 남자의 경우는 저 소득(그룹 1:OR, 1.84[1.17-2.91], 그룹 2: 3.47[2.53-4.74]), 저 학력(그룹 1: OR, 3.00[1.90-4.74], 그룹 2: 7.44[5.41-10.23])과 실외 활동시간(그룹 2: OR, 1.26[1.06-1.49]이 백내장의 발병 위험을 높였다. 여자의 경우에는 저 소득(그룹 1: OR,1.72[1.14-2.60], 그룹 2: 2.32[1.70-3.16]), 저 학력(그룹 1: OR, 4.48[2.72-7.38], 그룹 2: 29.99[20.31-44.28])과 비만(그룹 1: OR, 1.40[1.10-1.82], 그룹 2: 1.27[1.04-1.54])이 유의한 위험 요인이었다. 결론: 한국 성인 남녀에서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는 백내장의 위험 요인이었고, 특히 여성의 경우는 비만도 백내장과 관련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found the risk factors of cataract by gender in elder and older Korean adult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data for 5,024 (men 2,163 people, women 2,861 people) people, aged 40-95 year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 divided into two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밝혀진 백내장의 관련 위험 요인은 흡연과 음주」可 사회경제적 요인R 11] 비만, μ习 대사증후군, μ6] 실외활동吗 등이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가구의 소득 수준과 백내장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F。】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제시된 관련 요인은 성별과 연령에 따른 관련 요인을 제시하지 않았고, 백내장의 발생 형태는 인종별로 차이μ7] 를 가진다고 보고되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관련 요인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한국인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이들 관련 요소들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조사 자료 중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건강 조사와 안검진이 실시된 40대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장년층과 노년층에서 성별에 따른 비만, 사회경제적 수준 및 기타 백내장의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이후 백내장 환자들의 상담과 역학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9세)의 대상자만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별 장년층(40~64세)과 노년층(65~94세)에서 백내장의 발병과 관련된 요인이 전반적으로 모든 그룹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과 각각의 그룹에서 특이하게 관련된 요인이 도출되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먼저, 이전 연구와 동일한 경향이며, 전반적으로 모든 그룹에서 관련된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1 April 2012). 

  2. Lee HK, Lee SH, Lee EW.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the elderly in Korea. J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012;37(1):64-75. 

  3. Kim O, Hwang JW, Kim KR, Kang JS. The experiences of daily life among elderly women with cataracts. Qualitative Research. 2008;9(2):129-141. 

  4. Resnikoff S, Pascolini D, Etya'ale D, Kocur I, Pararajasegaram R, Pokharel GP, et al. Global data on visual impairment in the year 2002. Bull World Health Organ. 2004; 82(11):844-851. 

  5. Yoon KC, Mun GH, Kim SD, Kim SH, Kim CY, Park KH, et al. Prevalence of eye disease in south korea: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Korean J Ophthalmol. 2011;25(6):421- 433. 

  6. Klein BE, Klein RE, Lee KE. Incident cataract after a five-year interval and lifestyle factors: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1999; 6(4):247-255. 

  7. Navarro Esteban JJ, Gutirrez Leiva JA, Valero Caracena N, Buenda Bermejo J, Calle Purn ME, Martnez Vizcano V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ens opacities in the elderly in Cuenca, Spain. Eur J Ophthalmol. 2007;17(1): 29-37. 

  8. Raju P, George R, Ve Ramesh S, Arvind H, Baskaran M, Vijaya L. Influence of tobacco use on cataract development. Br J Ophthalmol. 2006;90(11):1374-1377. 

  9. Krishnaiah S, Vilas K, Shamanna BR, Rao GN, Thomas R, Balasubramanian D. Smo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cataract: results of the Andhra Pradesh eye disease study from Ind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1):58-65. 

  10. Klein BE, Klein R, Lee KE, Meuer SM. Socioeconomic and lifestyle factors and the 10-year incidence of agerelated cataracts. Am J Ophthalmol. 2003;136(3):506-512. 

  11. Foster PJ, Wong TY, Machin D, Johnson GJ, Seah SKL. Risk factors for nuclear,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in the Chinese population of Singapore: the Tanjong Pagar Survey. Br J Ophthalmol. 2003;87(9):1112-1120. 

  12. Leske MC, Wu SY, Hennis A, Connell AM, Hyman L, Schachat A. Diabetes, hypertension, and central obesity as cataract risk factors in a black population. The Barbados Eye Study. Ophthalmology. 1999;106(1):35-41. 

  13. Younan C, Mitchell P, Cumming R, Rochtchina E, Panchapakesan J, Tumuluri K. Cardiovascular disease, vascular risk factors and the incidence of cataract and cataract surgery: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2003;10(4):227-240. 

  14. Leske MC, Wu SY, Hennis A, Connell AM, Hyman L, Schachat A. Diabetes, hypertension, and central obesity as cataract risk factors in a black population. The Barbados Eye Study. Ophthalmology. 1999;106(1):35-41. 

  15. Schaumberg DA, Glynn RJ, Christen WG, Hankinson SE, Hennekens CH. Relations of body fat distribution and height with cataract in men. Am J Clin Nutr. 2000; 72(6): 1495-1502. 

  16. Park SS, Lee EH. Relations of cataract to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based on the KNHANES 2005, 2007. J Korean Oph Opt Soc. 2009;14(3):103-108. 

  17. West SK, Munoz B, Schein OD, Duncan DD, Rubin GS. Racial differences in lens opacities: the Salisbury Eye Evaluation (SEE) project. Am J Epidemiol. 1998;148(11): 1033-1039. 

  18. Javitt JC, Wang F, West SK. Blindness due to cataract: epidemiology and prevention. Annu Rev Public Health. 1996;17(1):159-177. 

  19. Athanasiov PA, Casson RJ, Sullivan T, Newland HS, Shein WK, Muecke JS, Selva D, Aung T. Cataract in rural Myanma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rom the Meiktila Eye Study. Br J Ophthalmol. 2008;92(9):1169-1174. 

  20. Park JH, Kim HJ, Ye KH.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ye health and household income of the elderly. J Korean Oph Opt Soc. 2011;16(2):209-217. 

  21. Park J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the cataract with smoking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Vis Sci. 2011;13(3):197-203. 

  22. Park SS, Lee EH. Relations of cataract to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based on the KNHANES 2005, 2007. J Korean Oph Opt Soc. 2009;14(3):103-108. 

  23. Meigs JB. Definitions and mechanisms of the metabolic syndrome. Current opinion in endocrinology & Diabetes. 2006;13(2):103-110. 

  24. Woo HB, Yoon IJ. Differences in the health status of the Korea elderly by socio - demographic factor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1;9(4):67-106. 

  25. Kim MY, Oh JK, Lim MK, Yun EH, Kang YH.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and psychosocial factors with obesity in a rural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2;21(1):18-28. 

  26. Zigman S, Datiles M, Torczynski E. Sunlight and human cataract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79;18(5):462-467. 

  27. Brilliant LB, Grasset NC, Pokhrel RP, Kolstad A, Lepkowski JM, Brilliant GE, et al. Associations among cataract prevalence, sunlight hours, and altitude in the Himalaya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83;118(2):250-264. 

  28. Cruickshanks KJ, Klein BE, Klein R. Ultraviolet light exposure and lens opacities: the Beaver Dam Eye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2;82(12):1658- 1662. 

  29. Kim HJ, Park JW, Joo CH.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nterior polar cataract.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3):606-614. 

  30. Pask SS, Lee EH, Paek DM, Cho SI. Body mass index compared with waist circumference indicators as a predictor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J Korean Oph Opt Soc. 2010;15(3):293-297. 

  31. Tetz MR, O'Morchoe DJ, Gwin TD, Wilbrandt TH, Solomon KD, Hansen SO, et al.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and intraocular lens decentration. Part II: Experimental findings on a prototype circular intraocular lens design. J Cataract Refract Surg. 1988;14(6):614-6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